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8000억 빚의 굴레

2024.03.21 16:37:48 호수 1471호

좀처럼 안 팔리는 애물단지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MBK파트너스의 골칫덩이로 전락한 홈플러스가 좀처럼 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천문학적인 몸값이 재매각을 어렵게 만들었고, 당장 갚아야 할 빚을 막기 위해 신경을 쏟느라 분주한 양상이다. 투자금 회수가 더뎌질수록 이래저래 난감한 일 뿐이다.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는 2015년 9월, 영국 대형마트 기업 테스코로부터 대형마트 업체인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당시 홈플러스에 책정된 몸값은 7조2000억원에 달했고, 이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인수·합병 사례였다.

어느 세월에…

홈플러스 인수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투자업계에서는 MBK파트너스의 선택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였다. 통상 사모펀드는 인수한 기업의 가치를 끌어올려 5년 안에 재매각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경영 방식을 취한다. 이는 곧 MBK파트너스가 적어도 2020년 말까지는 7조2000억원 이상을 지불하면서 홈플러스를 사들일만한 기업을 찾아야 함을 의미했다.

그러나 홈플러스에 매겨진 천문학적인 몸값은 재매각을 어렵게 만들었고, 8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보다 못한 MBK파트너스는 올해 초부터 홈플러스 매각에 적극적인 태도를 드러낸 상태다. 

홈플러스는 지난 1월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을 대표이사에 임명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김 부회장은 2015년 홈플러스 인수 건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MBK파트너스 내부 출신이 홈플러스 대표이사로 부임한 건 홈플러스 인수 후 9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기에, 일각에서는 홈플러스 매각 시기가 임박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럼에도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여전히 홈플러스 매각을 다소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일단 홈플러스의 최근 실적 부진이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든 상태다.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가 인수하기 직전인 2014회계연도(2014년 3월∼2015년 2월)에 영업이익 2400억원을 거두는 등 견고한 수익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1335억원과 2602억원의 영업손실을 거뒀다.

수익성이 바닥을 찍는 사이 조직은 크게 축소됐다. 홈플러스 점포 수는 2019년 6월 140개에서 지난해 6월 말 131개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직원 수는 2만3000명에서 2만명으로 3000명 축소됐다.

재매각이 지연될수록 빚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점쳐진다. 홈플러스 부채비율은 2021년 663.9%에서 이듬해 944%로 상승했고, 같은 기간 차입금의존도는 65.1%에서 67.9%로 올랐다. 올해 만기 도래하는 차입금은 약 8000억원에 달하며, 무엇보다 오는 6월 말 단기차입금 3000억원을 상환 연장하는 게 급선무다.

본전도 못 찾고…엑시트 언제?
수익성·재정 뒷걸음 ‘이중고’

홈플러스는 2022년 발생한 ‘레고랜드 사태’로 단기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메리츠증권에서 3000억원을 차입했다.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지난해 말 만기를 앞두고 메리츠증권과 상환 연장 협상을 벌인 끝에, 결국 오는 6월까지 6개월 단기 만기 연장을 이끌어냈다.

다만 6월 말 차입금 상환 연장에 성공하더라도 10월 말에는 약 5000억원에 달하는 차입금을 상환 연장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해당 금액은 인수금융과 운영자금 등이 포함된 것이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4조3000억원을 금융권으로부터 충당했다. 이후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과 자산매각, 매각 후 재임차(S&LB) 등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인수금융 상환에 활용했다. 2020년 이후 S&LB와 점포 매각 등으로 조달한 2조4000억원을 차입금 상환에 활용했으며, 차입금 잔액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5270억원이다.

실적 악화 및 과도한 차입금 규모는 홈플러스의 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이하 한신평)는 지난달 28일, 홈플러스 기업어음·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로 유지했다. 지난해 2월28일 A3+에서 A3로 조정한 신용등급을 이번 재평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한 것이다. 

신용등급 A3는 적기 상환 가능성은 일정 수준 인정되나, 단기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는 등급이다.


한신평은 대형마트·SSM의 시장 지위 하락, 과거 대비 약화된 경쟁력, 현금창출력 대비 과중한 재무부담 등을 평가 이유로 언급했다. 특히 한신평은 홈플러스가 지속된 점포 매각과 제한적인 설비투자로 대형마트 시장 내 경쟁력이 약화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금리·고물가로 소비가 둔화하고 온라인, 근거리·소량 구매 등 대형마트에 불리한 소비행태가 굳어져 단기간 내 유의미한 수준의 수익성 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먹고 탈 났나

한신평은 “현금창출력이 줄면서 연간 5500억원 수준의 임차료(리스부채 상환)와 이자 비용에 대응하기 부족하고 매장 리뉴얼로 투자 소요는 확대되는 양상”이라며 “지속된 자산매각에도 6조원(상환전환우선주 RCPS 포함)을 상회하는 순차입금 규모는 현금창출력 대비 매우 과중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heaty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