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6 10:50
민족 최대의 명절을 10여 일 앞둔 지난 12일 서울 중구 남대문 시장이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MB정권에서 실세로 통했던 인사들의 지근거리에서 비리가 잇따라 터졌다. ‘상왕’ 이상득 의원의 15년지기 보좌관은 10억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양아들 역시 뇌물 수수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비리의 종착지로 두 사람이 의심받는 실정이다. 또 다른 실세인 박희태 국회의장 역시 디도스 공격의 배후설에 연루된 데 이어 지난 전당대회 당시 돈 봉투 살포 용의자로도 지목된 상태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과는 무관한 일이라고 한사코 의혹에 손사래를 치고 있다. 임기 말 휘두르는 칼날이 예사롭지 않은 검찰의 수사결과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16일 설 명절을 일주일 앞둔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입구 앞이 전국 각지에서 보내온 선물 보따리에 쌓여져 있다.
본격 선거정국에 돌입하자 정치인들의 ‘소통’ 방식도 본격 변화하는 양상이다. 정치인들의 잇따른 예능 출연이 그것이다. 그간 정치인들이 비교적 딱딱한 뉴스와 시사프로그램 등에 출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힐링캠프>에 강용석 의원은 <화성인 바이러스> 등 예능프로그램에 잇따라 출연해 입담과 재치를 선보이며 눈길을 끌었다. 특히 정치인들은 예능프로를 통해 친근한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이미지 메이킹’과 젊은층과의 ‘소통’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고 있는 모양새다.
영하의 추운 날씨가 연일 이어진 지난 2일 오후 서울 올림픽대로변에 매달린 고드름이 얼어붙은 국회를 보는 듯하다. 새해에도 미디어렙법안 처리 등 여야 간의 공방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미디어렙법 연내입법을 촉구하는 전국언론노조와 종교,지역방송 협의회 등 언론관련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12월28일 국회본관계단 앞에서 미디어렙법 연내입법촉구 구호를 외치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12월29일 인터넷 매체를 통해 특정후보자 지지나 반대의견을 표현하는 것을 금지한 선거법 조항에 대해 한정위헌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내년도 총·대선에서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자유로워진다. 때문에 다가오는 총·대선에서 트위터나 페이스북, 블로그 등이 SNS 선거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일명 ‘트윗심’으로 불리는 트위터 상의 민심은 야권으로 기울어져 여권에 불리한 상태다. 황영철 한나라당 대변인은 “한나라당이 선거에 불리해도 안고 가야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는 헌재 결정에도 불구하고 SNS를 통한 사전선거운동은 여전히 불법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얼마 전 외국에 있는 지인에게서 한 통의 짧은 SNS 문자가 왔다. ‘시시비비’라는 단 네 글자. 답문을 통해 물어보니 2012년을 사자성어로 표현한 것이라고 했다. 인터넷을 뒤져보고 한자사전을 꼼꼼히 훑어봐도 시시비비(是是非非)란 단어만 보일 뿐 또 다른 시시비비란 사자성어는 어디에도 없었다. 그 뜻이 무엇인지 다시 물어보니 기발한 해석까지 덧붙여준다. 시시비비(時屎非庇). 낱자를 풀이하면 ‘때 시’ ‘똥 시’ ‘아닐 비’ ‘덮을 비’이다. 각개의 뜻을 모아 의역을 하면 ‘똥은 때를 맞춰 덮지 않으면 갈수록 냄새가 더 진동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자를 끌어다 억지로 꿰맞추려 했다 하더라도 너무나 시의적절한 표현이다. ‘흑룡의 해(壬辰年)’인 2012년이 어떤 해인가? 두 차례의 굵직한 선거가 겹친 해이다. 새싹이 움트는 4월에는 민의를 대변하는 국회의원을 뽑고, 엄동설한 12월에는 대한민국을 이끌 18대 대통령을 뽑아야 하는 해인 것이다. 국민의 대다수는 지난 4년 전 17대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를 찍으면서 막연하지만 상당한 기대감을 가졌었던 게 사실이다. 다른 건 몰라도 ‘경제’ 하나 만큼은 확실하게 챙겨 부강한 국가와 윤택한 국민을 만들어줄 것이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사건에 관련, 국회에 모인 외교·안보장관들이 지난 22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왼쪽부터 김관진 국방부장관,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눈만 뜨면 벌어지는 측근 비리와 경제난 등으로 이명박 정부가 하향곡선으로 치달으며 레임덕이 가속화 되는 모양새다. 이명박 대통령은 ‘내곡동 사저’ 여파로 현역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형사고발을 당하는 수모를 당했다. 여기에 눈칫밥 먹던 검찰도 현 정권에 힘이 빠지자 ‘형님’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의 숨통을 죌 기세다. 이 대통령의 정치적 버팀목이던 친이계의 최대 계파모임인 ‘함께 내일로’마저 해체됐다. 한나라당은 ‘박근혜 비대위 체제’가 출범하며 사실상 친박계가 접수한 상태다. 최악의 상황을 맞은 이 대통령이 임기말 최악의 위기를 어떻게 돌파해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13일 오후 중국 어선의 폭력적인 불법 조업을 단속하던 해경 대원의 순직 사건과 관련해 긴급 국토해양위가 열렸다. 이날 변웅전 전 자유선진당 대표가 해경들의 노후된 전투장비를 들어보이며 설명을 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