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이하 소공연)는 최근 민주노총 등이 제기하고 나선 새벽 배송 금지 주장에 대해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로 규정하고, 강력한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소공연은 지난 8일 논평을 통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요구한 새벽 배송 제한 요구가 현실화되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국내 최대 물류산업 학회인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e커머스 업체 매출 감소분 33조여원 등을 포함하면 경제적 손실은 54조원에 달하리라는 것이 학회 측의 분석이다.
“민생경제 회복 찬물”
“손실보상 촉구 불사”
이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 배송 시장은 2015년 4000억원에서 2024년 11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특히, 소상공인들이 주로 유통하는 과일, 식재료 등 빠른 배송이 필수적인 품목의 유통을 촉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공연은 “소상공인 셀러뿐만 아니라, 새벽 배송을 이용하는 소상공인들도 새벽 배송이 중단되면 손해가 막심해질 것이 분명하다”며 “많은 소상공인이 이제는 식재료를 새벽 배송으로 받아 하루 장사를 준비하는데, 새벽 배송이 중단되면 새벽에 차를 몰고 식자재를 구매하러 가야 해 인력 충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국회의원들이 노조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해 새벽 배송이 금지된다면, 즉각적인 강력한 항의에 나설 것”이라면서 “쿠팡을 비롯한 새벽 배송 온라인 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webmaster@ilyosis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