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세의 골프 인문학<7>

스코틀랜드-네덜란드 원조 논쟁

골프를 누가 먼저 시작했을까? 600년 골프 역사의 원조를 놓고 스코틀랜드와 네덜란드의 수백 년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스코틀랜드의 주장을 먼저 들어보자. 세인트앤드루스의 초원에서 양치기 목동이 소일거리 삼아 바닷가에 널브러진 관목을 하나 부러뜨린 다음 자갈을 놓고 후려쳤다. 목동은 양들이 풀을 뜯어먹어 반듯해진 초원을 따라 계속 자갈을 쳤고, 이내 토끼가 다져 놓은 풀밭에 도달한 뒤 역시 토끼가 파놓은 굴속에 자갈을 집어넣었다.

놀이

600년 전 당시 스코틀랜드의 게일어에 이 놀이를 치다라는 뜻의 GOUFT라 불렀으며 그후 GOEFF, GOFFE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양들이 풀을 뜯은 곳은 FAIRWAY, 토끼가 다져 놓은 곳은 GREEN, 그리고 토끼 굴은 RABBIT HOLE이라고 불렀다고 주장한다.

네덜란드는 13~14세기경부터 자국 무역상들이 북해를 건너 세인트앤드루스 항구에 정박하면서 골프놀이를 했다고 주장한다. 네덜란드어로 클럽CL UB이라는 의미의 COLF, 혹은 실내에서는 KOLF, 얼음위에서는 KOLVEN등으로 불렸다고 한다. 

또한 ‘무역상들이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주문한 가죽으로 만든 골프 볼을 세인트앤드루스로 가져와 팔았다’는 문헌도 있다며 단연 원조는 네덜란드라고 못 박는다. 실지로 네덜란드인들은 세인트앤드루스 항구에 모여 네모반듯하게 금을 긋고 막대기를 세운 후, 그 안에서 목표물을 맞히는 놀이를 했다. 또한 겨울철 빙상위에서 30cm 정도 높이의 막대기를 세워 그 것을 맞추기도 했다. 이를 보고 스코틀랜드 의 어부들과 목동들이 초원으로 가져간 것뿐이라고 그들은 말하는 것이다.


600년 골프역사의 연원
중국까지 가세 점입가경

원조라는 증거에 대해 스코틀랜드는 아이러니한 대목이지만 골프를 친 증거가 아닌 골프를 금지하는 의회의 문건을 증거로 들고 나온다. 15세기 중반 스코틀랜드의 백성들이 골프와 럭비를 너무 좋아하고 즐겨 큰 골칫거리였다. 당시 정세는 남쪽 잉글랜드와 수백 년간 전쟁 중이었지만, 활을 쏘는 궁사들이 활을 제조하고 훈련에 임하기보다는 전쟁터에서까지 숨어서 골프를 치는 데만 소일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보다 못한 제임스2세 국왕은 1457년 ‘전 국민은 퓨트볼(FUTT BALL)과 고페(GOUFE)를 금지한다’라는 칙령을 공표해 버렸다. 골프에 관한 정확한 일시와 년도가 의회문서에 기록돼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맞서 골프 역사학자인 미셀과 스펜서가 공동 저술한 <THE HISTORY OF GOLF>를 인용하면 16세기 네덜란드의 겨울 풍경화에는 어김없이 빙판에서 골프를 치는 광경이 목격된다. 

16세기 당시의 네덜란드에서는 목표물을 누가 적은 타수로 맞히거나 혹은 근접거리를 계산해서 승패를 가르는 놀이를 했다. 빙상이나 실내, 풀밭, 작게는 부엌에서도 했으며 넓게는 성채, 법원 등지의 정문을 목표물로 하는 장거리 경기를 했고, 진 팀이 맥주 통을 내 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덜란드의 역사학자 스티븐 반 헹겔은 1972년 출판된 그의 저서 <EARLY GOLF>에서‘1297년 12월26일 북부 지방의 LEONEN AAN DE VEC HT라는 마을에 4홀짜리 골프코스가 만들어 졌으며 총 연장길이가 4500야드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목표물은 비석이나 현관이었으며 이 코스는 네덜란드가 크로넨 버그 성을 해방시킨 기념으로 만든 것이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골프 역사의 정설에 관한 의견에 대해 학자들은 네덜란드의 모든 증거는 16세기 이후에 만들어 진 것인데 반해 스코틀랜드의 의회문서는 15세기로 한 발 앞서간다고 주장한다. 학계의 정설은 비록 네덜란드가 골프를 먼저 시작했을지는 몰라도 그들은 그 놀이를 발전시키지 못한 반면, 스코틀랜드는 수 백 년 동안 초원에서 계승, 발전시켰기 때문에 골프에 들인 공로를 더 높이 쳐주고 있는 것이다.

각종 문헌 들고나와 검증
유사놀이 많아 논란 격화 


골프 원조에 관한 논쟁에 끼어든 제3국가는 중국이다. 서기 950년 당나라 말 궁궐에서 남자나 여자들이 공을 쳐서 작은 구멍에 집어넣는 ‘추환’이라는 놀이가 있었다. 아라비아 무역상들이 차마 고도와 히말라야 등을 넘어 이 놀이를 유럽으로 가져갔다는 주장이다. 몽고 시대인 12세기부터 는 이 놀이가 ‘추이환’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성행했다고 한다. 이 놀이에 대한 규칙이 <환경>이라는 책자로 만들어 전해져 왔다는 근거 있는 주장이다. 증거 자료로 그들은 도자기나 족자에 그려진 여러 그림들을 제시하고 있다.

<환경>에 따르면 공이 놓여 있는 페어웨이에 해당하는 평지는 ‘평’이라고 불렸으며 슬로프가 있는 비탈 중 내리막은 ‘요’, 오르막은 ‘철’이라고 불렀다. 해저드나 OB 지역도 구분해 놓아 이를 ‘외’ 라고 했다. 장비에 관한 명칭으로는 나무로 만든 클럽을 ‘구봉’, 역시 나무로 만든 공은 ‘권’이라고 불렀다. 티 샷은 모래 등에 볼을 올려놓고 했는데 첫 번째 티 샷은 ‘초봉’이라고 불렀으며 ‘이봉, 삼봉’등으로 불렀다. 한 홀은 파 3 정도의 짧은 길이였으며 버디를 했을 경우를 ‘일주’, 홀인원을 했을 경우를 ‘이주’라고 불렀다.

증거자료

두 사람이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면 오늘날의 서든데스처럼 다음날에 재경기를 했다고 한다. 골프 학계는 그러나 이 같은 논리는 중국이 경제 대국이 된 최근에 만들어진 주장 정도로만 받아들이고 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