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9 17:28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15년 전 끝난 호텔 리모델링 사업이 좀처럼 물음표를 떼어내지 못하고 있다. 두 배 가까이 커졌던 공사비를 선뜻 납득하기 힘든 까닭이다. 시공사는 구멍 뚫린 사업을 진행하느라 손해를 잔뜩 본 채 3년을 날렸다지만, 찜찜함 구석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Project Financing)’은 프로젝트를 담보로 잡고, 미래에 발생할 이익을 상환 재원으로 삼아 추진하는 자금 조달 방식을 뜻한다. 주로 아파트, 주상복합건물 등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는 부동산 개발 사업에 활용되며, 시공사의 신용이 추가돼 자금 조달 규모가 책정된다. 물론 모든 부동산 PF 사업이 원활히 진행되는 건 아니다. 사업성을 갖추지 못한 채 진행된 부동산 PF가 부실화 과정을 겪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목격되고 있으며, 이는 금융 및 건설시장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꼽히곤 한다. 엄청난 기대 저조한 성과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타워호텔 리모델링 사업’ 역시 부실 부동산 PF의 단면을 드러낸 사례였다. 부동산 개발 업체인 ‘어반오아시스’가 시행을 맡은 해당 프로젝트는 기존 남산 타워호텔을 6성급 호텔로 변경하는 것이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쌍용건설에 대한 우려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외형적 성장은 충분히 이뤄졌지만 수익성은 기대치를 훨씬 밑돌았고, 심지어 재무상태에 빨간불마저 켜진 모습이다. 워크아웃 졸업 6년 만에 또다시 위기에 직면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1977년 설립된 쌍용건설은 외환위기 사태의 여파로 1998년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2004년 워크아웃을 졸업했지만, 재무악화로 2013년 또다시 워크아웃 대상이 됐고, 법정관리를 거쳐 2015년 두바이투자청(ICD)에 인수되기에 이르렀다. ICD는 지난해 말 기준 쌍용건설 지분 99.95%를 보유하고 있다. 부채의 늪 쌍용건설의 새 주인이 된 ICD는 기존 오너경영인이었던 김석준 현 쌍용건설 회장과의 동행을 선택했다. 김 회장은 쌍용그룹 창업주인 아버지 김종곤 전 쌍용그룹 회장의 차남이다. 대광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1978년 쌍용그룹 기획조정실에 입사해 6년 만에 쌍용건설 대표이사 사장을 맡았다. 김 회장은 그룹 위기 때마다 중심을 지켰다. 쌍용건설이 2번의 워크아웃과 8번의 매각절차를 밟을 때도 고통을 분담하며 자리를 지켜 임직원들의 두터운 신뢰를 받았다. 성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