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서울·부산시장 후보 및 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에서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세 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일요시사=고성준 기자(joonko1@ilyosisa.co.kr)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서울·부산시장 후보 및 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에서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세 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일요시사=고성준 기자(joonko1@ilyosisa.co.kr)
[일요시사 정치팀] 설상미 기자 = 서울시장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지난 2005년 당시 내곡동 땅 측량 이후 인근 식당에서 식사를 함께 했다는 경작인들의 주장이 나온 가운데, 오 후보를 기억한다는 식당 가게 주인 황모씨의 추가 증언이 지난 2일 나왔다. 하지만 황씨는 지난달 29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에서는 “오래전 일이라 기억이 안 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불과 4일 만에 이뤄진 황씨의 진술 번복으로 이후 오 후보의 내곡동 땅 특혜 의혹은 치열한 진실공방으로 치닫을 것으로 보인다. 안고을 식당을 운영했던 황씨는 지난 2일 오전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오 후보가 측량을 마친 뒤 생태탕 집을 찾았는가”라고 진행자가 묻자 “네 오셨다. 기억한다”며 “잘 생기셔서 눈에 띈다”고 답했다. 황씨는 오 후보가 해당 식당을 방문했던 시간까지 구체적으로 기억했다. 황씨는 “점심시간을 넘겨 1시 반에서 2시 사이에 왔다”고 진술했다. 그는 “혹시 잘못 봤을 가능성은 없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ldqu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걸그룹 최악의 왕따 사태가 발생했다. 멤버 간의 따돌림 문제를 넘어서 소속사까지 개입한 정황이 엿보인다. 왕따 사건 자체도 문제지만, 진실을 협박으로 뭉개고 넘어가려는 연예기획사의 안일한 대처로 인해 걸그룹뿐 아니라 소속사의 존폐마저 흔들린다. 악질적인 대형 기획사가 진실을 가진 고등학생의 손아귀에서 놀아난 셈이다. 걸그룹 에이프릴과 핑클, 카라 등을 배출한 DSP 엔터테인먼트의 얘기다. 집단이 개인을 따돌리는 이른바 ‘왕따’ 피해자는 경험하지 못하는 사람은 알 수 없는 모멸감을 느낀다. 사람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대인기피증을 겪고, 우울증에 빠진다. 심하게 되면 목숨까지 내던진다. 왕따에서 벗어났다고 해도, 과거의 기억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이기에 평생 그 상처를 안고 산다. 수십 년이 지나도 괴로움이 옭아맨다. 피해자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상처와 트라우마가 남는다. 트라우마 7년 차 걸그룹 에이프릴에게서 왕따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전 멤버 현주다. 가해자는 다른 멤버였던 총 다섯명(소민·진솔·나은·채원·예나)이다. 지난달 28일 현주의 동생
[일요시사 정치팀] 설상미 기자 =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가 과거 국회 사무총장직 및 의원직을 지냈을 당시 친인척을 채용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불공정한 ‘특채’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는 2004년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후 2014년 9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회 사무총장직을 역임했다. <일요시사>는 박 후보가 취임 직후 친인척 조씨를 총장실 6급 비서로 채용한 사실을 복수의 국회 관계자를 통해 확인했다. 조씨는 아내 조현씨 형제의 아들로, 박 후보의 처조카(3촌)다. 낙하산 지난 2014년 박 후보는 사무총장 임기를 시작하면서 8명의 비서진(3급 비서실장, 6·7급 비서, 사무서기, 전문임기제 다·라·마급)을 꾸렸다. 전문 임기제 공무원 다·라·마급은 각각 6·7·8급에 상응하는 것으로 본다. 사무총장은 비서실에 3명의 별정직 비서를 임명할 수 있다. 국회사무처법 제3조에 따르면 사무처 내 5급 이상의 공무원은 국회의장이 임명한다. 그 밖의 공무원은 사무총장이 임명할 수 있다. 다만,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4·7 서울시장 선거에서 야당이 압승을 거뒀다. 과반의 서울시민이 야당을 지지한 만큼 인사부터 정책에 이르기까지 서울시정은 큰 변화를 맞게 될 전망이다. 이제 시민들의 눈은 여당의 든든한 지원군이었던 ‘시민단체’에 쏠리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야당의 승리를 점쳤지만 생각보다 격차가 컸다. 여당은 정권심판의 뭇매를 피해가지 못했고, 대선·지선·총선 등 선거 4연패 끝에 승리를 거둔 야당은 내년 3월 대선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여야의 엇갈린 희비만큼이나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된다. 10년 정책 싹 지우기 지난 4월7일 재보선에서 국민의힘이 서울시장 자리를 탈환했다.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는 57.50%의 득표율을 기록,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