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PGA 투어 상반기 결산> 피 튀기는 타이틀 쟁탈전

역대 최대 규모로 시작을 알렸던 ‘2023 시즌 KLPGA 투어’가 어느덧 반환점을 돌았다. 갤러리의 응원과 환호에 응답하듯 명승부와 감동 스토리가 이어졌던 투어 상반기를 모두 정리했다.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진 올 시즌 KLPGA 투어 상반기에는 두 명의 다승자가 탄생했다. 압도적인 기량을 보여주고 있는 박지영(27·한국토지신탁)과 ‘대세’ 박민지(25·NH투자증권)가 그 주인공이다.

박지영은 KLPGA 투어 개막전인 ‘하나금융그룹 싱가포르 여자오픈’서 우승을 차지하며 통산 5승을 수확했다. 이후 국내 개막전으로 열린 ‘롯데렌터카 여자오픈’서 2위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탔지만 생애 2승째를 수확하는 건 쉽지 않았다.

치열했던 승부

번번이 우승을 놓쳤던 박지영은 상반기의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에버콜라겐·더시에나 퀸즈크라운 2023’서 72홀 플레이 중 단 한 개의 보기만 기록하면서 2승째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KLPGA 투어 ‘대세’로 불리는 박민지의 우승 시계는 올 시즌에도 어김없이 작동했다. 시즌 초반 예열을 마친 박민지는 지난 6월 ‘셀트리온 퀸즈 마스터즈’서 동일 대회 3회 연속 우승 기록을 남기며 시즌 첫 승을 수확했다.


다음 대회인 ‘DB그룹 제37회 한국여자오픈 골프선수권대회’서 4위에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간 박민지는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 2023’ 우승으로 시즌 첫 다승자가 됐다. 통산 우승을 18승으로 늘린 박민지는 구옥희, 신지애의 20승에 이어 KLPGA투어 최다승 기록 3위에 올랐고, 역대 기록 2위에 해당하는 통산 5번째 타이틀 방어도 달성했다.

올 시즌 KLPGA 투어 상반기에는 생애 첫 우승자들이 쏟아져 나왔다. 17개 대회 가운데 생애 첫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선수만 7명이 탄생하며 골프 팬들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선사했다.

가장 먼저 생애 첫 우승의 기쁨을 누린 선수는 지난해 신인상 수상자인 이예원(20·KB금융그룹)이다. 지난해 신인상의 영예를 누렸지만 우승이라는 마지막 퍼즐을 맞추지 못했던 이예원은 올 시즌 국내 개막전인 ‘롯데렌탈 여자오픈’서 생애 첫 우승의 감격을 맛봤다.

오랜 투어 생활 끝에 감격의 우승을 거둔 선수도 연달아 나왔다. 이주미(28·골든블루)는 ‘메디힐·한국일보 챔피언십’서 정규투어 148개 대회 만에 우승을 차지했고, 최은우(28·아마노)는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즈 2023’서 211개 대회 만에 우승을 거두며 시청자들과 갤러리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단 두 명에만 허락된 ‘다승’
감격의 생애 첫 우승 누구?

박보겸(25·안강건설)은 ‘제9회 교촌 1991 레이디스 오픈’서 최종 라운드에 기록한 홀인원에 힘입어 생애 첫 우승을 달성했다. 최종 라운드서 홀인원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한 것은 KLPGA투어 역대 5번째 기록이다.

장타를 뽐내며 KLPGA 투어의 스타로 떠오른 방신실(19·KB금융그룹)은 ‘제11회 E1 채리티 오픈’서 생애 첫 우승이자 올 시즌 신인 가운데 첫 우승을 기록했다. 방신실은 우승을 계기로 2025년까지 시드권을 획득했다.


지난해 신인으로 336개의 버디를 기록하며 ‘버디퀸’에 올랐던 ‘버디 폭격기’ 고지우(21·삼천리)는 공격적인 플레이를 앞세워 ‘맥콜·모나 용평 오픈 with SBS Golf’서 첫 우승을 기록했다.

황유민(20·롯데)은 ‘대유위니아·MBN 여자오픈’서 연장까지 이어진 명승부 끝에 생애 첫 우승을 차지하며 올 시즌 두 번째 루키 우승을 달성했다. 신인상 경쟁자인 김민별(19·하이트진로)과 펼친 연장전은 많은 골프 팬에게 주목을 받았다.

올 시즌 상반기에는 어느 때보다 신인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특히 국가대표 출신으로 ‘슈퍼루키 3인방’으로 불리는 황유민, 김민별, 방신실의 신인상 경쟁이 KLPGA 투어를 더욱 흥미롭게 만들고 있다.

황유민은 시즌 초반 불안정한 티샷으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하지만 ‘DB그룹 제37회 한국여자오픈 골프선수권대회’서 첫 톱10을 기록한 이후 상승세를 탔고, 지난 7월 ‘대유위니아·MBN 여자오픈’서 첫 우승으로 신인상 포인트 1위에 올라서며 신인상 경쟁을 주도하고 있다.

김민별은 아직까지 우승을 거머쥐지 못했지만 준우승 2번을 포함해 톱10에 6차례 들며 가장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꾸준함을 바탕으로 신인상 포인트 2위에 올라 있는 김민별은 하반기에 신인 우승자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장타를 앞세워 호쾌한 플레이를 선보이고 있는 방신실은 많은 골프 팬의 이목을 끌고 있다. 올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크리스에프엔씨 제45회 KLPGA 챔피언십’서 비거리 320야드에 달하는 티샷을 날려 새로운 ‘장타소녀’로 떠오르기도 했다.

각종 타이틀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시즌 초반 위메이드 대상포인트와 상금 순위 부문서 박지영이 선두로 치고 나갔지만 후발 주자들의 추격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국가대표 루키 3인방 돌풍
박민지 기록 경신 여부 관심

위메이드 대상포인트 부문은  ‘에버콜라겐·더시에나 퀸즈크라운 2023’ 우승으로 60포인트를 획득하며 326포인트를 쌓은 박지영이 318포인트를 모은 홍정민(21·CJ)을 제치고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하지만 박민지(300포인트), 이예원(274포인트) 등 상위권에 포진한 선수들과의 격차가 크지 않아 하반기에 펼쳐지는 대상포인트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상금 순위서 2승을 수확한 박지영이 6억3459억6385원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박민지가 5억887만5668원으로 선두를 추격하고 있다. 결과에 따라 한 대회 만에 순위가 뒤바뀔 수 있어 상금 순위 경쟁 역시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신인상 포인트 역시 접전이다. 1445포인트를 쌓은 황유민이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김민별이 1412포인트를 모으며 33포인트 격차로 선두 자리를 노리고 있다. 1050포인트를 쌓은 방신실도 매 대회 우승을 노리고 있어 언제든지 선두 자리를 노려볼 수 있다.

상반기에는 다양한 기록이 쏟아져 나오며 골프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가장 많은 버디를 기록한 선수는 ‘2023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서 우승을 기록한 임진희다. 임진희는 175개의 버디를 만들어내며 상반기 ‘버디퀸’ 타이틀을 얻었다. ‘한 시즌 최다 버디’ 기록은 2016년 김시원(28·안강건설)이 내놓은 359개다.


홀인원은 모두 14개가 나오면서 골프 팬들에게 볼거리를 더해줬다. 2개 이상의 홀인원을 기록한 선수 없이 모두 14명의 선수가 한 번씩 홀인원을 기록하는 기쁨을 누렸다.

이번 시즌 현재까지 ‘장타퀸’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는 선수는 방신실이다. 방신실의 드라이브 비거리는 267.1596야드에 달한다. 이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3시즌 김세영(30·메디힐)의 266.9400야드를 웃도는 수치다.

올 시즌 하반기에는 통산 상금 기록이 깨질 것으로 예상된다. 장하나(31)가 57억6503만5544원으로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2위인 박민지가 장하나와의 격차를 2억1769만136원으로 좁혀 올 시즌 기록 경신이 유력한 상황이다.

화제 만발

통산 우승 횟수 기록 경신 여부도 박민지에게 달려 있다. 통산 18승을 거둔 박민지가 하반기에 3승을 추가한다면 통산 20승을 거둔 구옥희와 신지애를 제치고 대기록의 주인공이 된다.

최다 출전 우승 기록도 새로 쓰일 수 있다. 현재 최다 출전 우승 기록은 안송이(33·KB금융그룹)의 237회다. KLPGA 투어서 뛰면서 아직 우승이 없는 선수들 가운데 박주영(33·동부건설), 서연정(28·요진건설산업), 김소이(29·휴온스)가 지금까지 각각 271개, 255개, 252개 대회에 출전했다. 이들 가운데 우승자가 탄생할 경우 최다 출전 우승 기록 역대 1위에 새로운 이름을 남기게 된다.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