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인 지난달 15일에 약 79만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한 금액의 20%까지 월 최대 10만원(3개월 30만원 한도)을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줘 소비를 진작하고 취약 상권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5부제 접수 첫날이었던 지난달 14일, 79만1798명이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을 통해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44만명(55.5%)이,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5.2만명), 경남(4.5만명)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지난달 15일 페이백 신청자 기준으로 지원 대상자 여부와 지난해 월평균 카드 실적을 이틀 후인 17일 오전부터 알림톡으로 안내하고 있다.
경기·서울 등 수도권 44만명 신청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지급 이벤트
올해 9월1일부터 누적 카드 실적은 지난달 18일부터 상생페이백 누리집 ‘페이백 및 소비복권 조회하기’ 메뉴에서 확인(확인일 기준, 2일전까지 실적)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페이백 신청 안내처에 국민·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 외 신한은행(650곳 영업점)이 추가 참여함에 따라 안내 영업점이 8100여곳으로 늘어 접근성이 높아졌다.
상생페이백 소비액 인정 사용처도 확대했다. 종전에는 하나로마트 중 마트·슈퍼·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는 ‘면’ 지역 소재 내 123곳만이 포함되었다.
한편, 지난달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편의성 제고 방안이 시행되면서 상생페이백도 이에 맞춰 유사 업종이 부족한 읍·면 단위 657곳을 늘려 사용처를 총 780개로 확대했다. 또 지역 생산 농산물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로컬푸드직매장’ 251곳도 새롭게 인정 사용처에 추가했다.
아울러 상생페이백 론칭 기념으로 지난달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상품권을 누적 5만원 이상 충전하면 추첨을 통해 1만원권 상품권을 총 1만명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