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가를 위한 정찬

“풍성한 크리스마스, 11월에 미리 맛본다”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미리 만나는 겨울 시즌 인기 메뉴 한 자리에

연말이 되면 송년회, 가족 모임,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기념 식사 등 한해를 추억하고 다가올 새해를 축하하는 자리들이 이어진다. 한해를 기념하는 만찬이라면 평소에 즐겨먹던 음식에서 탈피해 특별한 스토리를 부여할 수 있는 특별 메뉴들을 찾기 마련이다.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이 풍성한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위한 도우미를 자청했다. 인터내셔널 다이닝 레스토랑 카페 드셰프와 프리미엄 라이브 뷔페 더 킹스가 11월부터 연말까지 제공할 겨울 시즌 메뉴를 공개했다.

카페 드셰프는 연말의 모임을 더욱 풍성하고 기억에 남게 만들어줄 ‘연말 페스티브 정찬(Year-end Indulgence)’를 12월31일까지 선보인다. 프로모션 기간 중에는 세계 각국에서 연말에 즐겨 먹는 페스티브 시즌 단품 메뉴 여덟 가지와 두 가지 타입의 5코스 메뉴가 제공된다. 더불어 페스티브 메뉴에 어울리는 여덟 가지의 와인이 준비돼 더욱 특별한 연말을 완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인 디쉬로는 샤토브리옹 소스를 곁들인 안심스테이크, 버섯을 채워 패스튜리에 구운 안심 웰링톤, 크란베리와 살구를 채워 구운 칠면조, 트러플 버터 맛의 구운 바닷가재, 메릴랜드식 버섯소스를 곁들인 오븐 치킨, 으깬 감자와 구운 채소를 곁들인 양고기 럼프 스테이크가 준비되어 좋아하는 육류와 바닷가재 중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신선한 계절 과일을 곁들인 산딸기 밀휘이, 커스터드 크림 뷔릴레 등 페스티브 디저트 또한 맛볼 수 있다.

카페 드셰프의 페스티브 정찬 프로모션의 특징 중 하나는 소믈리에가 페스티브 시즌 메뉴에 맞춰 엄선한 여덟 가지 와인 중 한 가지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 드 체스 보르도(MARQUIS DE CHASSE BORDEAUX)를 포함한 세 가지 화이트 와인과 샤또 드 카르피아(CHATEAU DU CARPIA) 등 5가지 레드 와인이 준비된다. 코스 메뉴는 7만원과 8만5000원의 두 가지 타입이 준비되며 단품 메뉴 가격은 3만원부터다.
문의 및 예약: 카페 드셰프 02)2270-3131
 
더 킹스는 연말과 크리스마스 시즌을 위한 특별한 선물을 미리 준비했다. 더 킹스는 ‘프렌치 크리스마스 오뜨 퀴진느(Savor French Christmas)’를 11월1일부터 제공하고 있다. 이는 프랑스에서 겨울 시즌 및 크리스마스 시즌에 즐겨먹는 요리들을 프렌치 셰프 그레고리(Gregory)의 메뉴 디자인 및 즉석 요리로 구현한 것으로 행사 기간 중에는 칠면조 카빙 스테이션이 별도로 준비돼 축제와 성탄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아울러 프랑스에서 꼭 먹어봐야 할 음식으로 손꼽히는 푸아그라테린, 허니 오렌지 소스를 곁들인 오리 요리, 대파소스와 가리비, 염소치즈와 샬롯 등을 채워 만든 아모니에르(크레페 주머니), 프랑스 사과 와인 소스의 닭 오븐 구이, 샤또브리옹 스타일의 쇠고기 요리, 버섯 크림소스의 양고기 스테이크, 마늘 소스의 달팽이 요리 등이 로테이션 돼 프랑스의 품격있는 미각의 세계와 따뜻한 겨울요리를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연말 분위기에 휩쓸려 건강을 놓친다면 이보다 아쉬운 일을 없을 것이다. 더 킹스는 건강과 무드를 동시에 챙길 수 있는 디저트를 준비해 고객의 만족감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클로젯 스타일 디스플레이로 여성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는 디저트 코너에는 건강식 견과류 디저트 및 크리스마스 푸딩, 구겔호프 등 크리스마스 케이크가, 누들코너에서는 사누끼식 즉석 우동, 중식코너에서는 즉석 몽골리안 BBQ, 일식코너에서는 광어, 오징어, 마구로 등의 물회가 제공돼 풍성한 겨울 만찬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헤베이뇽(Reveillon)- 크리스마스 전날 밤 혹은 12월31일 밤에 먹는 프랑스식 연말 만찬을 말한다. 온 가족과 함께 크리스마스 연휴를 보내는 것이 일반적인 프랑스인들은 푸아그라, 칠면조, 달팽이 요리, 석화, 해산물 등 고급 음식을 잘 차려놓고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번 프로모션은 정통 프랑스식 만찬을 경험할 수 있도록 프렌치 셰프 그레고리(Gregory)가 직접 메뉴를 구성했다.

■세계 3대 진미 중 하나로 프랑스인들이 크리스마스 시즌이면 항상 즐기는 푸아그라(Foie Gras) 요리, 마늘 버터로 맛을 낸 달팽이 요리, 프랑스식 최상급 스테이크 샤토브리앙 스타일 쇠고기 요리, 파티 음식에 항상 빠지지 않는 햄과 올리브로 만든 테린, 크리스마스 대표 브레드 구겔호프, 크리스마스 푸딩 등으로 프렌치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한껏 느낄 수 있도록 준비했다.

또한 즉석에서 손질해 레몬즙을 뿌려 먹는 석화는 겨울철 프랑스인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음식으로 프리미엄 라이브 뷔페 더킹스의 대표 메뉴 중 하나이다. 이외에도 중국인 셰프가 즉석에서 직접 선보이는 몽골리안 바비큐, 겨울철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뎀뿌라 우동, 어묵 우동 등으로 한층 보강한 누들 코너, 광어, 참치, 한치 등 신선한 재료로 요리한 물회 3종 등으로 더욱 특별하고 풍성한 연말연시를 기념할 수 있다.
문의 및 예약: 더 킹스 02)2270-3121 (
http://grand.ambatel.com)

자료 제공=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www.grand.ambatel.com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