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위대한 골퍼는 누구?

끝나지 않을 흥미로운 줄세우기

역대 최고 골프선수는 누굴까? 골프팬이라면 누구나 생각해봤을 법한 논쟁거리다. 이런 가운데 미국프로골프협회(PGA) 소속 시니어 PD인 T.J.오클레어가 역대 골퍼 순위를 거론하고 나섰다.

T.J.오클레어는 최근 골프 역사상 위대한(greatest) 골프선수와 그 이유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당대 최고로 손꼽히던 대다수 골퍼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스웨덴의 아니카 소렌스탐이 골프사상 위대한 여자 선수 20명 중 1위에 선정됐다. 소렌스탐은 메이저 10승에 LPGA투어 통산 73승을 올렸고 2003년에는 한 시즌 11승을 올리기도 했다. 소렌스탐은 8년 동안 ‘올해의 선수’에 올랐고, 시즌 최저타수상인 베어트로피를 6번 받았으며 여자 선수 중에 최저타 기록인 한 라운드 59타를 친 유일한 선수다. 2위에는 1958년부터 1966년까지 9년간 메이저 13승에 LPGA 통산 82승을 올린 미키 라이트가 꼽혔다.

전설들의 발자취

3위는 만능 스포츠우먼인 베이브 디드릭슨 자하리아스가 뽑혔다. 1932년 LA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를 땄을 뿐 아니라 골프를 시작한 뒤로는 메이저 10승에 LPGA투어 41승을 거두었다. 1950년에는 당시 메이저 3개 대회를 휩쓰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4위에는 메이저 6승을 포함해 LPGA투어 통산 88승으로 최다승을 쌓은 캐시 휘트워스다. 휘트워스는 1981년에 LPGA투어 최초로 통산 상금 100만달러를 돌파했다. 


5위는 메이저 3승에 LPGA투어 48승을 기록한 낸시 로페즈로 1978년 데뷔한 해에 메이저 1승에 총 9승을 거두어 신인상과 상금왕, 올해의 선수상, 그리고 최저타수상까지 획득했다.

6위는 메이저는 2승에 그치지만 LPGA 43승을 거둔 조안 카너다. 유일하게 US걸스주니어, US여자아마추어선수권, US여자오픈을 모조리 우승한 여자 선수다. 

7위는 아직도 현역에서 활동중인 메이저 7승에 LPGA 41승을 거둔 호주의 캐리 웹이다. 1996년 두 번째 출전한 대회에서 첫 승을 올리면서 신인상을 받았고 이후 꾸준히 승수를 쌓았다.

8위는 메이저 6승에 통산 34승의 벳시 킹, 9위는 메이저 6승에 통산 31승의 팻 브래들리가 선정됐다. 

10위는 메이저 15승에 통산 60승의 패티 버그로 1946년부터 열린 US여자오픈 첫 대회에 우승했다. LPGA 창립멤버인 버그는 지금은 없어진 웨스턴오픈과 타이틀홀더스에서 각각 7승에 US여자오픈 초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LPGA 소렌스탐 1위…박세리 15위
PGA 니클라우스 부동의 ‘톱’

11위는 메이저 6승을 포함해 LPGA통산 35승을 거둔 패티 시한, 12위는 LPGA창립자의 한 사람으로 메이저 11승을 올린 루이스 슈그스, 13위는 메이저 7승에 LPGA통산 31승의 줄리 잉스터, 14위는 메이저 5승에 투어 29승의 에이미 앨콧이 선정됐다.


15위는 한국 여성 골프의 선구자인 박세리로 1998년에 LPGA투어에 진출한 해에 메이저 2승과 시즌 4승을 올려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29세인 2007년에 ‘골프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16위는 메이저 1승에 LPGA투어 33승의 베스 대니얼, 17위는 메이저 8승에 LPGA 55승의 벳시 롤즈, 18위는 메이저 4승에 LPGA 18승의 멕 말론, 19위는 메이저 2승에 LPGA투어 27승을 올린 로레나 오초아, 20위는 메이저 4승에 LPGA 42승을 올린 산드라 해이니가 꼽혔다. 

리우 금메달리스트이자 메이저 7승, LPGA투어 19승을 올린 박인비는 아직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남자 골프 선수 15명의 리스트 1위 자리는 잭 니클라우스가 차지했다. 잭 니클라우스는 평생 164번의 메이저 대회에 출전해 18번의 우승과 2위 19번, 3위는 9번을 기록했다. 절반에 가까운 73번을 톱10에 들었다. 가장 인상적인 기록은 1986년 최고령(46)으로 마스터스에서 통산 6승째를 거둔 것이다. 그밖에도 니클라우스는 PGA투어 통산 73승으로 이 부문 역대 3위에 올라 있다.

온갖 구설수 속에서도 골프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타이거 우즈가 2위에 올랐다. 우즈는 메이저 14승에 PGA투어 통산 79승으로 두 부문 모두 역대 2위에 올라 있다. 또한 2000년 US오픈부터 이듬해 마스터스까지 4대 메이저를 연달아 우승하는 ‘타이거 슬램’을 달성했다.

3위는 28세에 은퇴하기까지 8년(1923~1930)간 활약한 아마추어 골퍼의 전설인 보비 존스다. 그가 활동하던 당시 4대 메이저 대회는 아마추어 대회인 US아마추어, 브리티시아마추어와 프로 대회인 US오픈, 디오픈이었다. 존스는 이들 메이저 대회에 총 31번 출전해 13승을 거두었고 1930년에는 한 해에 4대 메이저를 싹쓸이하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뒤 은퇴했다. PGA투어에서는 아마추어 선수 자격으로 9승을 쌓았다.

4위는 4대 메이저에서 11승(3위)을 올린 월터 하겐이 차지했다. 보비 존스와 동시대의 프로골퍼였던 하겐은 1924년부터 PGA챔피언십을 4년 연속 우승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라이더컵에서는 미국팀 단장을 6번 지냈다.

오클레어 언급한 역대 랭킹
당대 최고 선수들 총망라

5위는 샘 스니드로 PGA투어 최다승인 82승에 메이저 7승을 거뒀다. 메이저 대회 중 US오픈 우승만 없는데 준우승만 4번 했다. 선수로서 오랫동안 활동한 스니드는 1965년에 그레이터 그린스보로 오픈을 52세10개월8일에 우승해 최고령 우승 기록을 세웠다. 1979년 PGA챔피언십에서는 67세2개월7일의 나이에 컷을 통과하기도 했다.

6위는 자동차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당하고도 불굴의 의지로 극복하며 메이저 9승을 이룬 인간승리의 대명사 벤 호건이고, 7위는 2년 전 세상을 떠난 메이저 7승에 PGA투어 62승의 아놀드 파머이다. 8위는 남아공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메이저 9승에 PGA투어 24승을 올린 게리 플레이어, 9위는 메이저 7승에 통산 39승을 올린 진 사라젠이 꼽혔다.

10위는 메이저 5승에 PGA투어 43승을 올린 필 미켈슨이다. 미켈슨은 지난 1993년11월에 세계 골프랭킹 47위에 오른 뒤에 현재까지 무려 24년 15주(1263주)째 톱50위 이내에 들어 있다. 11위는 메이저 8승의 톰 왓슨이다. 

12위는 1945년에만 35개의 대회에 출전해 무려 18승을 거두고 메이저 5승을 쌓은 바이런 넬슨이 꼽혔다. 넬슨은 선수 생활은 짧았지만 압도적이었다. 넬슨의 113개 대회 연속 컷 통과는 타이거 우즈의 142번 연속 컷 통과에 이은 통산 2위 기록이다.


영원한 떡밥

이밖에 13위는 메이저 3승에 PGA투어 51승의 빌리 캐스퍼, 14위는 메이저 5승을 거둔 스페인의 천재골퍼 세베 바예스테로스, 15위는 메이저 7승의 영국 골퍼 해리 바든이 선정됐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