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한나라당 의원이 ‘잔’을 들었다. 지난달 26일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하는 것으로 정치적 승부수를 띄운 것.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정권 재창출로 우리가 계속해서 역사를 주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원내대표가 나의 소명이라면 피하지 않고 짐을 지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결심을 하자 친이계의 지원사격도 본격화됐다. 친이계 정두언 의원은 “당내 화합이라는 면에서 적임자”라며 “산적한 많은 국정과제들을 추진력을 갖고 일 할 적임자라고 생각하고 야당과의 협상이 굉장히 중요한데 그런 정치력을 갖춘 면에서도 적임자”라고 김 의원을 추켜세웠다. 정 의원은 이어 “화합, 추진력, 정치력, 이런 면에서 적임자이기 때문에 우리들이 지지하는 것”이라며 김 의원에 대한 친이계의 ‘지원’을 시사했다.
지난달 27일에는 “김 의원은 당내 화합과 국정과제 추진력을 갖춘 적임자로 원만하고 무난하게 원내대표로 선출될 것”이라고 ‘김무성 대세론’을 띄우기도 했다.
원내대표 경선에 나섰던 친이계 의원들도 잇따라 물러나고 있다. 친이계 고흥길 의원은 김 의원의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가 됐으며 안경률 전 사무총장과 정의화 최고위원, 중립의 이주영, 황우여 의원은 출마의 뜻을 접었다.
하지만 친이계의 지원에도 불구, 소원해진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로 고민이 적지 않다. 원내대표에 당선된다고 해도 녹록치 않은 과제들이 앞을 막고 있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주변에서 지금 원내대표를 맡는 것은 독배를 마시는 일이고, 앞으로의 정치인생이 가시밭길이 될 수 있다며 만류했다”면서도 “그러나 위기에 처한 나라를 위해서는 독배라도 마셔야 하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설령 그가 고른 잔이 독배라 해도 들어 올린 이상 끝까지 마시겠다는 것이다.
정치권도 그의 잔이 독배일지 아닐지, 그 이후 펼쳐질 ‘가시밭길’을 어떻게 헤쳐 나갈 지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