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 기업 CEO 창업이야기> 안병익 ‘식신’ 대표

미래의 먹거리 산업 선두에 서다

맛집정보 앱 ‘식신’이 식당매출 올리는 푸드테크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바일식권 ‘식신e식권’은 기업과 자영업 식당의 상생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식신 안병익 대표를 만나 그 배경을 들어봤다.
 

안병식 대표는 지난 7월에 설립된 사단법인 한국푸드테크협회 초대 회장이기도 하다. 안 대표는 “문재인정부의 핵심정책 의제인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이 모두 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식신은 소비자와 소상공인들에게는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공함으로써 소득주도성장에 기여하고, 기업에게는 혁신성장에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플랫폼 역할

안 대표에 의하면 ‘푸드테크(Food Tech)’시대가 열리고 있다. 음식과 기술의 융합을 뜻하는 푸드테크는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오투오(O2O: 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확장되면서 최근 더욱 각광받고 있는 산업이다. 

소비자의 쇼핑 채널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PC서 모바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스마트폰만 있으면 주문과 결제, 예약과 배달 모든 것이 가능하다. 지갑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안 대표는 식신은 포탈 푸드테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식신은 국민의 바른 먹거리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맛집정보 앱”이라며 “이용자의 맛집 추천 서비스를 기반으로 기업용 모바일식권인 ‘식신e식권’, 맛집배달 서비스인‘ 식신히어로’, 중국인 관광객 대상 ‘알리페이’ 내 맛집정보 제공, 모바일 외식 상품권인 ‘식신다이닝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식신은 각 사업별로 외식관련 20여곳의 기관이나 지역 사업 파트너, 유명 외식 브랜드 등과 협업하는 푸드테크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현재 식신은 350만명이 다운로드 했고, 식신 웹과 앱의 월간 방문 수는 약 300만명에 달한다. 식신 가맹점 식당 수는 총 4500여개다. 맛집정보 서비스 기업의 선두 주자로 발돋움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 주문-결제-배달이 한 번에
종이 식권 대체재로 이용 기업 늘어나

안 대표는 식신 서비스 중 최근 가장 인기 있는 것은 기업용 모바일식권인 식신e식권이라고 소개했다. 기존의 식대 종이 및 장부, 식권 및 법인카드 대신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이용하고 온라인으로 투명하게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식권 이용내역의 투명성과 사용의 편의성으로 모바일식권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식권을 이용하는 직장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사용자인 직장인들이 스마트폰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회사 주변 식당서 간편하게 식사 값을 지불할 수 있어 편리하고, 기업과 음식점 입장서도 종이식권 발행, 장부 정산 및 관리 등의 운영비 절감효과가 크다. 

사용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운영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식당들은 모바일식권 앱에 음식점을 홍보하고, 고정 매출을 확보할 수 있어 기업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및 소상공인들의 상생모델이 된다. 

현재, 식신e식권은 하루 평균 이용 건수가 3만여 건에 이를 정도로 가파른 속도로 인기를 더해 있다. 100여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식신e식권을 사용하면서 회사 주변 외식업 자영업자들에게 매월 2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려주고 있다. 

안 대표는 “작년 하반기부터 모바일식권을 사용하는 기업체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 연말에는 식신e식권 거래액이 월평균 수십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재 식신e식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포 수는 1700여개고 프랜차이즈도 다수 포함돼있다.


맛집 배달 서비스인 식신히어로도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만성 불황에 이제 맛집도 앉아서 손님을 기다릴 수만은 없다. 게다가 집이나 직장에서 편안히 시켜서 먹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귀차니즘 문화 확산도 맛집 배달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다. 

식신히어로는 강남·서초구와 노원구, 경기도 일산 지역의 1000여곳 맛집을 배달하고 있다. 직접 배달직원을 채용하지 않고, 배달대행 전문업체인 ‘생각대로’와 제휴를 통해서 배달한다. 안 대표는 “생각대로는 전국에 배달기사를 1만6000여명이나 보유하고 있는 회사로 향후 식신에 등록된 맛집 배달을 전국화 하는 데 유리하다”고 말했다.

푸드테크

안 대표는 공학도로 연세대 컴퓨터과학 박사다. 그는 “푸트테크는 1차 산업인 농림수산업, 2차 산업인 제조·가공업,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이 복합된 6차 산업의 발달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외에선 이미 푸드테크가 떠오르는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가령 식당서 푸드테크의 접목으로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톡톡히 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식신은 본사와 가맹점, 기업과 지역 소상공인이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푸드테크 시스템을 더욱 정교히 구축하고, 향후 더 맛집 가맹점포를 많이 확보해 언제 어디서나 고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