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나홀로 대박’ 오너들 -문창복 대창스틸 회장

회사는 뒷걸음, 그래도 챙겼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대창스틸의 후한 배당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수십년간 이어온 흑자행진이 지난해 중단됐음에도 회사는 통 큰 배당을 멈추지 않았다. 배당금 대부분은 오너 일가에 귀속됐다. 대주주 배불리기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적 상관없이

1980년 창립된 대창스틸은 포스코로부터 코일 형태의 강판 소재 등 원자재를 공급받아 자동차와 전기가전, 건설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한 뒤 판매하는 포스코 가공센터다. 포스코로부터 냉연과 열연을 공급받는 가공센터 24개 기업 중 4번째로 큰 규모로 자동차, 전기전자 제조업체, 건설사 등 200여개에 달하는 거래선을 확보하고 있다. 

아산, 파주 등을 포함한 5개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중국에 해외출자 법인이 있다. 

대창스틸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거듭해왔다. 한국GM, 쌍용차, 기아차 등 자동차 3사에 대한 과도한 매출 의존도가 약점으로 꼽히지만 35년 연속 흑자를 이어가는 등 경영성과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흑자행진은 지난해 중단됐다. 영업손실은 14억원, 당기순손실은 45억원에 달했다. 2015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38억원, 45억원이었음을 감안하면 어닝쇼크에 가까운 실적 악화다. 
 

적자로 전환하면서 이익영여금도 감소했다. 대창스틸은 매년 순이익이 착실히 쌓인 덕분에 안정적인 수준의 이익잉여금을 보유한 상태였다. 2015년까지 쌓인 이익잉여금은 947억원. 하지만 지난해 순손실의 여파로 보유분이 891억으로 줄었다.

순손실에 변함없는 돈잔치
지분 7할 쥐고 좌지우지

그럼에도 대창스틸은 배당을 멈추지 않았다. 2016회계연도 사업보고서 분석결과 대창스틸은 주주들에게 21억8400만원(1주당 배당금 150원)의 배당금을 건넨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금총액 규모는 흑자행진을 이어가던 2014년, 2015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배당 규모를 책정하는 데 실적을 반영하는 일반적인 상장사의 모습서 한발 비껴나 있다. 

흑자행진을 벌이던 2015년까지 대창스틸이 책정해 온 배당 규모 역시 통상적인 기준치보다 높았다. 최근 5년간 ‘배당성향(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총액의 비율)’이 이를 뒷받침한다. 통상 국내 상장사 배당성향은 10∼20%대, 비상장사는 30∼50%대에 몰려 있다. 

상장사인 대창스틸은 이 범주를 한참 초과한 고배당성향을 나타낸다. 2012년 30.58%, 2013년 32.29%였던 배당성향은 2014년 무려 150.18%를 찍은 뒤 2015년 46.76%로 조정됐다. 순손실을 기록한 지난해는 배당성향을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했다. 회사 자금을 까먹으며 주주들에게 돈을 지급한 꼴이다.


공교롭게도 대창스틸의 고배당 정책은 오너 일가에 엄청난 금전적 이득을 안겨줬다. 지난해 말 기준 대창스틸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오너 일가 4인이 최상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문창복 회장이 지분율 38.72%(564만주)로 최대주주에 등재돼있으며 문 회장의 부인인 김복녀씨(25.54, 372만주)가 2대주주다. 3대주주는 문 회장의 친척 문정훈씨(8.42%, 122만6050주)와 문 회장의 형수 송수자씨(3.61%, 52만5450주)까지 포함하면 오너 일가 지분율 총합은 76.29%(1111만1500주)에 이른다. 

8할에 가까운 회사 주식을 통해 오너 일가는 쏠쏠하게 배당금을 챙겼다. 지난해 문 회장은 8억4600만원, 복녀씨는 5억5800만원, 정훈씨는 1억8390만원, 수자씨는 7881만원을 배당금 명목으로 수령했다. 오너 일가에 귀속된 배당금의 총합이 16억6672만원이다. 

반면 전체 주주수의 99.78%(2741명)을 차지하는 소액주주는 회사 주식의 15.42%(224만5801주)만 보유하고 있을 뿐이다. 이들이 받은 배당금의 총합은 3억3678만원 수준으로 2대주주인 복녀씨의 수령액보다 적다. 이마저도 수자씨 몫이 포함된 값이다. 

곳간 채우기

최근 5년으로 범위를 넓히면 오너 일가로 향한 배당금총합은 약 70억원에 달한다. 문 회장과 복녀씨가 47%, 31%씩 주식을 보유했던 2012과 2013년에는 배당금총액이 각각 12억원씩 책정됐고 이 가운데 9억3600원이 오너 일가로 귀속됐다. 상장이 이뤄진 2014년부터는 회사 지분구조가 지금 형태로 고착화되면서 지난해까지 동일한 배당금이 지급됐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