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13 01:01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13일 오늘의 날씨는 전국 대체로 흐리겠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오후부터 가끔 구름이 많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우리나라는 제주도 부근 해상에서 북상하는 정체전선(장마전선)과, 이로 인해 발달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다. 이날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겠다.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밤에 대부분 그칠 것으로 전망되며, 중부지방은 다음날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도 있겠다. 이날부터 14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 50~120mm(최대 150mm 이상) ▲강원 내륙, 산지 30~100mm ▲충남 북부·충북 중북부 30~80mm ▲광주·전남 20~80mm ▲대전·세종·충남 남부·충북 남부·제주도 산지 20~60mm ▲전북·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10~60mm ▲강원 북부 동해안 10~40mm ▲강원 중남부 동해안·제주도(산지 제외) 5~20mm ▲울릉도·독도 5~10mm다. 아침 최저기온은 22~26도, 낮 최고기온은 27~33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는 전 권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남해 앞바다에서 0.5~1.5m, 서해 앞바다에서 0.5~2.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서 약 200km 내 먼바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삼복 가운데 마지막에 드는 복날, ‘말복’인 9일 오늘의 날씨는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고, 새벽에 중부지방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해 남쪽으로 확산되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우리나라는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북상하는 정체전선(장마전선)과 이로 인해 발달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으나, 수도권과 강원도는 북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겠다. 이날부터 다음날까지 예상 강수량은 ▲광주·전남·부산·울산·경남 50~100mm(최대 200mm 이상) ▲전북 30~100mm ▲대구·경북 남부·제주도 30~80mm ▲대전·충남 남부·충북 남부·경북 중북부 10~60mm ▲세종·충남 북부·충북 중북부 5~40mm ▲울릉도·독도 5~20mm ▲경기 남부·강원 남부 5mm내외 ▲서울·인천·경기 북부·서해5도 5mm미만이다. 아침 최저기온은 21~25도, 낮 최고기온은 27~30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는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서해 앞바다에서 0.5~1.5m, 남해 앞바다에서 0.5~2.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서 약 200km 내 먼바다) 파고는 동해 0.5~2.0m, 서해 0.5~2.5m, 남해 0
[일요시사 취재2팀] 김성화 기자 = 6일 오늘의 날씨는 전국 곳곳에 많은 비가 내리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우리나라는 중국 발해만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이동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다 차차 벗어나겠다. 오전 12시부터 6시 사이 중부지방과 경북 북부에, 오전 6시부터는 그 밖의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비가 확대되겠다. 이날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 충청권, 경북 중·북부가 30~80㎜, 경기 북서부·동부와 강원 중·남부 내륙은 120㎜ 이상 쏟아지는 곳도 있다. 강원 동해안 10~40㎜ 광주·전남과 전북,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남부 20~60㎜ 울릉도·독도 5~40㎜ 제주는 10~60㎜ 수준이다. 아침 최저기온은 23~27도, 낮 최고기온은 27~34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과 강수의 영향으로 전 권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짧은 시간에 강한 강수가 내리면서 하천의 물이 갑자기 불어날 수 있어 접근 및 야영을 자제해야 한다”며 “강한 비로 인해 토사 유출, 산사태 및 낙석, 축대 붕괴 등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sunghwa@ilyosisa.co.kr>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18일 오늘의 날씨는 전국 대부분 지역이 흐리고 비가 오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우리나라는 서해상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다. 전날을 포함해 오는 19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광주·전남 200~300mm(최대 400mm 이상) ▲부산·울산·경남 150~300mm ▲충청권·전북 100~200mm ▲대구·경북 80~200mm ▲서울·인천·경기 50~150mm ▲강원 내륙, 산지·제주도(북부 제외) 50~100mm ▲제주도 북부 20~80mm ▲울릉도·독도 10~60mm ▲강원 동해안 10~50mm ▲서해5도 5~20mm다. 아침 최저기온은 22~26도, 낮 최고기온은 27~32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는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2.5m, 서해 앞바다에서 0.5~3.0m, 남해 앞바다에서 0.5~2.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서 약 200km 내 먼바다) 파고는 동해 1.0~3.5m, 서해 0.5~2.5m, 남해 1.0~2.5m로 예측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비가 내리는 지역에선 돌풍과 천둥, 번개가 치겠고,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많겠으니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연일 이어진 폭염이 끝나자마자 전국 곳곳에 기록적인 물폭탄급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인해 1명이 사망하고 116명이 긴급 대피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전날 오후 8시50분께 경기도 오산시에선 고가도로 옹벽이 무너지면서 승용차를 덮쳐 운전자가 목숨을 잃었다. 이날 오산 지역에는 64㎜의 많은 비가 왔으며, 사고 직전인 오후 6∼7시 강우량은 39.5㎜를 기록했다. 충남 서산 지역은 이번 폭우의 최대 피해지역으로 떠올랐다. 16일 오전 12부터 17일 오전 5시까지 무려 419.5㎜의 비가 쏟아지며 연평균 강수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이 하루 만에 내렸다. 이는 시간당 100㎜를 훌쩍 넘는 극한 강우로, 기상 관측 이래 드문 수준이다. 서산을 비롯해 태안 307㎜, 서천 305㎜, 당진 264.5㎜ 등 충남 서해안 일대도 물바다가 됐다. 당진천은 현재 범람 중이며, 초대천도 홍수 심각 단계에 진입해 추가 범람이 우려되고 있다. 예산 삽교천과 당진 역천 일대에는 홍수경보가 발령된 상태다. 이로 인해 충남 5개 시군에서 79세대 116명이 긴급 대피했으며, 이
[일요시사 취재1팀] 최윤성 기자 = 장마가 시작된 가운데 올해는 예년보다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자치구별로 장마철 대비에 힘을 쓰고 있지만 인력과 시간의 한계로 사각지대는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침수 피해로 막힌 빗물받이가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침수 피해를 막고자 서울시가 추진한 대심도 빗물 터널이 지연되면서 장마철마다 상습침수지역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7월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장마 시즌이 도래했다. 올해는 예년보다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여름 장마로 인한 홍수 피해 사고 소식이 들린다. 이에 철저한 대비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철저한 대비? 서울 자치구별로 이번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안전점검을 추진해 나가고 있지만 도로 내 빗물을 모아 공공하수도로 유입시키는 빗물받이가 여전히 쓰레기 등으로 막혀 장마철 침수 피해 등의 우려가 커진다. 빗물받이에 버려진 각종 쓰레기나 담배꽁초들이 배수 통로 바닥에 마구 버려져 폭우 때 빗물이 빠지지 않아 역류하는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빗물이 범람하거나 저지대 도로가 침수되는 주원인으로 배수시설 막힘이 꼽힌다. 배수구는 장마철을 제외하고는 청소하는
[일요시사 취재1팀] 김민주 기자 = 영화가 현실로 다가왔다. 영화 <기생충>에서 폭우로 반지하가 침수됐고, 이 장면이 현실 속에서 그대로 재현됐다. 현실 속 폭우는 끝났지만, 고난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반지하 주민과 집주인의 갈등은 계속되고 있고, 정부 대책은 이들의 갈등을 심화시킬 뿐이다. 어디에도 ‘반지하 주민의 삶을 위한’ 대책은 찾을 수 없다. 반지하는 반은 지상에, 반은 지하에 위치한 주거공간이다. 반지하 채광창에는 길거리를 걷는 외부 사람들의 발이 보인다. 원래는 지하실이나 보일러실 또는 전쟁 대비용으로 활용했던 공간이지만, 주요 대도시 인구가 증가하면서 거주용으로 바뀌었다. 어떻게 살라고… 집주인은 반지하를 주거공간으로 바꾸는 데 적극적이었다. 일반 주택은 허가가 4층까지만 하지만, 반지하는 지하로 분류돼 층수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반지하를 포함한 총 5개층의 임대료를 받기 위해 주거공간을 바꾼 것이다. 반지하층은 채광이나 습기, 침수 위험도 등이 지상층과 다르다. 이처럼 반지하가 주거용으로 바뀌면서 여러 문제들이 발생했다. 우선 반지하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음식물 부패도 쉽고 곰팡이가 많이 생긴다. 심한 곳은
수마가 지나간 전통시장에는 상품 가치를 잃은 물건들이 쓰레기 더미와 뒤엉켜 널브러져 있었다. 지난 8일 서울 강남권 지역에 하루 사이 300mm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상인들은 저마다 물에 젖은 제품들을 널어놓거나 물기를 닦는 데 여념이 없어 보였다. 시장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힘이 빠진다. 어떻게 장사를 다시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매장 바닥에 차오른 물을 퍼날랐다. 피해 규모가 큰 만큼 빠른 시간 안에 복구에 이르기는 어려워 보인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 동작구 남성사계시장에서 상인들이 수해 복구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글·사진=고성준 기자 joonko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