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상사가 부하직원에게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유형은 ‘인사치레’로 하는 말이며 부하직원이 직장상사에게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유형은 ‘핑계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10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직장상사가 부하직원에게 많이 하는 거짓말 유형(복수응답)으로 38.8%가 ‘조만간 한턱 쏠게’ ‘나중에 거하게 한번 마시자’ 등의 인사치레형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염려형(무리는 하지 말게, 쉬어가면서 해)’ 37.8%, ‘묻지마 과거형(왕년엔 안 그랬는데, 자네 나이 때 난 정말 열심히 했어)’ 37.2%, ‘내일은 없다형(오늘만 열심히 하면 끝날 거야, 이번 일 잘되면 보너스 있을 거야)’ 33.6% 순이었다. ‘엄포형(이런 식으로 할거면 그만둬!)’은 18.4%, ‘뻔할 뻔자형(딱 한잔만 하자고~)’은 15.3%이었다.
또 부하직원이 상사에게 많이 하는 거짓말(복수응답)로는 ‘핑계형(집에 중요한 일이 있어서요, 차가 많이 막혀서요)’이 50%로 가장 많았다. ‘아부형(멋있으세요, 정말 대단하십니다)’은 38.8%, ‘오리발형(그런 말 들은 적 없는데요, 처음 듣는 얘긴데요)’은 37.2%이었다.
이외에도 ‘호언장담형(문제없습니다, 잘돼 갑니다)’ 28.7%, ‘조건반사형(당연하죠)’ 26.4%, ‘인사치레형(조만간 한턱 쏘겠습니다, 나중에 거하게 한번 마시죠)’ 10.9% 등이 있었다.
한편 ‘직장 내에서 거짓말을 해본 적이 있는가’란 질문에는 71.6%가 ‘있다’고 답했으며 직장 내에서 하는 거짓말 횟수는 하루 평균 2회 정도로 집계됐다.
거짓말을 했던 이유(복수응답)로는 60.3%가 ‘원만한 대화진행을 위해서’를 꼽았다. 이어 ‘곤란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51.9%, ‘이미지 관리를 위해’ 22.4%,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13.5%, ‘상사에게 잘 보이려고’ 9.1% 순이었다.
거짓말을 가장 많이 할 직업은 ‘정치인’이 71.2%로 1위를 차지했다. ‘연예인’은 8.7%, ‘상인’ 7.0%, ‘결혼중개인’ 3.7%, ‘변호사’는 3.1%이었다. 이 외에도 ‘방송인’ 2%, ‘언론인’ 1.9%, ‘의사’ 0.8%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