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3 00:01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지주사 체제로의 전환을 예고했던 빙그레가 당초 계획을 전면 철회했다. 인적 분할을 거쳐 지주사 체제를 구축하려 했던 큰 그림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 영향으로 경영권 승계 작업이 어떻게 진행될지 예상하는 건 한층 힘들어졌다. 빙그레는 지난해 11월 인적 분할 계획을 공표했다. 존속 법인 ‘빙그레홀딩스(가칭)’는 신규 사업 투자와 자회사 관리 등을 맡고, 신설 법인 ‘빙그레(가칭)’는 분할 대상 사업에 집중한다는 게 골자였다. 공식 분할일은 오는 5월1일, 신설 법인 재상장은 오는 5월26일로 예고된 상태였다. 뒤집힌 결정 신설 빙그레는 유가공 제품 등 음·식료품 생산 및 판매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체제를 구축할 방침이었다. 빙그레홀딩스는 지주회사로서 투자 및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그룹의 구심점 역할을 부여받을 것으로 보였다. 이를 계기로 ‘오너 일가→빙그레→자회사’였던 지배구조는 분할 후 ‘오너 일가→빙그레홀딩스→빙그레 및 자회사’로 변경이 예상됐다. 그러나 야심차게 추진한 인적 분할 계획은 두 달 만에 백지화됐다. 지난달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빙그레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분할 계획에 대한 진행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세방그룹 오너의 장남이 주목받고 있다. 30대 중반에 핵심 계열회사 임원 자리를 꿰차는 등 존재감이 부각된 덕분이다. 경영권 승계 전진기지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오너 개인회사도 이참에 주목받는 분위기다. 세방그룹은 이의순 창업주의 장남인 이상웅 회장이 주축이 된 오너 2세 경영체제를 가동 중이다. 1984년 세방그룹에 입사한 이 회장은 핵심 계열사인 세방전지와 지주사 역할을 하는 ㈜세방에서 대표이사를 역임했고, 2013년 부친으로부터 회장직을 넘겨받았다. 남다른 존재감 ㈜세방은 그룹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중이다. 다수의 계열회사를 직접 지배하고 있으며, 캐시카우인 세방전지를 지배하면서 세방전지 산하 계열회사에도 영향력을 행사한다. 다만 ㈜세방이 지배구조 최상단을 점유한 건 아니다. 올해 1분기 기준 ㈜세방 최대주주는 지분 18.53%(357만7634주)를 보유한 이앤에스글로벌이다. 이앤에스글로벌은 2012년 세방하이테크가 인적 분할 방식으로 쪼개지는 과정에서 자본금 2억원을 밑천삼아 출범 IT서비스 업체로, 이 회장의 개인회사에 가깝다. 이 회장이 지분 80%를 보유한 최대주주며, 나머지 지분 20%는 ㈜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일양약품 오너 3세가 경영 일선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착실하게 보폭을 넓혀 온 후계자는 어느덧 회사 경영을 총괄하는 위치에 올라선 상태다. 승계 작업이 완료되려면 갈 길이 멀다. 일단 경영 능력을 입증하는 게 급선무인데, 처한 현실이 녹록지 않다. 일양약품 최대주주는 올해 1분기 기준 지분 21.84%(416만7794주)를 보유한 정도언 회장이다. 정 회장은 2001년 부친인 고 정형식 명예회장에 이어 회장에 올랐고, 이듬해 6월 장내 매수를 거쳐 최대주주에 등극했다. 4개월 뒤에는 정 명예회장과 모친인 이영자 여사가 보유했던 주식 59만9127주(정 명예회장 54만1793주, 이 여사 5만7334주)를 장내 매수하면서 지배력을 끌어올렸다. 적통 후계자 정 회장의 장남인 정유석 사장은 올해 1분기 기준 일양약품 지분 4.08%(77만8877주)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정 사장은 2003년 회사 주식 25만주를 장내 매수하면서 지분율을 3%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2007년에는 주식분할에 따라 보유 주식이 53만주로 변경됐고, 지분율은 3.65%였다. 정 사장은 2011년 4월 일양약품이 실시한 유상증자에서 신주 11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CJ올리브영에 600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게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이다. 이 사안이 상장 작업에 악재로 작용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상장 작업에 제동이 걸리면 경영권 승계 절차가 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의원(국민의힘·경기 평택시을)이 지난달 16일 입수한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 행위 및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심사 보고서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올리브영의 독점적 사업자 지위 남용 행위에 대해 ‘매우 중대한 위법행위’로 판단했다. 공정위는 올해 초 올리브영과 관련해 ‘납품업체 독점거래 강요 행위’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올리브영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해 자사 납품업체가 경쟁사와 계약하지 못하도록 강요했을 가능성에 주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심각한 악재 심사보고서상 세부평가기준을 보면, 공정위는 올리브영의 위반행위에 대해서 3.0으로 산정했다. 과징금 부과기준율을 살펴보면, 점수가 2.2 이상이면 매우 중대한 위반행위로 분류되는데, 올리브영은 3.0을 산정받았다. 유 의원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노루그룹 오너 3세가 지배력을 높이고 있다. 부친이 보유한 지주사 지분 일부를 흡수하는 절차가 연이어 목격된 상태. 개인회사를 앞세운 우회 방식이 활용되면서, 후계자는 별다른 출혈 없이 부친 지분을 넘겨받는 데 성공했다. 노루그룹은 2000년부터 한영재 현 회장을 축으로 하는 오너 2세 경영 체제를 가동 중이다. 한 회장은 노루페인트의 전신인 대한페인트잉크에서 상무, 부사장를 거쳐 대표이사를 지내는 등 경영 일선에서 착실히 입지를 다졌다. 한 회장은 경영을 총괄하는 자리에 올라선 지 20년 넘게 경영 전반을 직접 살피고 있다. 이사회 구성원으로 이름을 올린 계열회사만 해도 ▲노루홀딩스 ▲노루페인트 ▲노루코일코팅 ▲노루케미칼 ▲더기반 ▲노루로지넷 등 6곳이다. 차근차근 예고된 수순 한 회장 밑에서 오너 3세인 한원석 노루홀딩스 부사장도 조금씩 보폭을 넓히는 모습이다. 1986년생인 한 부사장은 한 회장의 1남1녀 중 장남이다. 미국 센터너리대 경영학을 전공했고, 2014년 노루홀딩스에 사업전략부문장(상무보)으로 입사했다. 한 부사장은 입사 8년 만인 지난해 12월 노루홀딩스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그룹의 후계자로 낙점 받은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정식품이 경영권 승계 절차를 밟고 있다. 후계자로 지목된 오너 3세는 발언권이 강해졌고,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보폭을 넓히는 양상이다. 후계자가 부각될수록 오너 일가 개인회사인 ’오쎄’를 주목하는 시선도 많아졌다. 승계 과정에서 지렛대로 활용될 여지가 충분한 까닭이다. 두유 및 음료 제조업체 정식품은 지난 1월 정연호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오너 3세인 정 사장은 정재원 정식품 창업주의 손자이자, 정성수 회장의 장남이다. 연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 산업공학과 석사를 거쳐 스탠포드대 경영과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커지는 존재감 특히 2017년에는 정식품 부사장으로 선임된 데 이어, 기존 기타비상무이사에서 사내이사로 변경 선임됐다. 부사장 및 사내이사 선임을 계기로 회사 경영상 발언권이 한층 강해졌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경영을 총괄하는 위치로 올라선 정 사장에게는 매출 확장 확대라는 막중한 임무가 주어진 상황이다. 정식품은 2017년 2014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2000억원대 매출 고지를 밟은 이후 제자리걸음의 연속이었다. 최근 5년간 매출은 ▲2018년 2017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풀무원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한 이원화된 지배 체제가 뿌리내린 모습이다. 경영 일선에서 자취를 감춘 오너를 대신해 전문경영인이 그룹을 이끌고 있고, 오너 2세들의 경영 참여 움직임도 없는 상태다. 다만 오너 가족 회사의 활용법에 따라 2세들의 행보가 결정될 여지가 남아 있다. 풀무원은 2008년 7월 인적 분할을 통해 지주사 체제로 전환했다. 풀무원홀딩스가 지주사, 풀무원이 사업회사를 맡는 구조였다. 2010년 풀무원은 풀무원식품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2014년 4월 풀무원홀딩스는 풀무원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모범 경영 표본 풀무원은 2018년 1월 경영 체제에 일대 변혁을 맞이했다. 33년간 풀무원을 이끈 남승우 이사장이 대표이사에서 물러나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남 의장은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기로 결정했고 “상장기업은 가족경영이 유리하지만 상장기업의 경영권은 전문경영인이 승계 받는 게 합리적”이라는 소신을 실행에 옮겼다. 남 의장으로부터 전권을 넘겨받은 이효율 대표는 1983년에 사원 1호로 입사해 34년 만에 최고경영자까지 오르게 됐다. 그는 풀무원 입사 후 마케팅팀장, 사업본부장, 영업본부장, 풀무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LF그룹에서 의미심장한 지분율 변동이 목격됐다. 그리 눈에 띄지 않는 비주류 계열회사가 그룹 핵심 회사의 주식을 연달아 매입하고 나선 것. 후계자의 개인회사를 앞세운 경영권 승계 작업이라는 본질을 파악하는 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 2007년 LG상사에서 분리된 ㈜LF는 2014년 3월 현재의 상호로 변경하고 LG그룹과 완벽한 선긋기를 이뤄냈다. LG패션 계열분리 작업을 진두지휘했던 인물이 바로 구본걸 현 LF 회장이다. 고 구인회 LG그룹 창업주의 손자인 구 회장은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 과정을 마친 뒤 LG증권 재무팀에 입사해 주요 보직을 거쳤다. 구 회장은 2006년 11월 LG상사 패션 부문 대표이사 사장에 부임했고, 이듬해 패션 부문은 계열분리를 통해 LG그룹에서 떨어져 나왔다. 분주한 움직임 홀로서기는 꽤나 성공적이었다. LF그룹은 ▲라푸마 ▲헤지스 ▲모그 등 다수의 브랜드가 시장에 안착한 것에 힘입어 거대 패션기업으로 발돋움하기에 이르렀다. LF그룹은 ㈜LF라는 확실한 캐시카우를 기반으로 어느새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기업집단의 면모를 갖춘 상태다. 올해 상반기 기준 계열회사는 49곳(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