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A 투어 단일 대회서 진귀한 기록이 연달아 만들어졌다. 이민우는 생애 첫 승을 신고했고, 로이 매킬로이는 상금 1억달러를 돌파했다. 토니 피나우 골프 역사에 남을 법한 실수를 저질렀다.
이민우는 지난달 31일(한국시각) 메모리얼 파크 골프코스(파70, 7475야드)서 열린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텍사스 칠드런스 휴스턴 오픈(총상금 950만달러)’ 4라운드서 버디 4개와 보기 1개로 3언더파 67타를 쳤다. 최종 합계 20언더파 260타를 기록한 이민우는 세계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와 2019년 US오픈 챔피언 게리 우들런드(이상 미국)를 1타 차로 제치고 PGA 투어 생애 첫 승을 신고했다.
마수걸이
이민우는 2023년 11월 DP 월드투어 대회로 열린 ‘호주 P GA 챔피언십’ 이후 1년4개월 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우승상금은 171만달러(약 25억1000만원)다. 호주서 태어난 이민우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뛰는 이민지의 동생이다.
프로골퍼 지망생이었던 모친과 먼저 골프를 시작한 누나의 영향으로 골프 선수의 길에 들어섰다. 이민지는 LPGA 투어서 10승을 거뒀고 메이저 대회서 두 차례 정상에 올랐다. 이민우는 DP 월드투어 3승, 아시안 투어 1승을 수확했지만, PGA 투어에서는 지난해 두 차례 거둔 준우승이 최고 성적이었다.
2023년 ‘US오픈’에서 기록한 공동 5위가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이다.
3라운드까지 2위에 4타 앞섰던 이민우는 4라운드 16번홀(파5)에서 티샷이 물에 빠지면서 위기를 맞았다. 다행히 2위인 셰플러가 남은 2개 홀에서 타수를 줄이지 못하면서 짜릿한 1타 차 우승을 이뤄냈다.
이민우는 경기 뒤 “정신적으로 매우 힘들었지만 우승을 차지해 자랑스럽다”며 “일주일 내내 피곤했는데도 한번 잠에서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이 대회에 출전한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는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통산 상금 1억달러를 돌파했다. 공동 5위에 오른 매킬로이는 상금 33만7844달러를 추가하면서 통산 상금을 1억4만6906달러로 늘렸다. 통산 상금 1위는 타이거 우즈(1억2099만9166달러)다.
매킬로이는 이번 대회 2라운드 마지막 4개 홀에서 버디 3개를 잡아내며 4언더파를 기록, 컷(3언더파)을 간신히 통과했지만, 3라운드에서 5타를 줄이며 공동 14위(9언더파)로 뛰어올랐다. 4라운드에서는 6타를 줄이며 공동 5위(15언더파)에 올랐다.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PGA투어에서 뛰기 시작한 매킬로이는 262경기서 28승(메이저 4승)을 거뒀다. 지난 2월 ‘AT&T 페블비치 프로암’ 우승으로 상금 360만달러, 지난달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우승으로 상금 450만달러를 확보했다. 올 시즌 903만7844달러를 벌어들이면서 상금 1위를 달리고 있다.
매킬로이, 통산 상금 1억달러 돌파
피나우, 5㎝ 퍼트 실수 진기록 눈길
우즈가 2012년 PGA 투어 통산 상금 1억달러를 돌파했을 때 이 기록은 깨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우즈는 2012년 9월 PGA 투어 도이체방크 챔피언십에서 3위 상금 54만4000달러를 보태 1억35만700달러를 기록했다.
1996년 PGA투어에 입성한 우즈는 378경기에 출전해 PGA투어 통산 최다승 타이기록인 82승(승률 21.7%), 톱10 199회(52.6%), 컷 통과 339회(8 9.7%)를 기록했다. 우즈는 대회당 평균 32만103달러를 벌어들였다.
토니 피나우(미국)는 이 대회서 PGA 투어 역사상 기록적인 퍼트 실수를 저질렀다. 피나우는 3라운드 15번 홀(파3)에 서 약 12m 떨어진 그린 위에 티샷을 올렸다. 첫 번째 퍼트를 홀 근처 1.1m 거리에 보낼 때만 해도 무난히 파로 홀을 마치는 듯했다.
하지만 이 퍼트는 홀 왼쪽 끝을 맞고 튀어나와 홀 옆에 섰고, 남은 거리는 5㎝가량이었다. 피나우는 실망한 듯 걸어가며 한 손으로 공을 툭 쳐 홀에 넣으려 했는데, 살짝 뒤땅을 친 퍼터 헤드는 공을 홀까지 절반도 보내지 못했다. 결국 이 홀에서 더블 보기를 기록한 피나우는 공동 41위로 떨어졌다.
미국 <골프다이제스트>는 피나우의 퍼트가 TV로 중계된 PGA 투어 경기 가운데 가장 짧은 거리의 퍼트 실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골프다이제스트>는 2023년 7월 콘페리 투어 ‘내슈빌 대회’에서 톰 휘트니(미국)가 10㎝도 안 되는 거리의 퍼트를 놓친 적이 있다고 전했다. 휘트니는 당시 약 2.5m 짜리 퍼트를 놓친 뒤 8~10㎝ 거리의 퍼트를 남겼지만 두 손으로 대충 친 퍼트는 너무 강해 홀 오른쪽 옆을 맞고 튀어나가 버렸다.
화제 만발
메이저 대회에서는 헤일 어윈(미국)이 1983년 잉글랜드 사우스포트의 로열 버크데일 골프장에서 열린 ‘디 오픈 챔피언십’에서 놓친 퍼트가 유명하다. 어윈은 당시 3라운드 14번 홀(파3, 198야드)까지 불과 2인치(약 5㎝) 거리의 파 퍼트를 앞뒀다.
하지만 방심한 탓인지 어윈의 퍼트는 공중으로 붕 뜨면서 홀을 벗어났고, 어윈은 다음 홀에서도 보기를 범해 톰 왓슨(미국)에게 한 타 뒤진 공동 2위로 대회를 마쳤다. 어윈의 퍼트는 역대 메이저 대회에서 실수한 최단 거리 퍼트 1위로 알려졌지만, 당시 영상은 현재 찾을 수 없다.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퍼트 실수 가운데 가장 짧은 거리의 퍼트는 피나우의 이번 퍼트일 가능성이 높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