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김설아 기자] 지난 37년간 북한의 절대 권력자로 군림해온 고 김정일 국방위원장. 최고 권력자로서의 화려했던 인생만큼이나 애정관계 역시 화려했다. 김정일은 생전에 여성편력이 심해 복잡한 가계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곁에 두고 있던 부인도 알려진 것만 4명. 김정일이 특히 예술에 조예가 깊었던 만큼 그 옆에는 영화를 비롯한 문화예술을 공부했거나, 당대 최고의 예술인으로 활동하며 주목을 받은 여인들이 많았다.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김정일 여자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김정일 여자관계, 독재자라 해도 너무 심해”
생전에 4명의 여인과 동거…그 외에도 많아
김정일의 여성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자식을 낳아준 것으로 확인된 사람만 성혜림, 김영숙, 고영희 등 3명이고, 그 외 만수대 예술단 배우, 현직 대사의 부인, 기쁨조, 비서관 등을 통해 마음에 드는 여성은 쉽게 취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 안기부 북한조사실 단장 송봉선씨는 “과거 우리의 왕조시대 왕이나 여타 독재국가의 독재자들과 비교한다면 자녀는 많다고 볼 수 없으나, 동거녀 3명 외에 다수의 여성을 접촉하는 형태는 현대 지도자로서는 아무리 독재자라고 하여도 지나치다고 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송씨는 김정일의 여성편력의 특징에 대해 첫째는 친부 김일성으로부터 어느 정도 유전적 요소가 있었을 것으로 봤다. 김일성이 70세가 된 나이에도 간호사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낳은 것이 부전자전의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기도 했다.
장군님의 여인들
먼저 김정일의 첫 동거녀로 알려진 성혜림은 김정일보다 다섯살 연상으로 1960∼70년대 초 북한 영화계를 주름잡은 최고의 여배우로 꼽힌다. 경남 창녕군에서 출생한 성혜림은 김정일 친구의 부인이자 이미 딸을 하나 낳아서 기르고 있던 유부녀였다.
탁월한 미모의 소유자는 아니나 동양적인 단아함과 차분함으로 모성애 결핍을 채워주는 분위기를 지녀 김정일의 눈에 들었다고 알려진다.
김정일이 성혜림에게 반해 몰래 비밀 동거 생활을 하며 정남을 낳았고, 이 아들의 존재를 김일성에게도 숨긴 채 김일성이 소개한 여자와 결혼해 설송이란 딸을 낳은 것이라 전해진다.
평생 숨겨진 여인으로 살아야만 했던 비운의 주인공이 되고 만 성혜림은 이후 김정일이 여러 여인과 동거를 하면서 신경쇠약과 우울증, 신경성 질환, 당뇨병 등 여러 지병에 시달리다 지난 2002년 5월 모스크바에서 세상을 등졌다.
김정일의 두번째 동거녀는 김영숙이다. 그는 김정일의 네 여인 중 유일하게 김일성 주석의 정식 허락을 받아 결혼식을 거친 공식 부인이다.
처가 득세에 염증이 난 김일성이 직접 고른 시골 출신의 단아한 미인이란 얘기가 있다. 그러나 부친 몰래 이미 연상의 유부녀 여배우와 동거하고 있던 김정일은 시골 출신에 그다지 센스도 뛰어나지 않은 김영숙에게 별 애정은 없었다고 한다.
김영숙은 김정일의 딸을 둘 낳았다고 알려졌으나, 김정일의 거듭된 여성 편력으로 인해 공식 석상에 한 번도 부인으로 등장하지 못하고, 잊혀진 비운의 존재로 알려져있다. 김영숙과 설송,춘송의 사진 역시 철저히 은폐되고 있다.
김정일의 세 번째 부인이자, 생전에 가장 사랑했던 여인으로 알려진 고영희씨는 김정일의 후계자 김정은의 생모다.
재일교포 출신의 고영희는 평양 만수대예술단 무용수로 활동했던 1970년대 중반 김정일과 동거를 시작한 이후 사망 전까지 줄곧 김정일과 함께 살았다. 고영희의 부친 고태문씨는 제주도 출신으로 일본에서 유명한 유도선수였다.
김정일의 요리사를 지낸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씨가 자서전 ‘김정일의 요리인’에서 “고영희를 알고 난 뒤부터 김정일의 여성 편력이 줄었다”고 말할 정도로 고씨에 대한 김 위원장의 애정은 각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고영희는는 김정일과 사이에 아들 김정철과 김정은, 딸 김여정 등 2남 1녀를 뒀다. 그러나 ‘김정일의 여인’으로서의 자리를 고수하기 위한 그의 삶도 오래가지 못했다. 고씨는 2004년 51세의 나이로 프랑스에서 유방암 치료 등을 받다가 심장마비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영희의 사망을 눈앞에 둔 시점에 김정일의 안방을 차지한 또 다른 여인은 김정일의 비서출신인 김옥이다. 김옥은 김정일의 생전에 사실상 퍼스트레이디로, 김정일이 눈을 감는 마지막 순간까지 곁을 지킨 최후의 여인이기도 하다.
김옥은 1964년생으로 평양음악무용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했으며, 1980년대 초부터 고영희가 사망할 때까지 김정일의 기술서기로 활동했다. 둘 사이에 자녀가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짝사랑한 여자
한편 지난 2000년 이후 김정일이 가장 총애했다는 가수 윤혜영은 그의 구애를 외면하고 다른 남자를 사랑했다가 비공개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의 저자인 탈북자 장진성씨 증언에 따르면 “이 윤혜영이라는 여자는 보천보 전자악단 여가수 출신으로 당시 22세의 꽃다운 나이였으며, 김정일이 추근댈 때 그는 61세였다”고 한다.
당시 김정일은 40여년 가까이 어린 윤씨에게 눈이 뒤집혀 유럽에서 공수해온 최고가 선물 공세를 펼치는 등 과하게 집착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윤혜영은 보천보전자악단 피아니스트 김성진과 이미 연인 사이였으므로 김정일의 구애를 거부했고 이에 격노한 김정일의 보복이 두려워 두 젊은 연인은 옥상에서 동반 투신자살을 기도했다고 한다.
이후 윤혜영은 철저히 실종되면서 북한 고위층 내부에서 윤혜영이 링거를 꽂은 채 비공개 처형당했다는 설이 파다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