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뽀글뽀글 파마를 한데다 얼굴이 길고 빼빼하여 어쩐지 무우뿌리 같아 보이는 여자가 보리 쌀을 뽀득뽀득 기운껏 문대며 말했다.
“그런데 순이네, 그 영감은 어디가 많이 아픈 모양이죠? 하긴 뭐 이 동네에 아프지 않은 사람이 뉘 있을까만.”
깨진 거울
“글쎄, 나도 자세한 건 몰라. 앞집이라 해도 평소 땐 뭐 말을 잘 해야지. 두어 달 전까지는 노상 술에 취해 들어오곤 하더니만 하룻날 저 앞 다리에서 떨어진 뒤부턴 폭 박혀서 골골거리데. 어쩐지 생각해 보면 딱하기도 한 할멈이야.”
“원, 언제 이 굴집 신세를 면하게 될지…….”
“뭐, 그래도 철수네는 주택부금 꼬박꼬박 붓고 있잖나. 그게 다 남자 잘 만난 복이겠지만.”
운은 세수를 마치곤 그곳을 물러났다.
문 앞에 닿은 운은 갑자기 전에 없이 당차게 울려오는 달래 여사의 고함 소리를 듣고 걸음을 멈추었다.
“뭐라꼬? 그래, 이날 이때껏 속이 문드러지듯이 살아온 나는 술 한잔도 맘놓고 못 먹는단 말가? 죽을 것같이 맘이 아파서 먹었다, 왜? 그래, 사내라고 불알은 찬 주제에 그게 나한테 할 소리던가? 뭐라캤제? 흥, 화냥년이라꼬!”
이어서 무엇인가 박살나는 소리가 났다. 그러자 고비고비 목청을 돋우는 쇠잔한 남자 음성이 들렸다.
“듣자듣자하니 이 빌어먹을 년이 이젠 기물까지 부수누나. 그깟 말이 그다지도 가슴 아프더면 나더러 숫제 화냥놈이라고 부르려무나. 하지만 넌 또 뭘 잘한 게 있니? 골골거리는 서방 약 사줄 돈은 없어도 제년 술 처먹을 돈은 있던가보군. 에라이 사악한 것, 애구 애구 나 죽네…….”
운은 기침을 하곤 문을 열고 일단 방 안으로 들어갔다. 약냄새 외에도 술냄새와 웬 지린내까지 겹쳐 시궁창을 방불케하는 냄새가 물씬 풍겼다.
좁직한 방 가운데엔 거울이 조각나 있었다. 운이 들어왔음에도 달래 여사의 입담은 그치지 않았다.
“흥, 그래 그게 고까워서 애도 아닌 늙은이가 방 안에다 이 짓을 했구먼.(달래 여사는 손바닥으로 이불을 탁탁 쳤는데, 그 한 부분이 젖어 있었다.) 그래,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만 당신은 정말 애야. 아니, 애보다 못하게 한세상을 살아왔지. 그 잘난 낯짝 하나 갖고 명배우니 뭐니 헛소리나 하며 한세월을 허송하고 이렇게 앉았으니 삼척동자도 웃을 어릿광대이긴 하지……. 애구, 이 한도 많은 년의 인생, 웬 업이 그리 많아 늘그막엔 남정네 약 하나도 건사 못 하는 독한 년 신세가 되고 말았을까!”
갑자기 그녀는 세운 한쪽 무릎 위에 이마를 대고 서럽게 통곡하기 시작했다. 그 작고 가냘픈 몸에서 그만한 울음이 나올 수 있다는 건 좀 놀라웠다.
그러자 이제껏 흰 런닝셔츠에 흰 잠옷바지 차림으로 반은 눕고 반은 앉은 듯한 추레한 자세로 방바닥을 내려다보고 있던 영감이 슬쩍 고개를 들었다.
운이 그의 얼굴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건 처음인 셈이었다.
넓적하긴 하지만 맥없이 희멀그레한 안색, 초점 없이 풀려서 인간 세상 아닌 어디 다른 세계를 헤매고 있는 듯한 눈, 마치 성이라도 난 듯 퉁퉁히 부어오른 입술 등은 어딘지 회충 같은 느낌을 받게 했다.
영감은 무릎걸음으로 다가가 길고 희고 푸른 심줄이 불거진 손을 달래 여사의 달싹거리는 어깨에 얹고 토닥거리며 말했다.
“자기야, 뚝 그쳐, 귀여운 사람……. 남의 이목도 있는데 창피하잖아. 그래, 내 모두 사과할게. 난 당신 없으면 못 살아. 그래서 심술이 난 거였지 본심은 아냐…….”
쇠잔한 남자와 여사
한 많은 인생 넋두리
부부 싸움은 칼로 물베기라던가. 아직 체험해보지 못한 용운은 신비한 느낌까지 들었다. 달래 여사의 태도는 갑자기 바뀌어졌다.
“애구, 이 무정한 양반아, 그래 이 달래가 자기 영감 아픈 것까지 잊고 술먹었을까 그러우. 당신 몸이 아픈 건 곧 내 몸이 아픈 거라오. 그런 줄도 모르고 약 안 사낸다고 그렇게 떼를 쓰면 난들 어떡하란 말요. 어디 한푼 빌려볼 데도 없으니…….”
“그래, 알았소. 내 이빨 꽉 다물고 있을 테니 죽이든 살리든 당신 알아서 하구료. 끙, 원 이렇게 아파서야 곧 죽고 말겠군.”
그러면서 그는 다시 자리 위에 드러누워 신음을 계속했다.
달래 여사는 울음의 흔적을 싹 씻고 바삐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물수건을 만들어 와서 영감의 얼굴과 손을 닦아 주고, 방을 청소하고, 그런 다음에는 보리쌀을 씻어 미음을 끓이는 것이었다.
그러는 동안에도 영감은 계속 신음하고 있었다.
그날 밤 운은 잠을 잘 자지 못했다. 아랫방에서 나는 소리에 신경이 쓰였기 때문이었다.
달래 여사는 식당에서의 술기나 투정 같은 건 싸그리 잊어버린 듯, 이제 스스로 투정을 받아주는 입장이 되어 영감을 돌보고 있었다.
미음을 떠먹이면서 얼르는 소리는 마치 갓난 아기에게 하는 것 같았다. 듣기만 하고 있던 운으로서는 침이 꼴깍 넘어갈 지경이었다.
그런데 환자는 갑자기 전에 없이 까탈스런 성미를 나타내 애를 태우고 있었다.
싱겁다느니 짜다느니, 뜨겁다고 했다가 식은 구정물 같다는 둥 운이 들을 때는 조리가 없었다.
그러나 달래 여사는 한마디의 불평도 없이 감내하고 있었다.
밤이 깊어도 투정 섞인 그 신음 소리는 그치지 않았다. 하도 끈질겨서 어찌 들으면 매우 위독한 것이 아닌가 염려되기도 했다.
그러나 달래 여사의 응대가 범상한 상태를 넘어서지 않았으므로 운은 시나브로 잠 속으로 빠져들어갔다.
다음날 아침 운은 눈을 뜨기 전에 바로 그 신음 소리부터 들었다. 조금도 수그러들거나 지친 기색도 없이 어젯밤과 똑같았으므로 잠을 잘못 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불안한 기색
그러나 운은 이내 달래 여사가 퍽 변해 있음을 깨달았다. 그녀의 언동엔 불안의 기색이 역력했다. 그리고 쉰 목소리엔 피로가 잔뜩 스며 있었다.
그녀는 남편의 신음 한 마디 한 마디에 안절부절못하면서 애를 태우는 것이었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