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02 06:28
어떤 사람들은 정치 이야기만 나오면 눈빛이 바뀝니다. 본인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을 욕하면 마치 내 가족을 욕한 것처럼 분노하죠. 오늘은 정치에 극성으로 빠지는 사람들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정신과 심리학의 시선으로 풀어보겠습니다. 단순하게 그냥 ‘정치 좋아하는 사람’ 얘기가 아닙니다. ‘왜 이렇게까지 몰입하게 되는가?’에 대한 뇌와 마음의 깊은 이야기입니다. 얼마 전 대한민국은 21대 대통령선거를 치렀습니다. 그 과정에서 몇몇 연예인들이 자신의 사진을 SNS에 게시했는데 이를 두고 특정 정당을 옹호하는 색깔의 옷을 입었다며 무분별한 비난에 휩싸인 적이 있었죠. 요즘은 정치가 단순한 의견의 차이를 넘어서 신념과 정체성, 감정의 싸움처럼 보이기도 하죠. “정치를 비판하면, 나를 공격하는 것처럼 느낀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정치에 열광하는 사람들은 보통 자신이 믿는 이념이나 정치인을 단순히 지지하는 게 아닙니다. 그건 정체성 자체가 되어버린 상태일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 스완은 이런 현상을 ‘정체성 융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 집단에 무슨 일이 생기면 내가 당한 것처럼 느끼고, 그 집단을 비판하면 나를 모욕한 것처럼 분노하고, 집단을 위해서라면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민주당은 중도 보수” 발언이 정계에 거센 후폭풍을 몰고 왔다. 당내뿐만 아니라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도 강한 비판이 이어지며 파장이 커지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지난 19일 국회서 기자들과 만나 전날 유튜브 방송에서 했던 “민주당이 중도 보수정권으로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는 발언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우리는 원래 진보 정당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는 “진보 정당은 정의당이나 과거 민주노동당 같은 정당이 맡고 있는 것 아니냐. 민주당은 원래 성장을 중시하는 중도 보수 정당”이라면서 “국민의힘은 극우·보수, 혹은 거의 범죄 정당이 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발언은 국민의힘을 ‘정통 보수’가 아닌 ‘극우 정당’으로 규정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 변화를 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실제로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우리 정치 지형은 보수에 너무 지나치게 치우쳐 있다. 특히 국민의힘은 극우적인 성향까지 보이고 있어서 민주당이 상대적으로 진보적이라고 평가된다”며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실었다. 그러나 민주당이 전통적으로 진보 계열 정당으로 인식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