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공룡' LF그룹 문어발 사업의 이면

벌여놓은 부업 다수가 마이너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LF그룹이 사업 다각화를 통한 외형 확장을 꾀하고 있다. 전체 매출의 7할을 담당하는 본업이 성장 한계치에 다다르자, 부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양상이다. 다만 부업을 밀기로 한 결정이 당장의 수익을 뜻하는 건 아니다. 투자의 결실을 기대하기에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2007년 LG상사의 패션사업부에서 분리된 ㈜LF는 2014년 3월부로 현재의 상호로 변경하고 LG그룹과 완벽한 선긋기를 이뤄냈다. 이 무렵 LG패션 계열분리 작업을 진두지휘했던 인물이 바로 구본걸 현 LF 회장이다. 

2014년 
분리 이후… 

고 구인회 LG그룹 창업주의 손자인 구 회장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한국으로 돌아온 구 회장은 LG증권 재무팀에 입사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이후 LG상사 패션 부문을 맡으면서 패션업과 인연을 맺은 바 있다.

계열분리를 주도했던 구 회장은 지금껏 LF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구 회장은 올해 상반기 기준 LF 지분 19.11%(558만7890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이마저도 구민정, 구성모씨에게 LF 주식 12만주씩 증여하면서 지분율이 0.82%포인트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LF는 계열분리 이후 패션기업으로 위상을 공고히 했다. 라푸마, 헤지스, 모그 등 핵심 브랜드 다수가 시장에 안착했고, 이를 계기로 글로벌 패션기업으로 도약에 필요한 초석을 닦았다.


LF의 상승세는 2010년 중반을 지나면서 한풀 꺾였다. 패션 부문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된 영향이었다. 급기야 주요 실적 지표에서 역신장이 목격됐다. 

LF는 개별기준 2018년 1조4148억원, 2018년 1조4053억원, 지난해 1조1159억원 등 최근 수년간 매출 하락세가 확연했다. 같은 기간 수익성마저 뒷걸음질의 연속이었다. 개별기준 2018년 1109억원이던 영업이익은 이듬해 904억원으로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500억원대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것조차 실패했다.

결국 LF는 본업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를 단행했다. 2005년부터 국내 사업을 영위한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마를 철수시켰다. 라푸마는 한때 단일 브랜드 기준 연매출이 2500억원에 달하던 효자 품목이었다.

또한 일꼬르소, 질바이질스튜어트 등 일부 브랜드를 온라인 전용으로 전환하는 작업도 뒤따랐다. 백화점 매출이 저조한 핵심 브랜드 일부도 매장 효율화 작업에 따라 정리 대상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오프라인 매장 축소가 현실화된 반면 LF몰을 종합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키운다는 전략은 한층 명확해졌다. 2000년 출범(당시 패션엘지닷컴)한 LF몰이 매년 30~50% 성장했다.

선제적
움직임

강도 높은 체질 개선 작업은 최근 들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18일 LF는 올해 상반기에 개별기준 매출 5492억원, 영업이익 31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코로나19라는 악재 속에서 거둔 호실적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영업이익은 2.3배 급증했다. 그 결과 지난해 상반기에 2.5%에 머물렀던 영업이익률은 1년 사이 3.1%p 올랐다.

다만 패션 분야에 치우친 사업모델은 성장 한계치가 명확하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LF가 수년 전부터 사업 다각화 차원에 나섰던 것도 이 같은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움직임이었다.

한우물 옛말…옮겨가는 무게 추
사업 다각화…본전 뽑기 언제쯤?

LF로 통칭되는 기업집단은 올해 상반기 기준 소속 법인만 46곳(상장 1곳, 비상장 45곳)에 달한다. 계열회사들은 패션사업, 금융사업, 식품, 기타사업 등을 영위하며, LF는 이들에 대한 지분투자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한다.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이뤄진 활발한 타 법인 출자는 LF가 그룹사의 면모를 갖추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 같은 전략은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부각됐다. 당해에만 6건의 인수·합병이 이뤄졌고, 이 가운데 식자재 유통업체가 3곳이었다.

주류업체 ‘인덜지’ 지분 53%를 62억원에 사들였고, 식자재 업체 모노링크 지분 100%를 300억원대에 매입했다. 유럽 식자재 업체인 구르메F&B코리아의 지분 71.69%도 360억원에 인수했다.

2019년에는 LF푸드의 100% 출자회사인 모노링크를 통해 식육, 수산물 가공, 냉동식품을 제조하는 ‘엘티엠푸드’와 이를 유통하는 도소매기업인 ‘네이쳐푸드’를 추가로 인수했다. 모노링크가 두 회사에 100% 출자하는 방식이었다.

지난해 6월에는 코람코자산신탁과 프로젝트 금융자회사(PEV)인 ‘코크렙안양’을 설립했다. 코크렙안양 PEV는 LF가 보유 중인 안양 물류센터를 오는 2023년 상온과 저온을 아우르는 복합 물류센터로 리모델링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올해에도 광폭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1분기에 씨티닷츠에 대한 투자를 비롯해 총 185억원을 집행했다. 2분기에는 부동산개발 계열사 케이스퀘어데이터센터PEV의 주식 370만주를 370억원에 취득했다. 데이터센터 개발사업을 위한 것으로, 코람코자산신탁과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숨 가쁜
인수 행렬

LF는 사업 다각화 작업에 힘입어 패션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 한때 90%에 달했던 패션 부문의 매출 비중은 올해 상반기 기준 75% 수준으로 감소했고, 나머지를 금융 및 기타 사업에서 벌어들이는 형태가 구축됐다. 

다만 금융 부문을 제외한 신규 사업에서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LF의 고민거리다. LF의 종속회사로 분류된 39개(자산유동화 회사 2곳 제외) 법인 중 올해 상반기 기준 순이익 10억원 이상을 기록한 곳은 ▲LF푸드(외식업) ▲막스코(의류 판매) ▲트라이씨클(전자상거래) ▲구르메에프앤드비코리아(도소매) ▲코람코자산신탁(금융업) ▲코람코자산운용(집합투자업) 등에 국한된다.


이들 가운데 금융 및 투자업종으로 분류되는 코람코자산신탁과 코람코자산운용이 각각 286억원, 141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며 종속회사에서 거둔 순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달리 말하면 꾸준히 투자해온 식품 및 기타사업에서 수익이 그리 크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나마 LF푸드와 막스코가 각각 22억, 2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고, 트라이씨클과 구르메에프앤드비코리아는 10억원대 순이익을 거뒀다.

반면 홍콩에 법인을 둔 ‘First Textile Trading(의류 판매)’는 수익성 악화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말 기준 500만원으로 집계됐던 이 회사의 순손실은 반년새 126억원으로 불어났다. 인덜지 역시 순손실 32억원을 기록하며 LF 연결 실적에 악영향을 줬다. 이외의 종속회사들은 별다른 영업활동이 이뤄지지 않거나 순이익이 극히 미미했다.

상당수 종속회사의 재무상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도 불안요소다. 올해 상반기 기준 ▲폴라리스(Polaris S.R.L, -47억원) ▲시나르가야 부사나(Sinar Gaya Busana, -16억원) ▲동아티브이(-35억원) ▲케이엔이글로벌(-22억원) ▲인덜지(-51억원) ▲퍼블리크(-29억원) ▲아누리(-26억원) ▲엘티엠푸드(-12억원) 등 8개 종속회사가 완전자본잠식에 놓여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결실은
언제쯤

부채와 자본간 불균형이 심각한 법인도 눈에 띈다. 라푸마 베이징 법인(의류 판매)은 부채비율이 2043%(부채 38억원, 자본 1억8400만원)에 달했고, 글로벌휴먼스(기타도급업)와 트라이씨클도 각각 759.2%, 527%의 부채비율을 나타냈다. 통상적인 적정 부채비율(200% 이하)과는 엄청난 간극이 존재하는 셈이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사분오열’ 의료계 내분 내막

‘사분오열’ 의료계 내분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뚝심인가, 고집인가?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대통령의 뜻이 확고해도 너무 확고하다. 겉으로는 유연한 대처를 언급하면서 ‘2000명’이라는 수치는 굽히지 않을 기세다. 강 대 강 대치에 나섰던 의료계는 우왕좌왕하는 모양새다. 의료계 내부의 의견을 모으는 일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일요시사>와 인터뷰한 지방의대 A 교수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를 밀어붙이는 윤석열정부의 강경 기조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정규군은 수뇌부만 처리하면 와해되기 쉽다. 하지만 현재 의료계는 게릴라 방식으로 대응 중이다. 주동자를 찾기 어렵고 실제 주동자도 없다. 전공의, 의대생 모두 조직의 통제하에 움직이는 게 아니라 본능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 윤정부 입장에서는 협상 대상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괄 협상에 따른 일괄 타결은 어렵다고 본다.” 2월 이후 평행선만 실제 의료계는 대학의사협회(의협),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등 여러 단체가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 반대’를 큰 틀로 하되 대응 방식이나 세부적인 요구사항은 각각 다른 상황이다. A 교수의 말대로 의료계는 현재 단일협의체가 없다. 협상테이블이 마련된다 해도 앞에 대표로 나설 사람이 없는 셈이다. 과거 의정갈등이 일어났을 때 주로 의협이 나서서 의료계 입장을 전달하고 대응을 이끌었다면 현재는 각개전투를 진행하고 있다. 이미 정부는 의협의 대표성에 대해 의문을 표한 상태다. 정부는 지난 2월 말 의협 대신 ‘대표성을 갖춘 협의체’를 구성해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대해 대화하자고 의료계에 요청했다. 의협이 전체 의사들의 대표성을 띠기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당시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은 “의협 회원엔 전공의·봉직의 등 모든 직역이 포함돼있고 모든 직역이 배출한 대의원 총회 의결을 거쳐 만들어진 조직이 비대위”라며 “정부가 의협의 대표성을 부정하는 이유는 내부 분열을 조장하기 위함”이라고 반발했다. 의협은 의료법에 근거해 모든 의사가 가입하는 법정 단체지만 개원의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의정갈등 국면서 가장 선봉에 선 단체는 전공의가 모인 대전협이 꼽힌다. 전공의가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병원을 떠나는 등 집단 강경 투쟁에 나서면서 의정갈등에 불이 붙었다. 의대생은 집단 휴학으로 힘을 실었다. 유급 마지노선에 이른 대학들이 수업을 재개했지만 의대생은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집단사직에 나선 전공의가 여전히 버티고 있는 상황서 의대생의 복귀 가능성 역시 낮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대통령실 1년 유예안 일축하면서도 ‘2000명 정원’ 논의 가능성 제시해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학칙에 따른 형식적인 신청 요건을 지킨 의대생의 휴학 신청은 누적 1만242명으로 전체 의대 재학생 대비 54.5% 규모에 이른다.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과 수업 거부는 지난 2월부터 시작됐다. 대학 사이에선 이달 중순이 지나면 여름방학까지 총동원해도 유급을 막을 수 없다. 의대는 특정 수업서 3분의 1 또는 4분의 1 이상을 결석하면 낙제(F) 처리되고 F가 하나라도 나올 경우 유급이 되도록 학칙을 세워둔 곳이 많다.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병원 업무가 마비되고 일부 의료진에 업무가 과중되는 이른바 ‘의료대란’이 벌어졌다. 여기에 의대생의 집단 휴학은 의사 수급 부족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의료현장에 구멍이 생기면서 의사를 찾지 못해 환자가 사망하는 ‘응급실 뺑뺑이’ 사건도 일어났다. 문제는 정부의 태도다. 지난 2월6일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5058명으로 현행보다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요지부동 상태다. 정부는 2035년까지 1만명의 의사 인력을 확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2006년 이후 19년 동안 동결됐던 의대 정원 확대를 예고한 것이다. 당시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발표 당시 의료계와 소통한 결과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지난해 10월26일 ‘의대정원 확대 추진계획’을 발표한 이후 40개 대학으로부터 증원 수요와 교육역량에 대한 자료를 받았고 현장점검을 포함한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의료계를 비롯해 사회 각계각층과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특히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강조했다. 언론사 여론조사 등에서 의대 정원을 늘리는 문제에 대해 국민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을 의미있게 언급했다. “흔들림 없는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에 국민의 응원을 지지대로 삼은 것이다. 요구 다른 의사단체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는 더 강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민께 드리는 말씀’ 대국민담화서 “역대 정부들이 9번 싸워 9번 모두 졌고 의사들의 직역 카르텔은 더욱 공고해졌다”며 “이제는 결코 그런 실패를 반복할 여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00명이라는 숫자는 정부가 꼼꼼하게 계산해 산출한 최소한의 증원 규모”라며 “이를 결정하기까지 의사단체를 비롯한 의료계와 충분하고 광범위한 논의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를 들어 그 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국책연구소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된 의사 인력 수급 체계를 검토했다. 수요 측면서 저출산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 만성질환의 증가와 같은 질병구조의 변화, 소득 증가에 따른 의료수요 변화까지 반영했다”며 “어떤 방법론이더라도 지금부터 10년 후인 2035년에는 자연 증감분을 고려하고도 최소 1만명 이상의 의사가 부족하다는 결론은 동일하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확대 시기에 대해서도 정부는 가차없는 태도를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 8일, 의협이 제안한 의대 증원 1년 유예안에 대해 “정부는 그간 검토한 바 없고 앞으로도 검토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앞서 박민수 복지부 차관이 “내부 검토는 하겠고 현재로서 수용 여부를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내놓은 답변서 더 강경해진 입장이다. 대통령실은 1년 유예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만약 의료계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근거, 그리고 통일된 의견으로 제시한다면 논의할 가능성은 열어놓고 있다”며 “열린 마음으로 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팔짱 낀 정부 공은 의료계로 일각에서는 정부는 초지일관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현재로선 ‘2000명’이 정부와 의료계 간 대화의 장벽이 되고 있다. 정부는 2000명이라는 수치를 꿋꿋하게 고수하고 의료계는 2000명 백지화가 대화의 선결 조건이라는 뜻을 굽히지 않는 중이다. 정부든 의료계든 어느 한쪽이라도 구부려야 맞닿는 법인데 평행선만 그리는 모양새다. 이 와중에 의료계는 내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의료계에 요구하는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새 회장을 선출한 의협이 그 중심에 있는 상황이다. ‘강성’으로 꼽히는 임현택 의협 회장 당선인과 의협 비대위가 엇박자를 내고 있고 대전협의 박단 비대위원장도 의협 비대위와 갈등 조짐을 보이는 중이다. 현재 의협은 비대위원장과 차기 회장이 공존하는 상태다. 의협은 지난달 26일, 임 당선인을 차기 회장으로 선출했다. 임 당선인은 결선투표서 65%의 지지를 얻어 당선됐고 임기는 다음 달 1일부터다. 임 당선인의 등장으로 의협의 대정부 투쟁 수위가 올라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임 당선인은 의대 정원 증원 철회를 비롯해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자 파면을 요구하는 등 다른 의사단체에 비해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마찰음이 나온 건 ‘단일대오’를 구성하는 과정에서였다. 의협 비대위는 지난 7일, 기자회견서 전의교협, 대전협, 의대협 등과 함께 합동 기자회견을 이번주 안에 열겠다고 예고했다. 하지만 임 당선인이 이런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의협 비대위, 차기 회장·전공의 회장 갈등 삐걱거리는 단일대오에 대화 공전 가능성도 의협 회장직 인수위원회는 의협 비대위와 대의원회에 공문을 보내 임 당선인이 김택우 현 비대위원장 대신 의협 비대위원장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한 지붕 두 가족’ 상황의 의협 창구를 단일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대전협 박 위원장도 의협 비대위와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박 위원장은 자신의 SNS에 “의협 비대위 김택우 위원장, 전의교협 김창수 회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지만 합동 브리핑 진행에 합의한 적은 없다”고 적었다. 합동 기자회견은 일단 취소된 상태다. 박 위원장과 임 당선인의 갈등도 관심사다. 임 당선인은 지난 4일,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의 비공개 만남에 불만을 드러냈다. 의협 비대위는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의 만남을 ‘의미 있다’고 평가했지만 임 당선인은 SNS에 ‘내부의 적’을 운운하며 박 위원장을 강도 높게 비난하는 듯한 글을 남겼다. 박 위원장은 이 같은 보도 내용을 게시글에 공유하며 ‘유감’이라고 적었다. 전의교협은 의대 비대위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전의교협은 전국 40개 의과대학 교수협의회로 구성된 단체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이 의협 비대위에 합류하면서 의료계 단일대오 구성이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통일된 의견을 내놓을 단일협의체 구성 속도에 따라 의정갈등의 타결 가능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협 비대위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구성하려던 시도가 임 당선인과 박 위원장의 행보로 삐걱거리면서 의료계 상황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처지가 됐다. 여기에 협상테이블이 마련돼 정부와 의료계의 대화가 이뤄진다 해도 합의까지 가는 데는 하 세월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이 만만찮다. 입장차가 그만큼 첨예하다는 뜻이다. 타결까지 첩첩산중 일각에서는 정부와 의료계 모두 환자에 대한 배려는 뒷전에 두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월 이후 두 달 넘게 갈등이 계속되면서 환자들은 불편을 겪고 있고 일부 의료진은 업무 과중으로 그로기 상태에 빠졌다. 전공의가 떠난 병원은 매일 막대한 손해를 입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의 10번째 갈등이 어떤 결론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의료계 지각변동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