Update. 2025.05.09 17:28
얼마 전 티비를 보는데 OCN서 영화 <암살>이 나오더라고요. “총알이 두 개지요!!” 아 역시 또 봐도 재밌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문득 전지현씨가 연기한 안옥윤이란 인물의 모티브는 누구일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실존했던 남자현 열사를 모티브로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만주 항일무장 운동의 유일한 여성 대원이었으며, ‘독립운동의 대모’ ‘세 손가락의 여장군’ ‘여자 안중근’ 등 다양한 칭호를 얻으며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던 남자현 열사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안중근 의사‘하면 가장 먼저 나는 생각나는 것은 아마 그의 잘린 손가락일 텐데요. 남자현 열사 역시 단지혈서를 쓴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녀는 세 번의 단지를 하여 세 손가락의 여장군이라고도 불리였는데요. 손가락을 자르는 것은 현재도 매우 고통스럽고 위험한 행위지만 당시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세 번이나 단지를 감행했던 남자현 열사, 어떤 이유에서였을까요? 세 번의 단지 1920년 8월 29일, 그녀는 처음으로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잘랐습니다. 당시 만주에는 90여개의 한인 독립운동 단체가 모여있었는데, 각기 다른 입장을
범인을 체포하는 장면에서 반드시 나오는 대사가 있습니다. 바로 미란다 원칙인데요. 그런데 미란다 원칙이 만들어진 배경에는 미국 전역을 분노에 떨게 한 사연이 따라옵니다. 바로 미성년자를 납치, 성폭행한 혐의로 체포된 범인이 자신의 범행을 자백까지 했는데 무죄로 석방됐습니다. 1963년 3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18세 소녀를 납치해 사막으로 끌고 다니며 성폭행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피해자의 증언과 여러 정황은 한 남성을 향하고 있었고, 이 남성이 바로 ‘미란다 고지 원칙’의 주인공 ‘에르네스토 미란다’입니다. 당시 미란다의 자백이 적힌 진술서를 바탕으로 애리조나주 법원에서는 미란다에게 징역 30년형을 선고했습니다. 하지만 미란다의 국선 변호사 ’앨빈무어’는 이 사건은 “유·무죄를 떠나 사건 자체가 무효”라는 발언으로 상황을 뒤집습니다. 그가 문제 삼은 것은 미란다에게 진술 거부권과 변호인 선임권리에 대해 알려주지 않은 경찰의 ‘고지의무위반’. 애초에 자신의 권리를 모른 채 이뤄진 미란다의 진술은 적법 절차를 위반했고, 이는 법정 증거로 효력이 없다는 것이 앨빈무어의 주장이었습니다. 연방대법원은 5대4로 미란다 측의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범죄를 수사하는 과
[기사 전문] -본인에 대해 소개해달라. 1986년 민간 주도로 사선문화제를 창립한 창립위원장부터 시작해서 현재까지 37년 동안 위원장직을 맡고 있는 양영두라고 합니다. 또 도산 안창호 선생이 설립한 대한민국 NGO 1호 단체인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공동대표직도 맡고 있습니다. - 사선문화제란? 국민관광지 사선대라는 곳이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에 있습니다. 진안군 마이산의 두 신선과 임실 운수산 두 신선이 이곳 사선대로 와서 매년 시를 읊조리셨는데, 네 분 선녀가 풍광이 좋은 데 찾아 내려오신 뒤에 같이 어울리면서 매년 같이 노닐었다는 명승고적 설화집에 전설 의해서 ‘사선대’라고 명명하게 됐습니다. 이에 1985년, 정부는 사선대를 국민관광지로 지정하게 됐습니다. 이 사선대의 전설을 후손들인 우리가 향토문화재로 지키고 승화시켜나가기 위해 민간 주도의 제전 위원 100명이 모여 이듬해인 1986년에 제전위원회를 창립하게 됐습니다. 첫째로 사선녀 선발을 해야겠지요. 왜냐면 사신선녀의 전설이 있는데 신선의 경지는 아직 우리가 선발을 못하고 사선녀는 한국의 전통적인 여인상을 뽑고 있습니다. 아무도 선녀를 본 일은 아무도 없습니다만, 우리가 믿고 따르는 것은 그 근
[기사 전문] <일요시사>는 향일암의 주지인 연규 스님과 함께 2022년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본인에 대한 소개해주세요 대한불교조계종 18대 현역 의원이고, 금오산 여수 향일암 주지를 맡고 있는 연규 스님입니다. - 향일암은 어떤 곳인가요? 역사적으로는 백제 무왕 644년에 아마 고조스님께서 이렇게 수행처를 찾아오셔서 다니시다가 이 터가 거북이 형상인 걸 알고 기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했다고 해서 처음에는 향일암이 아니라 ‘원통암’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관세음보살을 모셔둔 곳을 원통전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원만하게 모든 것을 두루 아신다’고 해서 원통전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또 저희들의 대일여래 비로자나 부처가 산스크리트어로 풀이하게 되면 ‘광명’ 그런 뜻을 가지고 있고, ‘태양’이라는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저희들이 또 해를 동해 쪽으로, 남쪽에 있지만 또 바로 앞에서 동해 쪽 일출을 볼 수 있다고 해서 ‘향일’, 해를 향하는 암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향일암입니다. - 향일암의 일출은 어떤 의미인가요? 많이 특별하죠. 바 다보다도 한 100여m 이상 200m 이상에서 이렇게 바다를 눈높이와 비슷하게 맞춰서 일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