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10 01:01
지난 4일, 홈플러스가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소비자뿐만 아니라 홈플러스에 물품을 납품하던 업체들까지 불안감이 나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다 휴지 조각이 되는 것 아닌가 싶은데요. 이번 홈플러스 사태가 왜 발생했는지, MBK파트너스와 사모펀드가 무엇이기에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인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MBK파트너스는 2005년 김병주 회장이 설립한 동아시아 최대 사모펀드인데요. 우선 사모펀드란 사모와 펀드에 합성어로 ‘사적으로 모인 펀드’를 말합니다. 공모펀드는 누구나 쉽게 투자할 수 있지만 사모펀드는 비공개로 고액 자산가나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소수의 사람을 모아 주식이나 돈을 운용사가 기업 등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핵심 전략은 ‘바이아웃(Buyout)’ 투자자들은 펀드 수익에 따라 배당금을 받게 되고 사모펀드 운용사는 상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인수해 성장시킨 후 기업 가치를 높여 되파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큰손끼리 돈을 모아 기업을 인수하고 비싸게 되팔아 수익을 내는 방식인 거죠. 즉, 기업을 장기적으로 키운다기보다는 단기간에 차익을 실현하는 데 집중하는 구조입니다. 가입 금액도 최소 3억 원 이상인 경우가 많아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DS단석 형제 승계 작업에 관여했던 사모펀드가 3배 가까운 차익을 남기고 주식을 모두 정리했다. 사모펀드의 도움 덕분에 창업주의 장남은 수백억원대 현금을 얻었고, 차남은 경영권을 온전히 독차지할 수 있었다. DS단석은 고 한주일 창업주의 차남인 한승욱 회장이 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리사이클링 전문 기업이다. 한승욱 회장은 올해 상반기 기준 DS단석 지분 36.44%(213만6042주)를 확보한 최대주주다. 예고된 수순 DS단석은 동종업계에서 보기 드물게 형제 승계 절차를 밟았다. 한승욱 회장은 형인 한구재 전 회장으로부터 대표이사직을 넘겨받은 2012년부터 경영을 총괄했지만, 한구재 전 회장이 이름을 올린 최대주주 자리는 좀처럼 바뀌지 않았다. 이 같은 구도는 2021년 12월 한구재 전 회장이 주주명부에서 제외된 것을 계기로 급격히 뒤바뀌었다. 당시 한구재 전 회장 일가는 DS단석 지분 61%(▲한재구 전 회장 32.28% ▲한창조 3.72% ▲박연숙 9.88% ▲한창우 7.37% ▲한창옥 8.00%)를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스톤브릿지캐피탈(이하 스톤브릿지)’에 매각했다. 재무적 투자자(FI)인 스톤브릿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