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세 아이도 성인 ‘1인1메뉴’ 주문해야” 황당 고깃집

SLR클럽 회원 “최근 논란에 몇 달 전 경험했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최근 3세 아이와 한 순대국밥집을 찾았다가 ‘1인 1메뉴를 주문해야 한다’는 음식점 주인의 요구에 마음상했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서 논란이 됐던 가운데 비슷한 사연이 또 게재됐다.

1일, 국내 최대의 온라인 사진 커뮤니티 ‘SLR클럽’에는 ‘요즘 논란의 1인 1메뉴 저도 당해봤어요’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글 작성자 A씨는 “몇 달 전, 지인에게 식사 대접할 일이 있어 가족들을 초대해 서울 강남구 논현동 소재의 한 고깃집을 예약하고 방문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성인 5명, 아이 3명(8세, 6세, 5세)와 함께 방문해 저녁 메뉴인 소고기 반상(1인 5만7000원)을 주문했다”며 “고기 추가가 따로 있어 성인 5인분을 주문하려고 했는데 1인 1메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업주 측의 ‘아이들도 예외가 없다’는 말에 A씨는 “5세, 6세 아이들도 따로 소고기 반상 정식을 주문해야 하는 것이냐?”고 물었고 ‘그렇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8세까지는 어떻게든 이해해보려고 했지만 5‧6세에게 정식을 강요하는 건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도 대접하는 자리고 분위기 깨기 싫어 총 8인분 부탁드렸다”며 “콜키지였던 양주 한 병 이 외에 모자란 술은 따로 주문해 60만원가량 결제하고 나왔다”고 부연했다.

A씨는 “그땐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는데 요즘 1인 1메뉴 논란이 불거지면서 생각이 나서 적어봤다”며 “기분이 상해서 따로 팁은 챙겨드리지도 않았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아울러 ‘소고기 구이‧강남구청, 지난 2월18일(토)‧오후 5시30분‧8명’이라고 적힌 이미지를 한 장 첨부했다. 해당 이미지는 A씨가 예약했던 고깃집 메뉴와 소재지, 예약 날짜 및 시간, 예약자 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해당 글에 가장 먼저 달린 댓글은 눈으로 보면서도 이해하기 힘들 정도였다. 회원 ‘갓OO’은 “100일 안 된 갓난아기도 1메뉴 시키라고 하는 식당도 있었다”며 “아니, 임산부는 2인이라고 하지 그러느냐? 다시는 그런 데 가지 맙시다”라고 응원했다. 그는 “제주도서 우도 들어갔더니 라면 1그릇에 1만원이고 무조건 1인 1메뉴였다”고 소개했다.

회원 ‘강한OO’은 “중학생 기준이면 몰라도 세상 살기 참 팍팍하다”고 탄식했다.

회원 ‘가가가OOOOOOOO’는 “싼 집도 아니고 장사 마인드가 거지같다. 키즈 메뉴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메뉴도 못 시키게 하고 정식을 강요하다니… 5인분은 좀 그렇고 6인분이면 적당한 걸로 보인다”고 말했고 회원 NX500OOOOOO‘는 “그 상황에 나갈 수도 없고 참 난감했겠다. 저 같으면 나갈 때 웃으며 ’잘 먹고 갑니다. 물이 제일 맛있네요‘ 하고 나가고 다음부터 절대 안 갈 듯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돈에 환장했다. 정식 메뉴가 저렴한 것도 아닌데…” “고급 식당서 저럴 리가 없는데요. 그냥 아이들에게 혐오감 있는 사장인 듯” “저러다가 망해봐야 정신 차릴 듯” “좋은 자리 돈 쓰고 불쾌하셨겠네요. 잊어버리는 게 속편하다” “강남구청역이면 회사 밀집 지역인데 아마도 직장인들 밥카로 충분히 돈 버는 곳에 개인 가족들이 오니 배짱 장사하지 않았나 추측해본다” 등 부정적 댓글이 쇄도했다.

반면, 예약하기 전에 확인하지 않은 글쓴이의 잘못이 크다는 반론도 제기됐다. 회원 ‘아이OO’는 “예약 전에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은 본인 잘못이 더 크다고 본다. 그런 것은 아예 가질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댓글에는 “식당 예약할 때 1인 1메뉴를 매번 확인하느냐?” “애 있는 매번 식당이나 카페 갈 때 확인하라는 말인가요? 그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등의 반박 댓글이 달렸다.

앞서 지난달 27일, 온라인 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엔 3세 아기와 함께 순대국밥집을 찾았다가 사장이 공기밥을 1개 주문했는데도 무조건 1인 1메뉴로 주문해야 한다고 하소연 글이 올라왔던 바 있다.


해당 누리꾼은 “아기가 어려서 많이 먹지 못해 1그릇 주문하고 조금만 나눠 먹이겠다고 했고 공기밥도 1개 주문했는데도 안 된다고 했다”며 “한 번만 봐 달라”고 사정한 후 아기와 함께 식사했다.

그는 “(식사를 하는데)제 욕이 들리는 것 같기도 하고 눈치가 엄청 보였다. 다른 곳은 오히려 앞접시를 내다주시는 곳도 있던데, 제가 잘못한 건가요? 몇 살부터 1그릇을 주문해야 할까요?”라고 반문했다.

1인 1메뉴는 음식점이나 카페서 업주가 한정된 영업장서 최소한의 메뉴만 주문한 채 자리만 차지하는 이른바 ‘진상 손님’을 막기 위한 대응 차원서 운영하고 있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반 음식점들보다는 커피 한 잔만 주문해놓고 장시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일부 카공족(카페서 공부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들을 견제하기 위해 커피 전문점 사이서 주로 이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통상 개인이나 대형 업체서 운영하는 음식점도 1인당 1그릇을 주문해야 한다는 법이나 룰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격이나 서비스의 종류 역시 음식점 업주 마음이고 운영 방식에 대해 클레임을 걸 수도 없다. 하지만, 사회적 통념이나 사회적 합의라는 것은 분명 존재한다는 게 중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haewoong@ilyosisa.co.kr>

 



배너

관련기사

7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