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24 11:53
‘아프니까 사장이다’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연입니다. 24일 ‘이런 진상이 다 있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는데요. 업주 A씨는 “비빔밥 매운맛 주문이 들어왔다” “완료 메시지가 뜨고 10분 뒤 전화가 걸려왔다”고 했습니다. 손님이 “매운맛 잘못 시켰는데 어떻게 하느냐?”고 묻자 A씨는 “주문대로 잘 보내드렸는데 뭐가 문제냐?”고 되물었습니다. 이에 손님은 “나한테 그걸 왜 묻냐? 그쪽에서 얘기해야 할 거 아니냐?”고 따졌습니다. 그러자 A씨도 “주문 들어온 부분은 잘 갔고 제가 해드릴 게 없다”고 대꾸했습니다. 전화를 끊은 손님은 10분 뒤 다시 연락해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주장했는데요. 실랑이 하기 싫었던 A씨는 “음식을 새로 해서 갖다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손님은 환불을 요구했습니다. “그럼 음식을 회수하겠다”고 A씨가 제안하자 손님은 “직접 처리하겠다”며 무작정 환불을 요청합니다. A씨가 음식값을 바로 입금해 주지 않자, 손님은 전화를 마구 하기 시작했는데요. A씨는 “‘전화받을 때까지 하겠다’며 50통 넘게 전화하더라” “배달앱 고객센터에도 전화를 얼마나 했는지 결국 고객센터 측에 얘기해서 배달 기사님이 음식을 회수해 왔다”고 토로했습니다. 이어
[일요시사 취재1팀] 남정운 기자 = 예전부터 손님은 ‘왕’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요즘 들어 부쩍 ‘폭군’이 늘었다. 진상 고객 피해담은 잊을만하면 또 터져 나와 많은 이들의 공분을 산다. 요구 조건을 들어주지 않으면 익명성에 기대 악의적인 소문을 퍼트린다. 억울한 ‘동네 사장님’은 영문 모를 날벼락에 냉가슴을 앓는다. 점차 온라인 정보 공유와 리뷰 시스템이 발달하면서 피해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세간에 알려진 피해 상황을 종합해보면 진상 고객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근거도 없이 다짜고짜 환불·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경우고, 나머지 하나는 무리한 요구를 일삼으면서도 되레 당당한 경우다. 과정은 다를지라도, 결말은 비슷하다. 일이 원하는 대로 풀리지 않으면 가게를 깎아내리는 이야기를 온라인상에 퍼트리기도 한다. 다른 과정 A씨는 반찬가게를 운영 중이다. 그는 지난 추석 연휴 때 한 통의 항의 전화를 받았다. 고객 B씨는 “A씨 가게에서 사간 모둠전 속 호박전을 먹고 식중독을 앓았다”고 주장했다. B씨 주장에 따르면 그는 지난 9월9일, 호박전을 구매해 냉장 보관했다. 이를 이튿날 성묘 때 가족들과 나눠 먹었는데, 온 가족이 식중독 증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