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3)깻잎

“쓰임새는 오곡 중에서 가장 유익”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 깨 ⓒpixabay

고려 제 17대 임금인 인종 시절 척준경이 이자겸의 난을 척결한 이후 <고려사절요> 기록이다.

왕이 일찍이 깨 다섯 되를 얻은 꿈을 꾸었다.

이를 척준경에게 말하니 준경이 대답하기를 “깨는 한자로 임(荏)이요, 임은 임(任) 자와 음이 같으니, 임(任) 자 성을 가진 후비를 맞을 징조요, 그 수가 다섯이란 것은 다섯 아들을 둘 상서입니다.”

임(任) 자 성

척준경은 이자겸과 함께 인종을 폐위하고자 대궐에 침입했다 왕의 권유로 뜻을 바꿔 이자겸을 잡아 귀양 보내고 공신이 된 인물이다.


간략하게 이야기하자면 역사상으로 그저 그런 인물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그 척준경의 해몽이 후일 적중한다. 인종은 이자겸의 두 딸을 폐위시킨 이후 곧바로 중서령(中書令) 임원후(任元厚)의 딸을 비(공예왕후, 恭睿王后)로 맞이하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다섯 아들을 낳게 된다.

또 다섯 아들 중에 세 아들이 모두 왕위에 오르니 (첫째 아들 의종, 셋째 아들 명종, 다섯째 아들 신종) 척준경의 해몽에 감탄을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척준경은 이자겸을 몰아낸 바로 이듬해에 정지상의 탄핵을 받고 그 역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여하튼 깨는 참깨와 들깨 모두를 총칭하는 단어다.

그런데 참깨는 참깨 과에 속하고 들깨는 꿀풀 과에 속한다.

아울러 식용으로 사용하는 깻잎은 들깨의 잎이라 먼저 들깨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조선 말기 학자이며 독립운동가로 활약했던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작품 들깨(荏子, 임자)를 감상해보자. 

一分畊貝畝(일분경패묘) 비옥한 밭 한 귀퉁이에 경작하여 
三足晒墻堧(삼족쇄장연) 세 갈래로 담장 가까이 말렸네
謹避村鷄啄(근피촌계탁) 마을 닭이 쪼아먹지 못하게 하고
還嫌谷鳥咽(환혐곡조연) 골짝 새가 삼키는 걸 꺼려했네
日熏防倒落(일훈방도락) 태양 비칠 때 넘어지지 않게 하고 
風摵護旁顚(풍색호방전) 바람 불 때 엎어지지 않게 하였네
積以終年力(적이종년력) 한해 내내 힘을 다하여 쌓아
照來不夜天(조래불야천) 등불 켜 밝은 세상 마주하네

들깨는 앞서 등장한 대로 한자로 荏(임)인바 깨는 荏子 그리고 그 깨의 잎을 荏葉(임엽)으로 표기한다. 

필자가 어린 시절 집을 나서면 여기저기서 깨를 볼 수 있었고 우리 집에서도 밭농사의 일환으로 깨를 재배했었다.

그런데 아무리 기억을 짜내보아도 깻잎을 식용했던 기억은 전무하다.

그저 산과 들판에서 놀다 뱀에 물리면 깻잎을 으깨어 즙을 내어 먹거나 즙을 내고 난 찌꺼기를 물린 곳에 바르는 정도였다. 

물론 과거에도 깻잎을 식용했다는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데 그 깻잎이 어느 순간 식탁에 오르기 시작했고 급기야 각광받는 음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를 살피면 불현듯 돼지감자가 떠오른다. 

어린 시절 우리 집 뒤꼍에 돼지감자가 자생하고 있었고, 급기야 호기심이 발동해 그 뿌리 즉 돼지감자를 입에 넣고 깨문 즉시 뱉어버렸었다.

이후 돼지감자는 돼지들이 먹는 감자 정도로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귀한 음식으로 자리매김했다.

깻잎 역시 돼지감자처럼 현대에 들어 효능이 밝혀지면서 친숙해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참고로 깻잎을 식용하는 나라는 일본과 우리나라밖에 없고 특히 생깻잎을 먹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무이하다는 사실을 밝힌다.


깨와 관련해 이응희가 작품을 남겼다. 감상해보자.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머리털을 부드럽게
등잔 기름으로 밤을 밝히고 냄새제거까지

荏(임) 깨

田家種百穀(전가종백곡) 농가에서 여러 곡식 심는데
此物寧不營(차물녕불영) 이 곡식 어찌 심지 않겠는가
細玉盈箱穫(세옥영상확) 가는 옥 상자에 가득하고
香油滿甕盛(향유만옹성) 향기로운 기름 가득 담았네
三蟲能去盡(삼충능거진) 삼충 거의 다 제거할 수 있어
五內得滋榮(오내득자영) 오장 모두 번영할 수 있네
擧世無君澤(거세무군택) 세상에 깨 혜택 없으면
何由保此生(하유보차생) 어찌 이내 삶 보전하리오

水荏(수임) 들깨

副居眞荏貴(부거진임귀) 참깨 다음으로 귀하지만 
名幷色無同(명병색무동) 이름과 색 같지 않네
粉粟盈金朶(분속영금타) 좁쌀 가루 금주머니 가득하고
玄珠滿綠縫(현주만록봉) 검은 구슬 초록 자루에 가득하네
澤及回文婦(택급회문부) 혜택은 회문 쓴 여인에게 미쳤고 
功多點易翁(공다점역옹) 공로는 주역 점찍은 노인에게 많네 
明光能繼晷(명광능계귀) 밝은 빛이 밤을 낯처럼 밝히니
嘉穀未爭雄(가곡미쟁웅) 좋은 곡식들 이와 다툴 게 없네


*澤及回文婦(택급회문부) : 전진(前秦) 때 두도(竇滔)가 진주 자사(秦州刺史)가 돼 멀리 유사(流沙)로 가게 됐다.

이에 그의 아내 소씨가 그리운 마음을 담아, 전후좌우 어디로 읽어도 문장이 되는 〈회문선도시(回文旋圖詩)〉를 지어 비단에 수놓아 보냈다고 한다.

즉 소씨가 〈회문선도시〉를 쓸 때 들깨 기름 등잔 아래서 수를 놓았다는 뜻이다.

功多點易翁(공다점역옹) : 당나라 때 신선을 매우 좋아했던 고변(高騈)의 〈보허사(步虛詞)〉에 ‘청계산 도사를 사람들은 알지 못하니, 하늘을 오르내리는 학 한 마리뿐이로다. 동굴 문 깊이 잠기고 푸른 창은 춥기만 한데, 이슬방울로 주묵 갈아 주역에 권점 찍노라’고 했다.

주역에 권점 찍을 때 등잔 기름으로 들깨 기름을 썼다는 뜻이다.

암내 제거

아울러 이응희는 들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삼충을 죽이고 머리털을 부드럽게 하고 음식맛을 보태는 것은 비록 참깨에 비길 바가 아니다.

하나 담기(痰氣)를 가라앉히고 체증을 없애고 수도(水道)를 틔우고 안색을 좋게 하는 효능은 소자(蘇子, 차조기)와 같으며, 등잔 기름으로 밤을 밝히는 공효와 기름으로 방습하는 쓰임새는 실로 오곡 중에서 가장 유익하다.

그 잎은 9월에 따서 응달에 말려놓았다가 달여서 복용하면 몸 냄새를 없애고 호취(狐臭, 겨드랑이에서 나는 노린내)를 감추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이응희 역시 깻잎의 약용에 대해 언급했는데, 암내(겨드랑이서 나는 고약한 냄새)가 심한 사람들은 새겨둘만하다.  
 

<계속>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탈세보다 무서운 산재와의 전쟁

탈세보다 무서운 산재와의 전쟁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건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이 대통령이 칼을 휘두르자 기업은 납작 엎드렸다. 이 대통령의 행보를 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산재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는 만큼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환영하는 의견과 구조적 문제를 뒤로하고 기업 ‘잡도리’만 하고 있다는 의견 등이다. 건설업계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미국발 관세나 국내 경기 문제가 아니다. 산업재해(이하 산재)가 건설 현장을 뒤흔드는 중이다. 대통령은 여러 현안 중 산재로 인한 사망사고 근절을 국정 과제 첫머리에 올린 듯한 모습이다. 대통령 한마디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되는 산재 사망사고의 고리를 끊겠다고 나섰다.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을 법과 제도를 통해 처벌하겠다고 선언했다. 발언 수위도 나날이 세지고 있다. 본보기가 된 기업은 대통령이 일으킨 칼바람을 온몸으로 맞는 모양새다. 지난 5월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3월 재해 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는 총 137명(잠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8명)보다 1명(0.7%) 줄었다. 사망사고 건수도 같은 기간 136건에서 129건으로 7건(5.1%)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9명으로 지난해보다 2명, 기타 업종(건설업과 제조업 이외 업종)이 38명으로 6명 감소했지만 건설업은 71명으로 오히려 7명 늘었다. 노동부는 부산 기장군 건설 현장 화재와 서울-세종고속도로 교량 붕괴 등 대형 사고의 영향으로 건설업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2월14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나 6명이 숨졌다. 또 같은 달 25일, 경기도 안성시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 교량 상판 구조물이 붕괴해 4명이 목숨을 잃는 사고가 일어났다. 규모별로는 상시 근로자 50인(건설 업종은 공사 금액 50억원) 미만 사업장에서 올해 1분기 사망자는 83명으로 지난해보다 5명(6.4%), 사망사고 건수는 83건으로 7건(9.2%) 늘었다. 반면 50인 이상 대형 사업장과 대규모 공사 현장에선 사망자 54명, 사고 건수 46건으로 각각 6명, 14건 줄었다. 사망사고 유형별로는 ‘추락’ 62명, ‘끼임’ 11명, ‘물체에 맞음’ 16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명, 7명, 5명 감소했다. 화재와 폭발로는 10명, ‘붕괴’ 사고로는 11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자체별로는 경기(31명), 서울(17명), 경북(15명), 부산·전남(12명), 경남(11명), 충남(9명), 강원·울산(6명) 순으로 많았다. 산재로 인한 사망은 건설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사고다. 정부는 산재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한 각종 대책을 내놨다. 2022년 1월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도 그중 하나다. 중처법은 근로자의 사망사고 등 중대 재해가 발생했을 때 기업의 경영 책임자 등이 안전 보건 관리 체계 구축 등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확인되면 처벌하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취임 이후부터 직접 챙겨 국정 운영 계획에도 포함 문제는 실효성이다. 중처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죽는 일이 계속 일어나고 처벌은 ‘솜방망이’ 수준에 그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이 대통령이 칼을 빼 들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2일 “비용을 아끼기 위해 누군가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일종의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또는 사회적 타살”이라고 비판했다. 필요하면 법을 개정해서라도 ‘산재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벗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일상적으로 산업 현장을 점검해서 필요한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작업하면 엄정하게 제지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며 “제도가 있는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최대의 조치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사고 위험이 큰 업무를 하청과 외주를 통해 해결하는 ‘위험의 외주화’ 현상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 대통령의 산재 사망사고 근절 ‘드라이브’는 점진적으로 거세지고 있다. 초기에는 주무 부처에 대책을 요구했다면 최근에는 직접 목소리를 내고 움직이는 식이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산재를 줄이라고 지시했는데도 불구하고 사망사고가 이어지자 특유의 행동력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이 대통령이 고용노동부에 산재 관련 종합 대책을 주문한 뒤에도 ▲인천 맨홀 작업 노동자 질식사 ▲포스코이앤씨 노동자 끼임사 ▲경기 의정부 아파트 신축 현장 노동자 추락사 등의 사고가 일어났다. 불과 한 달 새 일어난 일이다. 지난달 6일 인천 계양구 병방동의 한 도로 맨홀 안에서 지하 시설물 조사 작업 중이던 노동자 1명이 의식을 잃고 1명은 실종됐다. 이들은 결국 사망했다. 조사 결과 이 사고는 용역 계약 위반에 따라 허가 절차 없이 진행하다가 발생한 인재로 드러났다. 법으로도 안 됐는데… 숨진 근로자는 산소 마스크 등 안전 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채 작업하다 유독가스에 중독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이 대통령은 “현장 안전 관리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데 철저히 밝히고 법령 위반 여부가 있었는지를 조사해 책임자를 엄중히 조치하라”며 “후진국형 산업재해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 안전관리를 정비하고 사전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등 관련 부처도 특단의 조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달 28일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경남 함양-울산고속도로 의령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사면 보강 작업을 하던 60대 근로자가 천공기(지반을 뚫는 건설기계)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포스코이앤씨 시공 현장에서만 올해 들어 4번째 일어난 사망사고다. 지난 1월 경남 김해 아파트 신축 현장 추락사고, 경기도 광명 신안산선 건설 현장 붕괴사고, 대구 주상복합 신축 현장 추락사고 등도 줄을 이었다. 이 대통령은 “똑같은 방식으로 사망사고가 나는 것은 결국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고 아주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산재 사망사고가 나면) 여러 차례 공시하도록 해서 투자를 안 하고 주가가 폭락하게 (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여름휴가를 마치고 복귀 첫 일성도 산재 관련 발언이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 모든 산업재해 사망사고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통령에게 직보하라”고 지시했다. 산재 사망사고를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다. 사과문 내고 또 반복되다 지난 9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을 통해 전해진 이 대통령의 발언은 전날인 8일 경기 의정부 신축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안전망 철거 작업을 하던 50대 근로자가 6층 높이에서 떨어져 숨진 사고가 영향을 미쳤다. 이 대통령이 선포한 ‘산재와의 전쟁’에 기업은 바짝 얼어붙은 상황이다. 지난달 25일 경기 시흥 SPC 삼립 공장을 방문해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해당 공장은 지난 5월 50대 여성 노동자가 작동 중인 컨베이어벨트에 끼어 사망했고 2022년과 2023년에도 여성 노동자가 각각 소스 교반기와 반죽 기계에 끼어 숨지는 등 중대 산재가 빈번하게 일어났던 곳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 SPC 근로자의 노동 시간 등을 자세히 물었다. 그러면서 “(산재가) 심야에 대체적으로 발생하고 12시간씩 4일간 일하다 보면 사실 심야 시간에 힘들다. 주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심야 장시간 노동 때문에 생긴 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지적에 SPC 회장을 비롯해 그룹 관계자들이 쩔쩔맨 것으로 전해졌다. SPC그룹은 이 대통령이 다녀간 지 이틀 만인 지난달 27일, 8시간 초과 야근을 폐지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제품 특성상 필수적인 품목 외에는 야간 생산을 최대한 없애 공장 가동 시간을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또 주간 근무 시간도 점진적으로 줄여 장시간 근무로 인한 피로 누적, 집중력 저하, 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달 29일 담화문을 내고 고개를 숙였다. 정희민 전 대표이사는 “어제(28일) 사고 직후 모든 현장에서 즉시 모든 작업을 중단했고 전사적 긴급 안전 점검을 실시해 안전히 확실하게 확인되기 전까지 무기한 작업을 중지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협력업체를 포함한 모든 근로자의 안전이 최우선 가치가 되도록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해 근본적인 쇄신 계기로 삼겠다”며 “또다시 이런 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사즉생의 각오와 회사의 명운을 걸고 안전 체계의 전환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 전 대표의 사과는 엿새 만에 또다시 일어난 사고로 빛이 바랬다. 지난 4일 오후 경기 광명시 옥길동 광명-서울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제1공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 30대 근로자가 감전돼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이 근로자는 병원으로 이송된 지 8일 만인 지난 12일 의식을 회복했다. 높아진 발언 수위·제재 조치 “왜 기업만 잡도리?” 의견도 정 전 대표는 사의를 표명하고 물러났다. 연이어 산재사고가 일어난 포스코이앤씨는 ‘본보기’가 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일단 이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건설 면허 취소, 공공 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린 바 있다. 국내 건설 면허 취소는 현행 건설산업기본법상 최고 수위의 징계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책임이 있던 동아건설산업에 내려진 사례가 유일하다. 건설 면허가 취소되면 신규 사업을 할 수 없고, 다시 면허를 취득한다고 해도 수주 이력이 없기 때문에 관급공사를 따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경찰은 사고 관련 수사 전담팀을 만들고 고용노동부 안양지청과 함께 포스코이앤씨와 하청업체에 대한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DL건설도 대표이사를 비롯한 임원진 전원이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에 책임을 지고 일괄 사표를 제출하는 등 납작 엎드렸다. 특히 이 대통령이 휴가에서 돌아와 산재 관련 발언을 한 직후 터진 사고여서 충격파가 더 컸다. DL건설에서 사표를 제출한 임직원은 80여명, 공사를 중단한 현장은 44곳에 이른다. 이재명정부는 산재사고로 인한 사망자 비율을 2030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1만명당 0.29명까지 끌어내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산재로 인한 사망자 비율은 1만명당 0.39명으로 OECD 평균을 크게 웃도는 실정이다. 이 같은 내용은 ‘이재명정부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됐다. 이 대통령이 지난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전 세계에서 또는 OECD 국가 중 산업재해율, 사망재해율이 가장 높다는 불명예를 이번 정부에서 반드시 끊어내겠다”고 의지를 드러낸 부분을 국정과제로 담은 것이다. 구조 문제 나 몰라라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지나치게 건설업계만 잡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관련 법과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도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는다면 구조적인 문제도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수주 경쟁이 과열되면서 저가 입찰이 늘고 안전관리에 소홀해지는 점이 산재로 이어지는 식의 고리를 끊어야 진정한 의미의 ‘근절’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