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대장동 개발비리’ 사건에 대한 검찰의 항소 포기를 둘러싼 파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 절반 가까이가 항소 포기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검찰은 지난 7일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에 대한 항소를 하지 않겠다고 결정한 바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검찰이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을) 항소하지 않은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은 결과, 응답자의 48%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적절하다’는 의견은 29%였고, ‘모름·응답 거절’은 23%로 집계됐다.
정치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34%, 보수층의 67%가 검찰의 항소 포기를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중도층에서도 48%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해 적절하다는 응답(29%)보다 크게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의 53%, 여성의 42%가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갤럽은 “대통령·여당 지지 기반이 강한 40·50대에서도 의견이 갈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40대에서는 적절하다가 43%, 부적절하다가 42%로 팽팽했으며, 50대에서는 적절하다가 45%, 부적절하다가 38%로 나타났다.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 평가에서는 긍정 응답이 59%로 전주 대비 4%p 감소했다. 부정 평가는 32%로 3%p 증가했다. 9%는 판단을 유보했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가 30%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경제·민생’(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APEC 성과’ ‘직무 능력·유능함’ ‘소통’이 각각 5%, ‘관세 협상 타결’과 ‘서민 정책·복지’가 3% 순이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5%)가 가장 높았다. 이 밖에 ‘경제·민생’(10%),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 ‘독재·독단’이 각각 6%였다. ‘외교’와 ‘법을 마음대로 변경’이 5%,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가 4%였다.
갤럽은 “두 주 연속 도덕성 관련 지적이 가장 많이 나타난 가운데, 이번 주에는 대장동 사건이 새롭게 부정 평가 이유로 언급됐다”고 분석했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24%로 조사됐다. 민주당은 전주보다 2%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2%p 하락했다.
국정감사 평가에서는 ‘성과가 있었다’는 응답이 23%, ‘성과가 없었다’는 응답이 42%로 나타났다.
이번 국감에서 활약한 국회의원으로는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과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이 각각 3%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서영교 민주당 의원(2.4%), 정청래 민주당 대표(2.3%), 추미애 민주당 의원(1.9%), 최혁진 무소속 의원(1.8%) 등이 뒤를 이었다.
또 법정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높이는 방안에 대해선 응답자의 72%가 찬성한다고 답해, 반대(21%)를 크게 앞섰다.
한편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사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 조사원이 직적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11.5%였다(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jungwon933@ilyosis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