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12 17:28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전기공급을 담당하는 한국전력의 빚이 200조원을 돌파했다. 한전채 발행 한도는 반 토막 위기다. 전기값을 올려 서민들의 허리띠를 졸라도 올해 수조원대 영업손실이 관측된다. 무더위 속 에어컨 바람도 부담스러운 요즘, 한전 직원들은 내부정보를 통해 ‘태양광 장사’에 나섰다가 감사원 조사를 받고 있다. 최근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이 공시한 ‘반기 보고서’를 보면, 연결 재무제표 기준 부채 총액은 올해 6월 말 기준 201조4000억원이다. 지난해 말(192조8000억원)에 견줘 8조5000억원이 늘었다. 2021년 말(145조8000억원)과 비교하면 늘어난 부채만 약 56조원에 이른다. 이대로라면 한전채를 찍어도 감당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조 한전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올해 6월 말 기준 574.1%다. 이는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을 한전이 판매하는 전기요금에 제때 반영하지 않으면서 발생한 손실이다. 한전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5회 연속 전기요금을 올려 전기를 원가보다 싸게 파는 역마진 구조서 벗어난 상태다. 다만, 안심하긴 이르다. 증권가에 따르면 4분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OCI가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사업을 대신할 먹거리를 찾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신사업에 힘을 주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구석이 엿보인다. 파트너 회사의 경영권 분쟁에서 우군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태양광 산업은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태양광 셀·모듈’로 이어지는 밸류 체인을 형성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국내 기업들은 태양광 기초 소재부터 완성품, 발전소에 이르는 수직계열화를 갖춘 상태였다. 하지만 2015년경부터 중소업체들의 폐업이 이어졌고, 그나마 버티던 대기업들까지 속속 손을 떼고 있는 실정이다. 태양광 산업 빛바랜 영광 오랜 기간 국내 폴리실리콘 시장의 최강자로 군림했던 OCI 역시 별반 다를 게 없었다. 2020년 2월 OCI는 태양광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하고, 군산공장을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생산 공장으로 바꾼다는 방침을 공표했다. 해당 결정은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중국 업체들은 중국정부의 보조금 지원을 등에 업고 저가 공세를 펼치며 생산량 확대에 열을 올리던 상태였다. 폴리실리콘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전기요금은 중국이
[일요시사 정치팀] 정인균 기자 = 재생에너지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는 있지만 태양광과 풍력에너지의 발전 비중이 여전히 낮고, 이용률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대해 태양광과 풍력이 세계적 추세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이 공개한 IEA(국제에너지기구)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총 발전량은 2만6762TWh였다. 발전원별로는 석탄 9467TWh, 재생에너지 7593TWh, 천연가스 6257TWh, 원자력 2692TWh, 석유 716TWh 순으로 나타났다. 재생에너지의 경우 전체 발전량의 28.37%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수력이 4347TWh으로 전체 발전량의 16.24%를 차지했고, 풍력은 1596TWh, 태양광은 833TWh로 각각 5.96%, 3.11%에 불과했다. 2019년과 비교하면 수력은 111TWh, 태양광 152TWh, 풍력 175TWh 바이오 37TWh가 증가했으며 태양광과 풍력은 2019년 대비 각각 0.59%, 0.69% 증가했다. 태양광 및 풍력 설비는 특정 국가들에 치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재생에너지 비영리 단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