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21 01:01
미국경찰 = 도넛 수많은 영화, 드라마, 심지어 게임까지 이 공식은 너무 당연하게 그려집니다. 하지만 경찰이 정말 도넛을 그렇게 좋아할까요? 혹시… 그들 말고 누군가가 먼저 도넛을 좋아하게 만든 건 아닐까요? 미국 대중문화에서는 오랫동안 ‘경찰 = 도넛’이라는 이미지가 소비돼 왔습니다. 《심슨》의 ‘위글럼’ 경관, 《브룩클린 99》의 제이크 페랄타, 그리고 수많은 밈들. 도넛을 한 입 베어 문 경찰은 코믹하면서도 친숙한 존재처럼 그려졌죠. 근데 이게 웃자고 만든 캐릭터가 아니라, 실제 미국 사회의 풍경을 반영한 거라면? 그렇다면 진짜 이유가 있겠죠. 시간은 1950년대. 당시 미국은 지금처럼 24시간 사회가 아니었습니다. 대부분의 식당은 저녁이면 문을 닫았고, 밤에 문을 여는 곳은 거의 없었죠. 그런데 도넛 가게만은 예외였습니다. 왜냐고요? 도넛은 아침에 잘 팔리는 음식이라 가게에서는 새벽 전에 도넛을 미리 튀겨놔야 했거든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도넛 가게는 밤에도 불을 켜고, 안에는 사람이 있었고, 커피도 준비돼 있었고, 앉을 자리도 있었죠. 그 결과, 심야에 유일하게 ‘열려 있는 공간’이 된 겁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범죄자 입장에선 강도짓 하기 딱 좋
한때 이런 농담이 있었죠. “긴급상황에 경찰을 부르고 싶다면, 도넛 상자를 들고 돌진해라.” 근데 진짜로 왜 미국 경찰은 도넛을 그렇게 자주 먹는 걸까요? 이건 단순한 간식 취향을 넘어, 미국 경찰과 도넛 사이에 얽힌 웃기고도 짠한 역사가 있는데요. 1950~60년대 미국. 어두운 밤거리에선 범죄가 잦았습니다. 특히 심야 시간까지 문을 여는 도넛 가게는 현금이 많고, 직원은 적고, 방심하기 쉬운 장소로 강도들의 표적이 되기 에 딱 좋았죠. 밤마다 벌어지는 소규모 절도, 무장 강도에 골머리를 앓던 도넛 가게 주인들은 한 가지 묘수를 떠올리는데요. “경찰을 가게에 머물게 하면 범죄자들이 못 오지 않을까?” 그때부터 도넛 가게는 경찰에게 커피를 공짜로 주고, 따뜻한 자리까지 내줍니다. 경찰들은 자연스럽게 도넛 가게를 ‘휴식처’로 삼게 됐고, 도넛 가게 입장에서도 경찰이 자주 와주면 범죄 예방 효과까지 생기니 서로에게 윈윈이었죠.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가게 앞에 경찰차가 자주 보이자, 범죄자들은 도넛 가게를 멀리하게 된 것이죠. 즉, 경찰이 도넛을 좋아하게 된 게 아니라 도넛 가게가 먼저 경찰을 좋아한 것입니다.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강도를 피하기 위해 경찰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