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3 17:57
“도대체 누가 이 죽음에 책임이 있는가. 난 할 수 있는 수사에 최선을 다했다.” 그랬을 뿐인데 항명죄가 붙었다. 박정훈 대령은 사실 그대로를 조사해 보고했다. 채수근 일병의 죽음에 사단장의 책임을 묻겠다는 조사 결과가 담겨있었을 뿐이다. 국방부는 ‘사단장의 책임을 묻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 여전히 국방부는 은폐·조작을 하겠다는 것인가? 군 수사는 ‘정녕’ 정직할 수 없는 것인가? 아래는 글 싣는 순서다. <편집자 주> ①헛발질의 전환점 ②군사경찰의 고백 ③국회 국방위원 배진교의 직언 ④군판사가 경험한 군사법원 무용론
대한민국이 메르스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일어나면 늘고, 일어나면 늘고, 감염자들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사망자도 있어 가슴을 철렁이게 합니다. 국민들은 우왕좌왕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상황. 아주 난리도 아닙니다. 그런데도 정부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모양입니다. 처음부터 그랬죠. 안일했던 정부는 뒤늦게 허둥지둥하는 꼴입니다. 뭘 해야 될지 모르나 봅니다. 정치권도 호들갑만 떨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도 서로 욕하기 바쁘네요.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결국 대통령이 나섰습니다. 너무 기대가 컸나요. 그만큼 실망도 큽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습니다. 무능해도 이렇게들 무능할 수 없을 겁니다. 국민들은 정말 답답합니다. 한숨만 나옵니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됐을까요. 이러다 정말 큰일 나겠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일요시사>는 ‘메르스, 왜 심각한가’란 제목의 긴급진단을 기획했습니다. 이번 사태를 진단하고 탈출구를 모색합니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변종 가능성 있다 2.정부가 키웠다 3.대책이 없다 4.음모론이 퍼진다 5.사스와는 다르다 6.괴담이 판친다 7.경제가 위험하다
[일요시사=편집자] 찬바람만 쌩쌩 불고 있는 대한민국 경제. 서민들은 죽을 맛이다. 실물경제가 꽁꽁 얼어붙어 과거 IMF 시절보다 더 춥다는 게 국민들의 이구동성. 온 나라가 '곡소리'로 가득하다. 2012년 말만 해도 국민들의 기대감으로 온 나라가 들썩였다. 박근혜 대통령이 하도 복지 복지해서 서민만큼은 확실히 책임질 줄 알았다. 기대감은 오래가지 못했다. 경제는커녕 정치, 사회, 외교, 대북관계 등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돌아가는 구석이 없어서다. 박근혜정부가 들어선 지난 1년, 대한민국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국내 사정은 한마디로 그리 좋지 않았다. 서민들은 피눈물을 흘렸다. 하루도 편한 날이 없었다. 한숨이 멈추지 않았다. 여전했던 지난 1년 전셋값과 기름값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고, 일자리는 쉽사리 눈에 띄지 않았다. 정부는 민생고 해결에 두 팔을 걷어붙였지만, 서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기엔 역부족이었다. 동·서 지역 갈등, 신·구 세대 갈등, 진·보 이념 갈등, 상·하 계층 갈등 등도 여전하다. 그런데도 정치권은 서로 못 잡아먹어 안달이었다. 정치인들은 '밥그릇'을 두고 싸우기 바빴고, 서민을 외면한 공무원들은 손
[일요시사=편집자] 윤창중과 김학의. 요즘 국민들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이름이다. 술자리에서 이 둘은 씹기 좋은 안줏거리. 일상 대화도 두 사람을 빼놓곤 얘기가 안 될 정도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잇단 성스캔들 박근혜정부 들어 급부상한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과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은 불미스런 사건에 휘말려 한순간에 급추락 했다. 윤 전 대변인은 인턴 여대생 성추행, 김 전 차관은 별장 섹스파티 의혹이 일어 관복을 벗었다. 영원히 지울 수 없는 '여론 빨간줄'도 그어졌다. '성(性)스캔들'은 무시무시한 북한의 도발마저 잠재웠다. 둘 다 고위층이라 국민들의 충격이 크다. 전문가들은 만약 의혹이 사실이라면 단순 실수로 보긴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강간, 성추행, 성희롱, 음란전화….' 성폭력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처음 떠오른 것은 1980년대다. 부천 성고문 사건, 경찰의 임신여성 성폭행 사건, 성폭행한 의붓아버지를 살해한 김보은 사건 등이 계기였다. 1990년대 들어 성폭력이 중대범죄로 인식되면서 관련 법 제정 논의가 시작됐고, 1994년 성폭력특별법이 제정됐다. 이후 지속적인 개정안을 통해 구체적 내용과 처벌 조항이 업그레이드 됐다. 그럼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