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9 10:14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걸그룹 뉴진스가 팀명을 ‘NJZ’로 변경하고 내달 홍콩서 새로운 이름으로 첫 무대에 오른다. NJZ는 7일 인스타그램 계정명을 ‘@njz_official’로 바꾸고 새로운 팀명 NJZ를 공개했다. 해당 SNS 계정은 앞서 소속사 어도어와의 전속계약 해지를 일방 통보한 NJZ가 개설했던 ‘진즈포프리(jeanzforfree) ’계정이다. 이날 NJZ 멤버들의 사진도 공개됐다. 이 게시물에는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가 ‘좋아요’를 눌러 이들의 굳건한 관계를 재차 확인시켰다. NJZ는 오는 3월21~23일 홍콩 아시아월드 엑스포서 열리는 ‘컴플렉스콘’의 부대 행사 콘서트 ‘컴플렉스 라이브’에 출연할 예정이다. <CNN>의 단독 인터뷰도 이날 공개됐다. 하니는 <CNN>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우리는 (상황이)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이 노력하고 있다”며 “힘든 시기를 더 흥미진진한 시기로 바꾸기 위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다니엘은 “기존 뉴진스라는 이름의 ‘본질’을 유지하고자 NJZ라는 이름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전 그룹명(뉴진스)을 잠시 뒤로 하지만, 완전히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모래 위에 쌓은 성은 작은 파도에도 휘청였다. 방파제가 사라진 탓이다. 화려한 외형을 걷어내니 텅 빈 내부가 보였다. ‘눈 가리고 아웅’하고 덮어둔 모순이 성 전체를 휘감고 있다. 반짝이는 빛에 취해 외면했던 민낯이 ‘하이브 사태’로 만천하에 드러났다. 과연 케이팝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모두가 ‘김건희 국감’을 예상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주인공은 ‘하이브’였다.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로 발돋움한 하이브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말 그대로 ‘난타’당했다. 국회의원의 지적은 누리꾼을 통해 일파만파로 퍼져나갔다. 모회사와 자회사 대표 간의 갈등서 시작된 사태가 케이팝의 바닥을 들춰냈다. 숨은 의장 지난달 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하 문체위) 국정감사에는 양민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장철혁 SM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정욱 JYP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최준원 위버스컴퍼니 대표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같은 달 15일에는 그룹 뉴진스의 하니 팜, 김주영 하이브 최고인사책임자 겸 어도어 대표이사가 환경노동위원회 국감에 각각 참고인과 증인으로 나갔다. 같은 달 24일에는 김태호 하이브 최고운영책임자 겸 빌리프랩 대표이사가
[일요시사 취재1팀] 김민주 기자 = “케이팝이 급성장하면서 그늘도 그만큼 커졌다. 하이브와 어도어의 갈등으로 일반 사람들까지 케이팝에 대해 상세하게 알게 됐으니, 이제는 고치는 노력이 필요할 때다.” 임희윤 대중문화 평론가의 말이다. 하이브와 어도어의 갈등이 끝나지 않고 있다. 결국 양측의 팬들까지 싸우는 모양새로, 서로를 비난하기 바쁘다. <일요시사>는 지난달 29일, 임희윤 대중문화 평론가를 만나 하이브-어도어 사태에 대해 어떻게 보고 있는지 들어봤다. 다음은 임 평론가와의 일문일답. -하이브와 어도어를 두고 ‘권력투쟁’ ‘집안싸움’이라고들 한다. ▲추정이지만, 내부의 문제가 드러난 것 같다. 여기엔 굉장히 케케묵은 감정이 있다. 곪은 상처가 터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확하게 어떤 것을 말하나? ▲케이팝의 큰 줄기를 보면 지금까지는 청각 크리에이터(작곡가, 가수 등)들이 지배했다. 제왕적 리더십 시대였다. 예를 들면 이수만, 양현석, 박진영 등은 전부 작곡가거나 가수 출신이다. 음악 자체가 핵심 콘텐츠고 이 사람들이 회사 운영을 하는 과정서 부작용이 있었다. 이때 소외된 게 뮤직비디오 안무, 비주얼 콘셉트 디자이너 등 시각 크리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