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별통계> 통계청 자료로 본 결혼과 이혼

  • 한종해 han1028@ilyosisa.co.kr
  • 등록 2013.06.05 19:52:36
  • 댓글 0개

결혼은 정말 미친 짓일까?

[일요시사=사회1팀] 결혼과 이혼에 대한 인식이 '선택'의 문제로 바뀌고 있다. '흑룡의 해'였던 지난해 이후 거품이 빠지면서 혼인건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서울시민 10명 중 3명이 "결혼은 필수 아닌 선택"이라고 응답했다. 가장 큰 문제는 출생아 감소다.

 


서울시가 통계청 자료 등을 분석해 '서울시민 가족관 및 가족구조 주요 변화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2년 현재 만 13세 이상 시민 34.1%는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은 선택 사항'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5.9%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급감하는 결혼

반면 '결혼해야 한다'는 견해는 2008년 68.0%에서 62.2%로 감소했으며 남성(68.5%)이 여성(56.3%)보다 많았다. 특히 '선택사항'이라는 견해는 여성(39.9%)이 남성(27.9%)보다 많았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 32.4세, 여성 30.2세로 2002년 대비 남성은 2.3세, 여성은 2.4세 각각 늦어졌다.

50세 이상 결혼도 증가추세다. 50세 이상 남성의 결혼은 2002년 2101건에서 3410건으로 62.3% 증가했다.여성의 경우 2002년 1040건에서 2495건으로 10년 새 2.4배 늘었다.


부부사이에 남자가 연상이어야 한다는 인식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초혼부부 중 남자가 연상인 부부는 2002년 4만3436건에서 4만1889건으로 10년 새 1547건 감소했다. 동갑은 2002년 9134건에서 9505건으로 371건 증가했으며 여자가 연상인 경우도 2002년 7513건에서 9250건으로 1736건 늘었다.

이혼에 대한 인식도 달려졌다. 이혼이 선택사항이라는 답변은 2008년 332%에서 2012년 41.9%로 증가했다. 반면 '절대 안 된다'는 인식은 2008년 57.3%에서 2012년 44.8%로 12.5%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이러한 인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두드러져 나타났다. 남성은 38.5%가 '이혼이 선택 사항'이라는 인식을 보인 반면, 여성은 50.3%가 이러한 인식을 보였다.

2003년 3만2000건이라는 상상 최대수치를 기록했던 이혼건수는 2만 여건으로 감소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통계청은 이혼 건수가 줄어든 것에 대해 인구구조 자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1970~80년대 저출산운동의 후유증으로 현재 결혼적령기의 인구가 줄었고, 여기에 흑룡의 해였던 지난해 이후 거품이 빠지면서 혼인건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라는 것. 결혼건수가 줄어드니 동시에 이혼건수가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동거기간(실제 결혼생활)이 20년 이상 된 부부의 이혼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10년부터는 동거기간 4년 이내 부부 이혼비중보다 높아졌다.

동거기간 20년을 넘기고 이혼한 부부 비중은 2002년 18.6%에서 30.0%로 증가했지만 동거기간 4년 이내 이혼비중은 2002년 26.4%에서 22.5%로 줄었다.

출산장려정책 불구 출생아 지속 감소
서울시민 34% "결혼은 필수 아닌 선택"

아이러니 하게도 대부분의 부부들은 가족관계에 만족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가족관계별로 보면 자녀와의 관계에 만족한다는 비율이 68.4%로 가장 높고 배우자가 64.0%, 자기 부모 61.9%, 형제·자매 50.4%, 배우자·부모 49.3%, 배우자·형제·자매 39.0%순이었다.


결혼은 기피하고 이혼은 증가하면서 자연스레 1~2인 가구가 늘고 있다. 2000년 102만7000가구였던 1~2인 가구는 2012년 172만9000가구로 12년 사이 68.4%나 증가했다.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가구주는 2000년 26만2000가구에서 2012년 57만6000가구로 2.2배 증가했다. 전체가구 중 65세 이상 가구주 비중도 2000년 8.5%에서 2012년 16.3%로 높아졌다.

가장 큰 문제는 출생아수 감소다. 통계청의 '3월 인구동향 및 4월 국내인구이동 통계' 자료에 따르면 출생의 선행지표가 되는 혼인건수는 3월 2만3600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16.0% 급감했다. 2008년 11월 6638건(-19.8%) 줄어든 이후 최대치다. 다문화결혼건수(2177건)가 지난해 3월보다 20.8% 급감한 것과 혼인 적령기의 남성(30~34세), 여성(27~31세) 인구도 감소했다.

이에 따라 보육료 지원 등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도 불구하고 출생아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올 3월에 태어난 아기는 총 3만8800명. 이는 지난해 동월과 비교했을 때 4400명(10.2%)이나 줄어든 것으로 2011년 10월 5300명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월별 신생아는 2012년 5월부터 조금씩 증가세를 보이다가 올해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월에는 0.4%, 2월에는 9.1%가 떨어지더니 3월에는 10.2%로 두 자리 수를 넘어섰다. 1분기 출생아는 12만500명으로 전년보다 8300명(6.4%) 줄었다.

12년 만의 '초저출산국' 탈출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인구통계학계는 1.30명을 기준으로 '초저출산'과 '저출산'을 구분하고 있는데 합계출산율이 1.30명 이하일 경우 초저출산국에 속한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을 보면 1980년대 2명대에서 2001년 1.297명을 기록, 12년째 초저출산국으로 분류돼 있다.

이혼도 선택?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5월 이후 혼인건수 감소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며 "혼인 감소로 인해 출생아수도 계속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올해도 초저출산국 탈출은 힘들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케이삼흥 사태가 대국민 사기극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가 최소 1000여명,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등 실체가 드러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무엇에 홀려 돈을 넣었을까? 무엇이 그들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안겨줬을까? “징조도 없었어요. 2월까지는 돈이 잘 들어왔거든요. 3월25일하고 27일에 원금하고 배당금이 안 들어오면서 난리가 난 거죠.” <일요시사>와 연락이 닿은 한 케이삼흥 투자 피해자는 여전히 정신이 없는 듯했다. 이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에게도 투자를 권유했다고 한다. 현재 원망 그 이상의 감정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2월까진 괜찮았다 최근 케이삼흥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플랫폼업체 케이삼흥은 월 최소 2%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 단위로 따지면 24%의 고수익 투자상품인 셈이다. 피해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말에 현혹된 것으로 보인다. 케이삼흥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예정인 토지를 매입한 뒤 개발사업이 확정되면 소유권을 넘겨 보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다고 홍보했다. ‘토지 보상 투자’라는 용어가 나왔다. 직급에 따라 수익금을 차등 지급하는 다단계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해 전형적인 ‘다단계금융 사기’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사태서 의문이 제기된 부분은 횡령 등의 혐의로 복역한 경험이 있는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이 어떻게 또다시 수천명에 이르는 투자자를 끌어모았는지다.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의 창시자로 불린다. 토지를 싼 가격에 사들인 뒤 개발 호재 등이 있다고 소문내 이를 쪼개 파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다. 이 과정서 투자금 20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2006년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20여년이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서울 등 전국에 7개 지점을 둔 케이삼흥은 언론 광고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투자자를 모았다. 한 케이삼흥 직원에 따르면, 7개 지점서 일하는 직원은 300~350명가량이었다. 직원들은 이른바 가족·지인 영업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월 2% 수익 약속에 수천명 투자 20년 전과 과정도 결과도 같다? 대부분의 직원은 중·장년층으로 인터넷 기사 등을 통해 공개된 김 회장의 과거를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의 사기 전과를 알고 있던 피해자 역시 “원래 무죄였다”거나 전직 대통령을 거론하는 김 회장의 말솜씨에 넘어갔다고 한다. 훈장, 공적비, 기부 기사 등은 김 회장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배당금은 김 회장에 대한 신뢰를 굳건하게 만들었다. 투자금의 1.5~2%에 이르는 배당금이 매달 입금되고 계약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 들어오는 구조였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하고 3개월 만기로 계약을 맺었다면 1060만원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수준이었다. 김 회장은 본인의 사재를 털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있다고 직원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면서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투자자를 모집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김 회장은 자신의 재산이 1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수익이 나기 전까지 자신의 돈으로 원금과 배당금을 일부 주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꾸준히 원금과 배당금을 받은 대부분의 피해자는 더 많은 돈을 재투자했다. 피해액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다. 하지만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방식의 사업구조는 자금 순환이 막히면서 결국 무너져 버렸다. 피해자는 지난 2월까지 원금과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받았기에 케이삼흥 사태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장년층↑ 하지만 경고음은 분명히 존재했다. 회계법인은 케이삼흥에 대해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감사 의견 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할 때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 때 ▲감사인의 독립성 결여 등으로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제시한다. 기업 내부 사정이 심상찮다는 소리다. 케이삼흥의 경우 ‘회계연도의 현금흐름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을 받지 못했다’가 감사 의견 거절의 근거가 됐다. 그럼에도 수많은 피해자는 김 회장을 철석같이 믿었다. 오히려 정관계 인사를 잘 안다는 김 회장의 말이 피해자의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과거에도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 사기로 검찰 조사를 받던 시기에 정관계 로비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회장이 횡령한 돈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치권 등의 유력인사를 언급해 투자자의 믿음을 사는 김 회장의 수법은 이번 케이삼흥 사태서도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 피해자는 “(김 회장이)정치인 인맥이 많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얻는 젊은 층에 비해 정보에 어두운 중‧장년층은 김 회장이 주장하는 인맥에 신뢰를 보냈다. 사기 전과 있는데도…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과의 친분도 주장했다. 강연 과정서 서울시 고위공무원의 직책을 언급하면서 그를 통해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과정서 토지나 주택 등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의 이름도 등장한다. 투자자에게 수익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김 회장은 “작년에는 부동산 경기 자체가 불투명하니까 1년 동안 거의 안했어요. 착공 들어가려면 제일 먼저 하는 게 보상 업무잖아요. 올해 작년 것까지 합쳐서 하고 있어요. 사업계획 세워놓은 것은 차질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을 말하면서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이)그걸 관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은 서울시서 주택, 재난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을)만나서 사업이 진행되면 케이삼흥 것을 우선적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토지 보상을 하는 과정서 케이삼흥에 우선적으로 협조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주진입도로’ 등을 언급하면서 “2단계든, 3단계든 관계없이 케이삼흥 것을 먼저 협조해주겠다고 그 약속까지 제가 다 받아냈으니까. 하반기에 보상 나오는 것은 확실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투자자들은 중간중간 호응하다가 김 회장의 말이 끝나자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정치인 인맥·훈장 자랑 당사자는 “처음 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일요시사>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의 인물은 지난 8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김현재라는 이름은 지금 처음 듣는다”고 전했다.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명도 이날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과는 사적 친분은 물론이고 전혀 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케이삼흥 사태는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서 수사하고 있다. 김 회장 등 케이삼흥 경영진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과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다.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와 피해액은 최소 규모로 시간이 가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직원으로 불린 모집책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상대로 투자를 권유한 경우가 많아 가정이 파탄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가족의 병원비 등을 투자금으로 넣은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수사기관에 고소하거나 집회를 준비하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빠른 수사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케이삼흥 사태와 같은 대형 사건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를 권유한 사람에게 독촉을 받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빠른 수사 피해 복구는? 한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 돈까지 다 끌어모아서 투자했다. 원금만이라도 제발 돌려받고 싶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얼굴을 들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직원이면서 동시에 투자자인 이 피해자는 5억원 이상을 투자금으로 넣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