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8 17:49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강남구 소재 갤러리 호리아트스페이스가 아이프미술경영과 공동기획으로 박성수·윤종석의 2인전 ‘여행의 온도’를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두 작가가 자동차로 유라시아를 여행하며 얻은 풍경과 감정을 캔버스에 담은 작품으로 구성됐다. 박성수·윤종석 작가는 296일 동안 4만5000㎞를 운전해 유라시아를 돌았다. 2023년 5월9일, 강원도 동해항을 출발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시작으로 26개국을 거친 대장정이었다. 이들은 다양한 대륙과 문화를 넘나들며 각자의 시선으로 고유한 풍경을 담았다. 각자의 시선 각기 다른 풍경과 문화, 사람의 삶 속에서 눈에 띄는 순간을 그린 두 작가의 여정은 색과 형태로 재탄생했다. 여행 중 그린 생동감 넘치는 그림, 여행의 끝자락서 한국으로 돌아와 여운을 담은 작품 등으로 전시를 준비했다. ‘여행의 온도’ 전시는 이들의 경험이 어떻게 예술로 승화됐는지를 보여줄 예정이다. 박성수는 그동안 작업하던 ‘못생긴드로잉’ 연작과 함께 자수, 유화 작업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을 소개했다. 못생긴드로잉 연작은 여행 중 그린 작품이다. ‘감정의 시작과 끝은 모를 때가 있다. 길 위에선 더더욱 그렇다’는 문구와 함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강남구 소재 갤러리 호리아트스페이스에서 윤종석 작가의 개인전 ‘창백한 푸른 점’을 준비했다. 개인전 ‘표면의 깊이’ 이후 2년 만에 다시 호리아트스페이스로 돌아와 신작을 발표했다. 윤종석은 ‘주사기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 제작기법은 쉽고 편해 보이지만 완성까진 고된 수행의 과정에 비견될 정도로 힘겹다. 주사기 통에 아크릴 물감을 넣고 짜내는 방식으로 1~2㎜의 작은 점을 화면에 수만 번, 혹은 수십만 번을 찍는 행위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깨알 같은 전시제목인 창백한 푸른 점은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저서 <창백한 푸른 점>에서 따왔다. 이 점은 1990년 2월14일 보이저1호가 촬영한 0.12화소에 불과한 작은 점의 지구 사진을 비유한 것이다. 칼 세이건은 저서 <코스모스>에서 “멀리 떨어져서 보면 지구는 특별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인류에게는 다르다. 저 점을 다시 생각해보자. 저 점이 우리가 있는 이곳이다. 저곳이 우리의 집이자 우리 자신이다. 세상에 존재했던 모든 사람이 바로 저 작은 점 위에서 일생을 살았다. 이 사진은 우리가 서로를 더 배려해야 하고 우리가 아는 유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