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대통령의 뒷모습 (62)아집 인생과 외로운 세상사

  • 김영권 작가
2023.12.25 06:00:00 호수 1459호

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가을 바람이 상쾌했다. 계절의 순환이 가슴속으로부터 느껴졌다. 모창을 벗어나 자기 나름의 노래를 부르려 시도하는 가수는 기를 쓰고 애쓰는 모양이었다. 

한동안 바삐 나돌더니 언제부턴가 잘 보이지도 않았다.

어느 날 불현듯 나타나시디 하나를 내밀었을 땐 알아보지도 못할 정도였다. 통통하던 얼굴의 살이 쏙 빠지고 창백했으며 눈은 퀭하니 커 보였다. 그러면서도 입가엔 미소가 감돌았다.

마침 그때 나는 급한 일로 밤 열차를 타러 나가야 했으므로 겨우 인사만 나눈 채 헤어지고 말았다. 

죄 없는 노래


보름쯤 후 문득 식당에 켜둔 티비 화면에서 그가 노래 부르는 모습을 보게 됐다. 그야말로 열창이었다.

모창 가수로서 그동안 겪은 설움을 스스로에게 보상하듯 영혼이 담긴 혼신의 목소리였다. 땀인지 눈물인지 한 방울 볼을 굴러 떨어졌다. 

통일은 대박, 통일은 쪽박 
도무지 알 수가 없네요 
너와 나의 사랑이 행복일지 
슬픔의 씨앗을 잉태할지 
압록강의 물결은 사시장철 흘러 
처녀의 꿈을 적셔 주건만 
남풍은 대답 없이 불기만 하네 

분단은 대박, 분단은 쪽박
그 누가 손금 보듯 알 수 있을까요? 
애증의 쌍곡선이 어디로 흘러갈지 
삼팔선 철조망, DMZ의 풀꽃 
무정한 세월만 흐르는데 
한강변 거니는 총각은 짝 잃은 파랑새 
북풍은 한숨 싣고 불어대네요~ 

내 손으로 써 준 가사인데도 왠지 퍽 생소한 느낌이었다. 아마 그가 혼이 깃든 목소리로 승화시켰기 때문이 아닌가 싶었다.

노래가 끝나자 식당 홀에 있던 사람들이 환호성을 울리며 박수를 쳤다. 내가 무지개 식당의 하숙생인 아무개씨라고 소개했으나 그들은 전혀 믿으려 들지 않았다.

일주일쯤 지난 후에야 차츰 화제에 오르기 시작했다.

“희한한 일이야. 등잔불 밑이 어둡다지만 보석이 숨어 있을 줄이야 몰랐어. 싸인이나 하나 받아 놓을 걸.” 

“그런 유의 가사는 사실 좀 별론데 가창력 때문에 뜨고 있는 거지.” 

“왜, 가사도 꽤 재미있더만.”


“아무튼 통일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대. 찬반 논쟁도 마찬가지고 말야.”

“하하, 대박이 날 수도 있겠어.” 

나 역시 성공하길 바랐다. 노래 한 곡이 그런 반향을 불러일으킨다면 차라리 팔리지도 않는 소설 따위 버리고 전업하는 게 어떨까 싶은 생각이 슬그머니 들었다.

고조 사라진 통일…세대 걸쳐 희석
잠재의식 넣어둔 잃어버린 만주벌판 

그건 농담일지언정 속으로 은근히 제2탄인 ‘잃어버린 만주 벌판’에 대한 구상을 해본 건 사실이었다. 하지만 그건 꿈 혹은 잠재의식 속에 넣어두어야 했다.

그로부터 얼마 후 우리의 주인공인 가수가 하숙집에 나타났다. 헌데 웬일인지 얼굴이 썩 밝지 못했다. 허탈한 표정이었다. 짐짓 웃으려고 시도해 보건만 씁쓸한 조소로 변해 버렸다.

그를 알아보고 반가워하며 사인을 한 장 부탁하려던 사람들도 곧 무르춤해졌다. 뭔가 할 말이 있는 것만 같아서 나는 그를 데리고 비교적 조용한 내 방으로 올라갔다.

“무슨 일이 있어요? 우선 좀 앉으세요.” 

“술 한 잔 하실래요.”


그는 코트 주머니에서 봉지를 꺼냈다. 소주와 오징어포가 들어 있었다. 나는 방바닥에 신문지를 펴고 귤 몇 개를 내놓았다. 

“자,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일단 한잔 쭉 들죠. 인생은 어차피 희비 쌍곡선이니까요.” 

내가 말했다. 우리는 건배를 한 후 소주를 마셨다. 

“흐흐, 건배사 때문인지 술맛이 나는군요.”

그가 말하곤 자조적으로 웃었다. 그리고 덧붙였다. 

“희비 쌍곡선…. 딱 말 그대로군요. 허헛….” 

“네?”

“아, 일장춘몽 같은 기분이에요.”

가수는 또 술을 한잔 쭉 들이켰다.

“궁금하니 얘기해 보세요.” 

그는 한숨을 푹 쉬고 나서 사연을 꺼냈다. 

“말 그대로 필사적인 각오를 하고 시작했지요. 나 자신을 죽여야만 살 수 있다! 사실 그동안 겸손한 척했지만… 아니, 실제로 그렇다고 생각했지만… 알고 보니 아집과 아견 그리고 자만심이 독사처럼 마음속에 또아리를 틀고 숨어 있었더라구요. 사람들 또한 모창 가수는 오리지널 가수에 비해 자만심이 없으리라고 지레짐작하겠지만, 보이지 않는 잠재의식 속에서는 오히려 더 심하지 않을까 싶어요.”

“참된 실력으로부터 우러나온 자존감이 아닌 제 잘 나빠진 자만심, 바로 그것 때문에 모창가수 신세로 쓰라린 세월을 보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 그래서 내심 결심했지요. 다 내려놓고 시작하자! 내가 죽었다고 여기고 한번 해보자고…. 사실 때때로 죽어 버리고 싶을 때가 가끔 있었거든요. 귀뚜라미나 참새마저 꾸미지 않은 제 목소리로 노래하지 않는가. 생명의 울음이 없는 난 매미보다 못하다. 내가 그동안 인기 가수를 모방한 건 나 자신의 주제가 없기 때문이 아니었겠는가?”

“그렇다! 아집이나 자만심이 아니라 인생과 세상사에 대한 생생한 주제가 필요하다. 나에게 주어진 삶을 노래하자, 겸허하고 무심한 마음으로 저 낙엽에게 배우며 살자! 그런데 아이러니컬하게도 내가 죽었다고 생각하자 서서히 속에서 뭔가 꿈틀거리며 올라오기 시작하더군요. 울컥하는 심정으로 목을 놓아 통곡했어요. 작곡가 선생님은 그게 진짜 생명력이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가짜 자기가 아닌 진짜 자기의 울음….” 

필사즉생

그는 술을 꿀꺽 마셨다.

“나도 듣고 다른 하숙인들도 듣곤 좋아했어요. 영혼의 절규라고 감동 먹었죠.”

“….”

“왜 무슨 일이 있었나요? 그런 모양이군요.”

“네. 엊그제 방송에 출연할 예정이었는데 갑자기 석연찮게 취소되고 말았어요. 그리구 노래도 금지당했는지 전혀 나오지 않아요.”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