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0.05 15:01
다른 통신사도 해킹? SKT에 이어 LG와 KT도 해킹이 있었다는 말이 나오고 있음. SKT는 해킹을 늦게 알아차리고 숨기려다가 일이 더 커졌지만 다른 통신사들은 초반 대응에 성공해 별다른 피해가 없다고 함. 하지만 사실 확인이 안 되면서 일각에서는 해킹 사태로 피해를 입은 SKT가 다른 통신사도 해킹 피해가 있다는 헛소문을 퍼뜨렸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고. 사라진 전대 효과 전당대회가 끝났지만 국민의힘 사기가 확 떨어짐. 최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자 반격에 나섰는데 더불어민주당에 혁신당까지 가세해 국민의힘을 때리니 맥을 못 추린다고. 당을 재정비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심기일전하겠다는 기류가 있었지만 이제는 그마저도 사라진 모양. 멀어지는 꿈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당선으로 인해 대구시장을 꿈꾸는 김재원 최고위원의 향후 행보에 관심 집중돼. 최고위원 임기를 지킬 수도 있고, 꿈을 이루기 위해 사퇴 후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수도 있다고. 이 때문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절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다만 언더 찐윤(진짜 친윤)이 김 최고위원의 대구시장 후보 공천을 막기 위해 장 대표를 지원했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최근 언론계의 고질적인 병폐 중 하나로 지적되는 ‘받아쓰기’ 관행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자료, 정치인 발언, 유명인의 SNS 내용 등을 무비판적으로 받아쓰는 데 그치지 않고, 타 언론사 기사를 출처 없이 베끼는 사례도 빈번하다. 이는 언론 스스로가 신뢰도를 추락시키고 저널리즘의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마저 제기되고 있다. 지난 8일 한 통신사가 최초 보도한 ‘당근마켓에 등장한 ‘북한 지폐’ 판매글…“처벌 받습니다”’ 기사에서 ‘대공 용의점’을 ‘대공 용이점’으로 잘못 표기한 사례는 이 같은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줬다. 기사 내용 중 ‘조사 결과 판매자에 대한 대공 용이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문장이 등장한다. 문제는 ‘대공 용의점’이 맞는 표현이지만, 통신사 기사에는 ‘대공 용이점’으로 표기되는 오타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용의점은 ‘범죄의 혐의가 의심되는 점’을 뜻한다. 이 오타는 단순한 유사 단어 교체가 아님에도 9일 <일요시사>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14개 매체서 해당 표현을 그대로 베껴 보도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수의 매체들은 ‘대공 용의점’으로 제대로 표기했지만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