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NET세상> 급증하는 매독 설왕설래

  • 박민우 기자 pmw@ilyosisa.co.kr
  • 등록 2024.09.24 08:22:28
  • 호수 1498호
  • 댓글 0개

우리도 성진국 반열 합류?

[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급증하는 매독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매독 환자가 전년 대비 350% 이상 급증해 올해 8월까지 2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매독 감염 환자 수는 1881명이다. 이는 지난해 416명보다 351.2% 증가한 수치다.

한·미·일 유행

매독은 올해 1월부터 전수감시 대상 3급 감염병으로 전환됐다.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이 되기 전 매독 환자 수는 2020년 330명, 2021년 339명, 2022년 401명, 2023년 416명이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최근 질병청에 예산 편성 여부를 문의한 결과 현재까지 성 매개 감염병 예산 내에서 역학조사를 위한 여비 일부만 지원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 의원은 “올해 새로 시행하는 전수 감시 체계를 통해 매독 감염의 정확한 규모와 역학관계를 파악하고, 매독 확산 시 신속한 예산 마련의 근거로 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서도 매독 유행은 심각한 상황이다. 2022년 미국의 매독 감염자 수는 20만7255명으로, 최근 70년 이래 최악의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일본의 경우 2013년부터 매독 감염자가 1000명을 넘어선 이후 2016년 4000명대, 2017년 5000명대에 접어들었고, 2022년 1만3250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 도쿄에선 매독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현지 보건당국이 경고에 나섰다.

1월부터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일본도 사상 최대치 기록 발칵

지난 9일 후지뉴스네트워크(FNN)에 따르면 도쿄도 보건의료국은 올해 1월부터 9월1일까지 보고된 도쿄도 내 매독 감염자 수가 246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증가세는 역대 최다 기록이었던 지난해(3701명)와 유사한 수준이다. 2022년엔 3677명이 발생했다.

감염자의 성별 비율은 남성 70%, 여성 30%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남성의 경우 20~50대까지 다양하게 나타났고, 여성은 주로 20대 감염 증가가 두드러졌다.

감염자 중에선 ‘상대가 특정돼 괜찮다’고 생각했던 사례도 있었고, 감염 후 몇 년이 지나도 감염 사실을 자각하지 못한 사례도 있었다.

도쿄도 보건의료국 니시즈카 이타루 감염증 대책조정담당 부장은 “최근 3년간 매년 역대 최다 감염자 수를 경신하고 있다”며 “매독의 특징은 자각 증상이 적다는 것으로,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감염 사실을 모르고 타인에게 전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함부로 놀리다 훅 간다’<ckdb****> ‘성진국 반열에 합류?’<lck2****> ‘성매매 상위권 나라답게 매독 환자도 많네요’<jojo****> ‘무분별한 성관계는 나를 망친다’<youn****> ‘일본과 관계 개선의 효과?’<shir****> ‘엔화가 떨어져서 여행들 많이 가드만…’<this****>

8월까지 환자 1881명
전년 대비 352% 급증

‘일본 놀러 가면 성병 조심해라. 일본 여자들이 성격은 좋은데 성적으로 굉장히 개방적이라 조심해야 한다’<nuke****> ‘이상한 거 가져오지 마라’<hyde****> ‘다른 성병은 그럭저럭…근데 매독은 진짜 조심해야 된다’<0219****>
‘매독은 끔찍한 병이다. 치료제가 있지만 부작용으로 평생 고생한다’<mes7****> ‘원나잇 조심!’<with****>

‘유흥 환락은 비애를 만든다’<core****> ‘다들 언제 어디서 뭘 하고 있는 걸까?’<yeom****> ‘매독 걸린 것들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red7****> ‘한·미·일 매독 동맹인가요?’<yshy****> ‘성교육을 똑바로 하지 않은 결과다’<matc****> ‘장화 좀 신어라’<misa****> ‘성적 자유 결정권으로 마구 즐겼으면 그에 따른 결과도 감수해야지’<mida****>

‘제발 집에 가서 아무것도 모르는 배우자한테 옮기지 마라’<cute****> ‘출산율은 전 세계서 꼴등인데 매독은 폭발적으로 느네’<rldn****> ‘예전 집창촌은 보건소서 관리라도 해줬는데…’<cny4****> ‘한국도 성매매 종사자들한테 성병검사 의무화하도록 해야 한다. 없앨 수 없다면 관리라도 제대로 해라’<psw6****>

대책 있나?

‘특히 요즘은 무조건 아프지 말고 병원 갈 일 없어야 된다. 의료 대란으로 치료받기도 힘들다’<good****> ‘전염병 하나 제대로 막지 못하면서 과학방역?’<fjgh****> ‘나라가 점점 후진국으로 쇠퇴하고 있네’<lhwy****> ‘정부는 어떻게 대응할 거냐?’<dbdy****> ‘빨리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텐데. 요즘 그럴 정신이 있을지, 또 치료할 의사가 있기나 하나?’<sola****>

<pmw@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매독은?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으로, 주로 성관계로 전파된다.

몸에 궤양과 발진이 생기고, 이후 전신으로 매독균이 퍼지면서 손바닥과 발바닥에 발진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감염 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타인에게 전파할 수 있다.


증상이 사라지더라도 제대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체내에 잠복한 매독균이 눈, 심장, 대혈관, 간, 뼈 등 장기에 침범해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매독은 15세기 무렵 전 세계적으로 확산세를 떨치던 감염병이었지만, 항생제 페니실린이 보급된 이후 감염자가 크게 줄었다.

2000년대 들어 일부 국가에서 매독 감염 환자가 증가세로 돌아서 가파르게 확산하고 있다. <민>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10년간 산불 주원인 ‘실화·쓰레기 소각’ 예방법 없나?

10년간 산불 주원인 ‘실화·쓰레기 소각’ 예방법 없나?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지난 22일 경북 의성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 청송 등 인접 지역으로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가히 ‘재난 영화’를 방불케 할 정도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번 산불이 성묘객의 실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관련자 처벌 수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7일 산림청 산불 원인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입산자에 의한 실화가 171건(31%)으로 가장 많았고, 쓰레기 소각이 68건(13%), 논·밭두렁 소각이 60건(11%)이었다. 대형 산불은 특히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봄철에 주로 발생한다. 계절별 산불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2015~2024년 연평균 산불 546건 중 봄철에 발생하는 산불은 303건(56%)에 달했다. 실제 지난 2022년 3월4~13일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 동해서 발생한 일명 ‘동해안 산불’은 산림 2만523㏊를 태웠다. 2020년 4월 경북 안동서 발생한 산불은 1944ha의 면적을 태웠으며, 2019년 4월 강원 고성·강릉·인제서 난 산불은 3일간 2872ha를 휩쓸었다. 이처럼 산불이 주로 봄에 발생하는 이유는 건조한 날씨와 더불어 야외활동이 잦아지는 시기인 점도 한 몫한다. 이번 의성 산불 역시 묘지를 정리하던 50대 성묘객이 라이터로 불을 피운 게 화근이 됐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당 성묘객은 산에서 쓰레기를 태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울산 울주군 온양읍 야산서 발생한 산불도 농막서 나온 용접 불꽃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보다 앞선 21일 경남 산청서 발생한 산불 역시 풀베기 작업 중 예초기서 튄 불꽃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일각에선 산불 관련 처벌이 약해 경각심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급기야 국회전자청원 시스템에는 실화죄 처벌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청원까지 등장했다. 현행 산림보호법 53조는 과실로 산불을 냈을 경우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한다. 고의로 방화를 한 경우에는 5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형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산불의 특성상 발화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기 어렵고, 실화자를 특정하거나 과실 입증 과정이 쉽지 않은 만큼, 실제 처벌로 이어진 사례는 많지 않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 3월까지 최근 5년간 산불 유발자 검거율도 46.1%에 불과하다. 처벌 수위도 낮다. 최근 4년간 산불 발생 건수는 2108건이었으나, 집행유예를 포함한 실형을 받은 건수는 43건(2.03%)에 그친다. 지난해에는 279건의 산불 중 110명이 범인으로 붙잡혔지만, 징역형을 선고받은 이는 단 한 명도 없었다. 벌금형도 8명에 그쳐 처벌 비율이 7.2%밖에 되지 않았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대형 산불 재난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불법 소각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6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의 한 밭두렁에서는 산불이 계속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도 한 주민이 불에 탄 신발, 가재도구와 폐기물 등을 태우는 모습이 목격됐다. 같은 날 안동 하회마을 인근서도 쓰레기를 소각하던 한 70대 노인이 관계기관에 적발되기도 했다. 당시 하회마을 인근에선 의성 산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소방·산림 당국이 대규모 인력을 투입해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던 긴박한 상황이었다. 이처럼 대규모 재난 대응이 이뤄지는 와중에도 또 다른 대형 화재의 불씨가 될 수 있는 불법 소각 행위가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는 점은 ‘안전불감증’의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현행 경북도 화재예방조례에 따르면 산림 인접지나 논·밭 주변서 사전 신고 없이 불을 피워 소방 인력이 출동할 경우 2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지만, 이 같은 수준의 처벌이 수십 년간 이어져 온 농촌 지역의 불법 소각 관행을 근절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자체 관계자는 “단속에 투입되는 인원에도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농촌 지역에 거주 중인 주민들의 안전불감증이 가장 큰 문제”라며 “과태료도 인상과 함께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도 과태료 인상 등 처벌 강화와 더불어 폐기물 수거 시스템 확충, 주민 참여형 안전 교육 등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영농 폐기물 및 생활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소각 행위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처리법의 보급 등 반복되는 산불 재난을 막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경북 22명, 경남 4명 등 26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산림 피해 면적은 3만5810㏊로, 역대 최대 피해를 냈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 면적(2만3794㏊)을 넘어섰다. <jungwon933@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