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3 17:57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CJ올리브영에 600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게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이다. 이 사안이 상장 작업에 악재로 작용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상장 작업에 제동이 걸리면 경영권 승계 절차가 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의원(국민의힘·경기 평택시을)이 지난달 16일 입수한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 행위 및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심사 보고서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올리브영의 독점적 사업자 지위 남용 행위에 대해 ‘매우 중대한 위법행위’로 판단했다. 공정위는 올해 초 올리브영과 관련해 ‘납품업체 독점거래 강요 행위’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올리브영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해 자사 납품업체가 경쟁사와 계약하지 못하도록 강요했을 가능성에 주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심각한 악재 심사보고서상 세부평가기준을 보면, 공정위는 올리브영의 위반행위에 대해서 3.0으로 산정했다. 과징금 부과기준율을 살펴보면, 점수가 2.2 이상이면 매우 중대한 위반행위로 분류되는데, 올리브영은 3.0을 산정받았다. 유 의원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코로나19로 화장품 시장이 위축됐다. 하지만 CJ올리브영에는 다른 세계 이야기다. H&B(헬스앤뷰티) 시장에서 독주 중인 CJ올리브영은 기세를 몰아 내년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기업가치 높이기에 나섰다. 반면 경쟁사인 랄라블라와 롭스는 올리브영의 독주를 막지 못하며 고전하는 모양새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12월 프리 IPO(상장 전 투자 유치)를 통해 기업가치를 1조8361억원으로 인정받았다. 2014년 CJ올리브영과 CJ올리브네트웍스이 합병할 당시 외부 평가기관이 측정한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2178억원이었다. 7년 만에 기업가치가 약 8배나 상승했다. 7년 만 8배↑ 프리 IPO 성과가 IPO 흥행 여부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이번 평가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CJ올리브영은 내년 기업공개를 앞두고 기업가치 높이기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CJ올리브영은 O2O(온·오프라인 연계)를 강화하며 배송 서비스를 도입했고, 온라인 매출에 집중한 결과 오프라인 매출 감소분을 만회할 수 있었다. CJ올리브영 전체 매출에서 온라인 비중은 2019년 10.6%에서 2020년 18%까지 크게 늘어났고 올해 1분기에는 24%가량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