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한 얼음조각(Icecarving)은 생동감과 웅장함으로 연회장의 분위기를 한껏 높여준다. 최근 국제제과대회 얼음조각 부분에서 한국이 우수한 성적을 거둬 한국의 위상이 높아졌지만 얼음조각은 아직까지 생소하기만 하다. 우리나라의 아이스카빙 기원은 신라 지증왕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라상 올릴 때 음식에 띄우는 얼음을 조각하면서부터였다고 하니 그 역사가 1천년을 넘는다. 그러나 활동 영역이 한정돼 있는 탓에 역사에 비해 아이스카버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얼음조각가는 1백여명 정도. 최근 들어 각종 축하연에 얼음조각이 빠질 수 없는 장식물로 인식되면서 얼음조각가는 늘고 있는 추세다. "얼음조각을 요리합니다" “얼음조각은 묘한 빛을 내며 아름다운 자태를 뽐냅니다. 스스로 녹아 없어지며 예술로 승화하죠.” 얼음조각에 푹 빠져있는 사람이 있다. 누구보다도 시원한 직업을 가진 얼음조각가 정해철(48)씨. 우리나라 초창기 얼음조각을 시작한 그가 지금까지 만든 얼음 작품만도 수천 개에 달한다. 현재 그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의 아트룸 실장이자 한국 얼음조각가협회 회장이기도 하다. 호텔 내의
㈜브랑누아의 김경환(51) 대표는 남다른 경력의 소유자다. 세계 각국 기능인들이 경연을 펼치는 국제 기능올림픽대회 구두제작 부문 1980년도 우승자다. 김 대표는 성경 말씀에 따라 ‘나눔과 베품의 경영’을 최고의 지표로 삼고 있다.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제 목표는 바로 ‘욕심 없는 목표를 갖는 것’”이라고 말한다. 오늘도 쉬지 않고 나눔과 베품의 경영을 위해 열심히 구슬땀을 흘리며 구두를 만드는 김경환 대표와 부인 김미숙(45)씨를 만나보았다. "나눔과 베품을 경영의 최고 지표로…" 김경환 대표는 30년 동안의 구두 제작 경험을 기반으로 2005년 5월 ㈜브랑누아 구두 상표를 인수했다. 기능공 출신으로 ‘크리스천 성공 신화’를 만들고 싶은 게 김 대표의 작지만 큰 꿈이다. “직접 회사를 인수해 운영해보니 어렵더군요.(웃음) 아직은 목표를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 자꾸 언론에 알려지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해요. 2005년 5월에 (주)브랑누아를 인수하게 됐어요. 원래 (주)브랑누아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엘칸토라는 회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