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 주는 한국남 일본녀 결혼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 간 결혼 건수가 최근 10년 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대로 한국 여성과 일본 남성 간 인연은 줄었다. 이 현상에 일본이 주목하고 있다.
유독 왜?
최근 일본 매체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국 통계청 자료를 인용, 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 간 결혼이 총 1176건으로,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10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한국 여성과 일본 남성 간 결혼은 147건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 2024년을 비교하면 한국인이 중국·필리핀·베트남 등 한국 내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높은 국가와의 결혼 건수는 줄었으나, 일본인과 혼인을 맺은 사례는 13% 증가했다.
닛케이는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한국의 경제력 성장과 K팝·K드라마 등 한류 문화의 확산을 꼽았다. 양국 간 경제 격차의 축소와 한국 문화에 대한 호감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
해당 매체는 “1970~1980년대에는 일본의 경제 우위와 농촌 일손 부족 등 요인으로 한국인 여성이 일본인 남성과 결혼해 일본에 정착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1980~1990년대에는 통일교의 합동 결혼식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일본인 여성의 비율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한 남성·일 여성 혼인 10년 만에 최고
한 여성·일 남성 인연은 5분의 1 급감
이어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한국에 대한 관심을 계기로 일본 여성들이 결혼을 위해 한국으로 이주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 시기 한국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일본을 추월하면서 남성 급여 수준이 동등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닛케이는 한류 확산도 결혼 증가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2003년 일본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를 계기로 당시 40대인 일본 여성들이 한국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됐고, 이 세대는 자녀나 손자가 한국인과 결혼하는데 거부감이 적다는 설명이다.
또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의 30~40%는 경제적 이유보다는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과 개인적 삶의 의미를 찾아 이주를 선택했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한국과 일본 모두 결혼률과 출생률 감소라는 공통 과제를 안고 있다”며 “결혼을 통한 민간 차원의 교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국 간 안정적인 정치·외교 관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드라마 <겨울연가> 이후…
“한류·경제력 때문 호감”
‘이게 맞다. 한일 커플 많다’<szne****> ‘최고의 궁합이지 싶다’<baby****> ‘한일 부부 좋아 보인다’<pors****> ‘역사적 이슈 말고는 문제가 없다’<ande****> ‘굉장히 바람직한 현상이다. 꼭 한국인끼리 결혼할 필요 없다. 일본과는 문화적 유사성도 크고 근접해 있어 오가기 편하니 결혼해서 잘 살 수 있다’<gkqp****> ‘유튜브 영향도 크다’<dyhm****>
‘대세는 국제결혼입니다. 갈수록 내국인혼은 감소하고 국제결혼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결하세요’<kimc****> ‘일본이 그만큼 먹고 살기 힘들어졌다는 건가?’<quee****> ‘결국 돈이지. 지금은 한국 남자가 돈을 더 잘 버니까’<jagu****> ‘한국 남자와 일본 여자가 서로 성향이 매우 잘 맞다. 정말 신기한 일이다. 일본 여자는 보호를 받길 원하고, 한국 남자는 인정을 받길 원하는데 너무 잘 맞다’<youn****>
‘딸이든 아들이든 물질이 아닌 올바른 인성으로 키워야 듬직한 사위 얻고 참한 며느리 얻을 수 있다’<honm****>
‘아주 좋은 현상이다. 앞으로 더 많은 한국 남성들이 일본에 건너가서 일본 여자들과 결혼하면 좋겠다’<hsal****>
‘실질적인 저출산 극복 대책이다’<pch7****> ‘팩트는 현 시점 자국 여성만으론 저출산 해결 절대 안 된다는 것’<fate****>
통일교 덕?
‘여러모로 긍정적 영향이 크다고 본다. 결혼 말고도 외국인의 장기체류 제도를 완화해 수월한 국내 생활 및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life****> ‘사소한 것이라도 감동해줄 수 있고, 전력으로 고맙다는 말을 해줄 수 있는 것. 이게 일본 여자의 장점이다’<jsoh****> ‘어떻게 만나는 건지 궁금하네’<clou****> ‘자연스런 문화 정착으로 발전하고 저출산 문제도 해결되기를 바란다. 외유내강형의 일본 여성들이 조용한 내조로 많은 우리 청년들에 용기의 바탕이 되면 더 좋고’<rdb0****>
<pmw@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시간당 3만원’ 할머니 서비스?
일본에서 ‘할머니 대여’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일본 기업 클라이언트 파트너스는 2011년부터 ‘오케이 할머니(OK Grandma)’를 운영하고 있다.
60~94세 사이의 고령 여성을 대여하는 형식으로, 앞서 유행했던 ‘친구 대여’나 ‘애인 대행’과 유사하다.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 교통비 3000엔(약 2만8000원)에 시간당 3000엔이 추가된다.
요리 배우기, 아이 돌보기, 뜨개질·바느질 교육, 고부 갈등 상담 등 여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 파트너스에는 약 100명의 할머니가 근무 중이다.
회사 측은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싶다는 생각만으로 시작한 서비스”라고 전했다.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