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돌고래호’ 고물 여객선

위험천만, 바다에 떠다니는 고철덩어리

[일요시사 사회2팀] 유시혁 기자 = 세월호, 돌고래호 등 선박 전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연안여객선 이용객들의 안전불감증이 고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요시사>에서는 연안여객선의 진수년도를 조사해 노후실태를 점검해봤다.

해양안전심판원과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해난사고 발생건수는 비어선 457건, 어선 1123건으로 총 1580건이다. 인명피해는 충돌 155명, 접촉 9명, 좌초 14명, 전복 318명, 화재·폭발 32명, 침몰 58명, 기관손상 2명, 인명사상 117명, 기타 5명으로 총 710명(사망자 404명, 실종자 63명, 부상 243명)으로 조사됐다.

연식 보니…

지난해 4월16일 발생한 연안여객선 세월호 전복사고로만 295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된 것으로 밝혀졌다. 세월호는 일본 하야시카네 조선소가 1994년 6월에 건조한 여객선으로 건조된 지 20년 만에 진도군 해상에서 침몰했다.

지난 6일 발생한 돌고래호 전복사고로 세월호 사고가 재조명되고 있는 가운데 <일요시사>에서는 국내 연안여객선의 노후실태를 점검해봤다. 11개 지방청이 관리하고 있는 95개 항로(일반항로 69개, 보조항로 26개) 168척의 여객선의 진수년도를 조사한 결과, 10년 초과 여객선이 126척(75%), 이 가운데 20년 초과 여객선만 42척(25%)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안여객선 4척 중 1척이 진수된 지 20년 이상 된 여객선인 셈이다. 10년 초과 15년 이하 여객선이 32척(19.05%), 15년 초과 20년 이하 여객선이 52척(30.95%), 20년 초과 25년 이하 여객선이 36척(21.43%), 25년 초과 여객선이 6척(3.57%)이며, 10년 이하 여객선이 42척(25%)으로 나타났다.


연안여객선 168척의 전체 평균 진수년도는 15년(2000년)으로 조사됐다. 11개 지방청별 여객선 평균 진수년도를 조사한 결과, 부산지방청(3척)이 26.3년, 포항지방청(6척)이 21.2년, 제주지방청(9척)이 17년, 여수지방청(26척)이 15년, 마산지방청(21척) 14.7년, 동해지방청(3척)이 14년, 목포지방청(67척)이 13.8년, 군산지방청(7척)이 13.7년, 인천지방청(16척)이 13.3년, 대산지방청(10척)이 11.9년으로 나타났다.

연안여객선 168척 중 진수된 지 가장 오래된 여객선은 제주에서 완도를 잇는 항로에 투입된 한일카훼리3호(606톤, 정원 255명)다. 1986년에 진수된 이 여객선은 지난 3월22일부로 검사만료돼 3000톤급 신규 대형여객선 취항 시까지 주 1회 우수영~추자도~제주 왕복운항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과 제주 항로를 왕복 운항하는 서경파라다이스호(6626톤, 613명)는 지난 1987년에 진수된 이후 28년째 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중앙동에서 용호동 항로의 누리마루호(358톤, 275명)와 울릉 도동에서 독도를 잇는 삼봉호(106톤, 210명)도 1988년에 진수돼 27년째를 운항 중이다.

제주행 여객선은 15년 미만 여객선이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 목포, 완도, 녹동, 해남 등의 항로를 오가는 10척의 제주행 여객선이 1986년부터 1999년에 진수됐다. 한일카훼리3호(1986년, 제주∼완도), 서경파라다이스호(1987년, 부산∼제주), 씨스타크루즈호(1990년, 목포∼제주), 남해고속카훼리7호(1991년, 녹동∼제주), 한일카훼리1호(1991년, 제주∼완도), 한일블루나래(1992년, 제주∼완도), 서경아일랜드호(1993년, 부산∼제주), 로얄스타호(1995년, 해남우수영∼제주), 핑크돌핀호(1996년, 제주∼목포), 고흥아이리스호(1999년, 녹동∼제주)가 이에 해당된다.

경남 통영의 소매물도행 여객선 8척 중 2척(매물도구경3호 2002년, 한솔1호 2012년)을 제외한 6척 모두 15년 이상 운항된 여객선으로 조사됐다. 1990년에 진수된 섬사랑3호를 비롯해 매물도구경호(1991년), 매물도구경2·5호(1992년), 엔젤3호(1993년), 매물도구경7호(2000년)가 포함됐다.

목포의 홍도·소흑산도행 초쾌속선 8척과 카페리 1척도 1996년 이후 진수된 여객선이 단 한 척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9척의 여객선은 여객정원이 최저 250명에서 최대 493명으로 도서민 및 관광객들이 주로 이용한다. 울릉도에서 독도 운항 항로를 이용하는 쾌속선 4척은 1988년부터 1996년 사이에 진수된 여객선이다.

1988년에 진수된 삼봉호(여객정원 210명)을 비롯해 독도사랑호와 씨플라워2호가 1990년, 돌핀호가 1996년에 진수됐다. 제주지방청에 등록된 제주~완도 항로의 3척의 카페리도 운항을 시작한 지 20년이 넘었다. 한일카훼리3호(1986년)가 29년, 한일카훼리1호(1991년)가 24년, 한일블루나래호(1992년)가 23년째 운항 중이다.


한편 지난해 여객선 이용객은 도서민 361만2090명, 일반인 1065만9044명으로 총 1427만1134명이다. 지역별 수송실적을 살펴보면 목포가 361만4255명(25.33%), 완도가 238만8646명(16.74%), 마산(통영)이 202만4128명(14.18%), 여수가 177만1927명(12.42%), 인천이 148만271명(10.37%), 제주가 125만5261명(8.8%), 대산이 53만2371명(3.73%), 포항이 39만9153명(2.66%), 동해가 36만30명(2.52%), 군산이 35만4887명(2.49%), 부산이 8만9891명(0.63%), 평택이 314명(0.002%)이다.

대부분 노후

가장 많이 이용한 항로는 목포∼홍도(69만1467명), 완도∼청산(59만79명), 목포∼제주(57만4196명), 화흥포∼소안(53만1167명), 모슬포∼가파도∼마라도(47만6693명), 신기∼여천(45만7795명), 진리∼점암(44만9001명), 제주∼완도(43만9303명), 땅끝∼산양(42만3298명)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가오치∼사량(38만542명), 통영∼의항(36만2655명), 통영∼욕지도(33만4664명), 삼목∼장봉(33만279명), 포항∼울릉도동(31만4941명), 통영∼소매물도(30만6910명), 인천∼백령(29만5783명) 순으로 나타났다.

<evernuri@ilyosisa.co.kr> 

 

<해난사고 발생 현황>

구분 비어선 어선
여객선 유도선 화물선 유조선 예부선 기타선 일반어선 낚시어선
2012년 33건 112건 42건 166건 117건 1346건 1816건
2013년 29건 110건 50건 118건 61건 849건 1217건
2014년 60건 14건 133건 51건 171건 29건 1014건 109건 1123건

(자료=해양안전심판원,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연안여객선 선종별 현황>

구분 5년 이하

5년 초과

10년 이하

10년 초과

15년 이하


15년 초과

20년 이하

20년초과

25년 이하

25년 초과
2012년 19척 23척 33척 59척 34척 4척 172척
2013년 20척 20척 28척 63척 36척 6척 173척
2014년 26척 16척 32척 52척 36척 6척 168척

(자료=한국해운조합)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4·10 이후···4인 파워게임> 화려한 부활 조국

[4·10 이후···4인 파워게임] 화려한 부활 조국

[일요시사 정치팀] 박희영 기자 = 조국혁신당(이하 조국당)이 두 자리 의석수를 확보하면서 원내 3당으로 자리 잡았다. 조국 대표는 비례순번 2번으로 단숨에 여의도행 티켓을 따냈다. 문재인정부 초대 민정수석비서관과 66대 법무부 장관 등 굵직한 이력을 지녔지만 초선인 만큼 처음부터 입지를 다져야 한다.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조 대표의 생존 전략은 무엇일까?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과반을 넘기면서 조국혁신당(이하 조국당)의 표정도 덩달아 밝아졌다. 지난 10일, 민주당의 압승에 가까운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서 상황을 지켜보던 조국당 지지자들도 감탄사를 내뱉었다. 조국당이 기대하던 ‘10석+알파(α)’가 확실해졌다. 주먹을 쥔 지지자들은 연신 “조국”을 외쳤다. 총선 뒤흔든 조국혁신당 조 대표는 이날 총선 출구조사 결과에 대해 “국민이 승리했다”고 소리 높였다. 그는 “국민께서 윤석열정권 심판이라는 뜻을 분명하게 밝히셨다”며 “윤석열 검찰 독재 정권의 퇴행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는 국민 여러분이 이번 총선 승리의 진정한 주인공”이라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번 총선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라. 그리고 그간 수많은 실정과 비리에 대해 국민께 사과하라”며 “이를 바로잡을 대책을 국민께 보고하라”며 “총선은 끝났지만 조국당이 만들 우리 정치의 변화는 이제 시작이다. 개원 즉시 ‘한동훈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비례대표 개표 현황에 따르면, 조국당은 12석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18석으로 가장 많은 당선자를 배출했다. 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이하 민주연합)이 14석을 얻었으며 개혁신당과 진보당은 각각 1석을 얻는 데 그쳤다. 조국당은 24.2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생정당이 20%가 넘는 지지율을 거두자 정치권에서는 이례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로써 조국당 비례대표 12번까지는 무난히 당선권에 들었다. 차례대로 ▲박은정 ▲조국 ▲이해민 ▲신장식 ▲김선민 ▲김준형 ▲김재원 ▲황운하 ▲정춘생 ▲차규근 ▲강경숙 ▲서왕진 등의 후보가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한때 여권서 “조국이 나오면 땡큐”인 ‘조나땡’이란 말까지 나왔지만 이를 상쇄시킬 정도로 조국당의 돌풍은 거셌다. 조 대표가 부산 민주공원서 신당 창당 선언문을 낭독했을 때만 하더라도 지금과 같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한 이들은 극히 드물었다. 기세 좋게 제3지대로서의 존재감을 키워가던 개혁신당과 새로운미래의 갈등이 불거지면서 ‘조국 열풍’ 또한 금세 식을 것이란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게다가 조 대표는 지난 2월8일 자녀들의 입시 비리 및 청와대의 감찰무마 혐의 등으로 항소심서도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마찬가지로 사법 리스크에 발목이 잡힐 것이란 해석에 무게가 실렸다. 총선 한 달 앞두고 등장한 루키 정당 민주당과 정권 심판론 쌍끌이 전략 하지만 예상을 뒤엎고 조국당은 이번 총선서 가장 큰 변수로 자리 잡았다.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정권 심판론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 사건과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테러’ 논란이 연이어 터지면서 이는 조국당의 동력으로 이어졌다. 조국당의 슬로건은 윤 대통령의 탄핵을 암시하는 “3년은 너무 길다”였다. 거대 야당인 민주당은 중도층 여론을 의식해 탄핵에는 조심스러운 입장일 수밖에 없다. 결국 ‘윤정부 무력화’를 거침없이 외치는 조국당에 심판을 벼르던 강성 유권자들이 동참한 것이다. 민주당을 지지하지만 다소 약한 목소리에 갈증을 느끼던 지지층의 표를 흡수한 셈이다. 22대 총선을 통해 조 대표는 완벽한 정치적 부활에 성공했다. 하지만 1·2심 모두 실형이 나온 만큼 조 대표가 22대 국회를 완주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당의 대표이자 간판인 조 대표가 대법원 판결을 통해 의원직을 상실한다면 사실상 조국당은 존폐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조 대표가 집어든 여의도 생존 전략은 ‘검찰 탄압 프레임’을 굳히는 것이다. 자신을 여의도로 이끈 ‘검찰 탄압’이라는 명분을 긴 호흡으로 유지하면서 원포인트 전략으로 내세우겠다는 설명이다. 이는 조 대표가 출소 후 여의도로 돌아오기 위한 명분으로도 내세울 수 있다. 국회에 입성한 조 대표는 그동안 강조해온 한동훈 특검법을 띄우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그동안 조 대표는 기자회견을 통해 “원내에 진입하면 한동훈 특별법을 1호 법안으로 발의하겠다”고 강조해 왔다. 한동훈 특검법은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 징계 관련 의혹 ▲검찰 고발사주 의혹 ▲논문 대필 등 자녀 입시 비리 의혹 등을 수사 대상으로 삼는 걸 골자로 한다. 이 밖에도 조 대표는 ‘윤석열정권 관권선거운동 의혹 국정조사’를 실시하거나 ‘검찰의 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 국정조사’를 추진해 윤 대통령을 국회에 출석시키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12석 확보 완벽한 성공 당선권에 진입하자 조 대표는 곧바로 실행에 옮겼다. 지난 11일 조국당은 총선 당선자들과 함께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을 찾았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에 마지막으로 경고한다. 김건희를 수사하라”고 외쳤다. 조 대표는 “이번 총선서 확인된 ‘윤석열 검찰 독재 정권 심판’이라는 거대한 민심을 있는 그대로 검찰에 전하려 한다”며 “검찰은 즉각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를 소환해 조사하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김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도 거론했다. 그는 “검찰은 ‘몰카 공작’이라는 대통령실의 해명에 설득력이 있다고 보느냐”며 “몰카 공작이라면 관련자들을 소환해 조사하고 처벌하라. 그것과 별개로 김 여사도 당장 소환하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조 대표는 “조국당은 검찰이 국민의 명령을 따르지 않을 경우 22대 국회 개원 즉시 ‘김 여사 종합 특검법’을 민주당과 협의해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며 “검찰이 수사에 나서지 않는다면 김 여사는 특검의 소환조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조국당이 검찰만 정조준하는 이유는 조 대표가 ‘정치적 죽임’을 당했다는 여론 때문이다. 따라서 조 대표를 향한 동정론도 조국당이 꺼내들 수 있는 카드 중 하나로 여겨진다. 검찰에게 탄압받았다는 이미지를 가진 조 대표가 법정에 모습을 드러낼수록 오히려 지지자의 결집력이 높아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지난 몇 년 동안 조 대표 본인은 물론 그의 가족까지 수사 대상에 올랐다. 이를 시작으로 조 대표와 그의 일가족이 잘못한 부분은 있지만 죄명에 비해 과도하게 탄압받았다는 동정론이 형성됐다. 동정론은 조국당 지지자를 결집시키는 강한 무기다. 오래전부터 조 대표를 지지해 왔다는 A씨는 기자회견 현장에서 <일요시사> 취재진과의 만나 “조 대표를 보고 있으면 마음이 참 짠하다”고 말했다. 함께 온 B씨도 “온 가족이 풍비박산이 나지 않았나. 힘든 일이 많았을 텐데 역경을 딛고 나선 것을 보면 마음이 이쪽(조국당)으로 간다”고 말했다. 이 VS 조 동상이몽 민주당 지지자들은 이미 이 대표의 재판에 익숙해져 있기 떄문에 조 대표의 범죄 혐의가 비교적 희석됐다는 평도 나온다. 조국당이 총선 직전까지 지지율을 견인하자 여권에서는 급하게 견제에 나섰다.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하 비대위원장)은 총선 기간 동안 조 대표를 ‘범죄자’로 규정하며 “범죄자들에게 미래를, 아이의 미래를 맡길 수 없지 않냐”고 강조했다. 이에 조 대표는 “‘한동훈 특검법’에 동의부터 하라”며 맞불을 놨다. 조국당은 한동훈 특검법에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동의할 것이란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중도층을 포섭해야 하는 입장이다. 또한 차기 대권주자로 부상한 조 대표의 존재가 부담스럽기도 하다. 정치권에서는 여의도 신입인 조 대표와 이재명 대표를 동일선상서 바라보는 모양새다. 총선 다음 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번 선거를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던 (윤석열)대통령에게 보낸 마지막 경고”라고 평가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은)하루빨리 이재명·조국 대표를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제1야당 대표인 이 대표뿐만이 아니라 조 대표까지 함께 언급된 만큼 조 대표의 몸값이 크게 뛰었다고 해석했다. 조 대표는 대권주자로서의 가능성은 닫아뒀지만 민주당에서는 견제하는 분위기가 이어진다. 이 같은 흐름을 두고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현해 “야권의 분열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재명 대표와 조국 대표의 속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며 “(야권이) 윤정부에 대한 심판론을 갖고 거대 의석을 이뤘지만 조 대표와 이재명 대표의 시간표는 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자녀 입시 비리’ 사법 리스크 여전 대법 판결 정치생명 마침표될 수도 현재 조 대표는 대법원 판결만 남은 만큼 모든 일정을 빠르게 해치워야 한다. 총선을 한 달 앞두고 정치판에 뛰어든 것 역시 궤를 같이한다. 대법원과 견줄 만큼 몸집을 키우거나 진보 진영서 대권을 잡아 스스로의 힘으로 사면해야 한다는 게 이준석 대표의 시나리오다. 반면 이재명 대표는 급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이준석 대표는 “이재명 대표는 많은 의석을 가진 정당의 대표기 때문에 서서히 조여 들어가려고 할 것”이라며 “그 속도 차이가 역설적으로 두 세력의 분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현재 조 대표의 생존 전략은 조국당의 원동력을 유지하거나 추후 여의도 복귀를 위한 명분을 쌓는 데 그칠 뿐이다. 조국당의 정치 공간을 넓히고 다른 당과 손을 잡기 위해 매력적인 묘수를 꾀어내는 게 조 대표의 숙제로 남아 있다. 조국당 의석은 12석으로 교섭단체를 충족시키는 20석을 채우기 위해서는 8석이 더 필요하다. 1석씩 얻은 새로운 미래와 진보당, 혹은 소수 야당과 손을 잡고 공동 교섭단체를 꾸리는 것도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된다. 이제까지 민주당과 조국당 모두 합당 가능성에 선을 그어왔다. 조국당이 내세운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 슬로건에 민주당은 ‘몰빵론’을 내세우기도 했다. 민주당이 과반석을 얻은 지금으로서는 조국당이 거대야당에 협력하는 관계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의외의 성적을 거둔 조국당이 22대 총선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쥐면서 꼬리가 몸통을 흔들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민주당·민주연합·조국당 등 범야권이 힘을 합치면 의석수가 국회의원 전체의 5분의 3인 180을 넘기게 된다. 이 경우 신속처리안건인 패스트트랙 지정을 통해 법안을 강행할 수 있다. 아울러 패스트트랙에 저항할 수 있는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혼자일 때 더 강하다 전직 청와대 관계자는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조국 대표가 민주당과 합칠 가능성은 매우 적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추후 민주당서 탈당할 의원이나 제3지대 의원이 합류한다면 원내교섭단체인 20석이 충분한 만큼 조 대표가 숙이고 들어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전적으로 조 대표의 판단에 달렸지만 민주당과 손을 잡으면 지금과 같은 선명성이 묻히고 특유의 아이덴티티를 잃게 된다”며 “조 대표는 이번 총선의 캐스팅보트다. 살아남는 방법은 지금과 같은 목소리를 끝까지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hypak28@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다급해진 대법원? 대법원이 업무방해·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받는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상고심 사건의 재판부를 결정했다. <뉴스1>에 따르면 주심은 엄상필 대법관으로 2021년 조 대표의 배우자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의 항소심서 징역 4년을 선고한 이력이 있다. 현재 대법원은 엄 대법관이 상고심 재판을 맡더라도 형사소송법상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 조 대표 사건의 하급심 판결에 엄 대법관이 직접 관여한 것은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다만 엄 대법관에게 유죄의 심증이 있으므로 조 대표 측은 재판부를 교체해달라는 기피 신청을 낼 수는 있다. <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