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막힌 스토리> 도굴꾼 된 박물관장 사연

2014.10.06 10:46:52 호수 0호

개인창고에 국보급 유물이 ‘가득’

[일요시사 사회2팀] 박효선 기자 = 가을비가 내리던 지난달 29일 오후, 창덕궁 인근에 위치한 한국미술박물관을 찾았다. 박물관은 굳게 닫혀 있었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은 주변만 기웃거리다 발길을 돌렸다. 3일째였다. 박물관 관장이 구속되면서다.



한동안 뜸했던 도굴사건이 또 터졌다. 사립박물관 관장이 도굴된 문화재를 자신의 창고에 수년간 숨겨온 것이다. 그는 10년 가까이 자신의 창고에 문화재인 지석 500여점을 가둬 공소시효가 끝나기를 기다렸다. 그에게 문화재를 판 3명의 매매업자는 이미 공소시효가 지났다. 문화재관리정책은 여전히 날뛰는 도굴꾼을 따라잡지 못하는 모양새다.

수장고 열어보니…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최근 도굴된 지석을 문화재 매매업자를 통해 사들여 수년간 보관한 혐의로 한국미술박물관 권모 관장(73)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한 이를 권 관장에게 팔아넘긴 문화재 매매업자 조모(65)씨와 김모(64)씨도 붙잡아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지난 6월 ‘도난된 불교 문화재가 경매시장에 나왔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권 관장의 수장고를 압수 수색하던 중 지석 500여점을 무더기로 발견했다.

경찰에 따르면 권 관장은 경기도 성남에 있는 자신의 창고에 도굴된 지석 558여점을 숨겼다. 이 중 379점은 조선 제 11대 왕 중종(1488∼1544)의 손자인 풍산군 이종린의 묘에서 도굴됐다.


지석은 죽은 사람의 인적사항을 기록해 무덤 앞에 묻는 돌이다. 형태는 사각백자, 원통형, 접시형 등 다양하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지석은 ‘조선시대 타임캡슐’로 통한다. 지석을 통해 조선시대의 다양한 사회상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새겨진 내용과 서체를 보고 당대의 풍속사, 서예사 등을 연구할 수 있다.

경찰이 설명한 사건의 개요는 이렇다. 회수된 지석 중 379점은 2002년 사망한 문화재 매매업자 이모씨가 도굴꾼으로부터 처음 사들였다. 이씨가 사망하자 조씨와 김씨는 그의 아내로부터 지석 판매를 위탁받아 거래했다. 조씨와 김씨는 넘겨받은 지석들을 권 관장에게 팔았다.

권 관장은 2003년 6월부터 8월까지 조씨와 이씨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3300만원어치 지석 279점을 사들였다. 또 다른 도굴꾼으로부터 지석 179점을 취득해 지난 6월까지 총 558점을 자신의 수장고에 보관했다. 모두 경기 성남시에 있는 자신의 개인 수장고에 숨겼다.
 

권 관장은 수사기관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명의로 창고를 빌렸다. 이곳에 대거 사들인 지석을 보관했다. 장물취득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7년이 만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지석을 유통할 계획이었다. 문화재는 오래될수록 그 가치가 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도굴된 문화재는 공소시효가 끝나면 유통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현금거래를 통해 매매가 이뤄진다.

도굴된 문화재 500여점 수년간 숨겨
조용히 범행, 공소시효 끝나기 기다려

권 관장이 숨겼던 지석은 모두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였다. 족보에도 적혀 있지 않던 정보나 인물들의 문체 등을 엿볼 수 있는 희귀한 연구자료였다.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제작된 것들이다. 가장 오래된 것은 죽산 안씨 안복초(1382∼1457)의 것으로 세조 3년(1457)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종린의 분묘에서 발견된 지석 8점은 조선 왕실의 매장 풍습을 연구하는 데 높은 가치를 지녔다. 조선시대 중종반정을 도운 공으로 정국공신에 오른 전의 이씨 이희옹(1472∼1541)은 권 관장이 숨겼던 지석을 통해 처음으로 생년이 확인됐다.

또한 세조부터 성종에 이르기까지 많은 공을 세워 공신으로 불렸던 광산 김씨 김극뉴(1436∼1496)의 지석은 연산군 때 무오사화를 주도했던 유자광(1439∼1512)이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광의 문체를 엿볼 수 있는 희귀한 연구 자료다.

반남 박씨 박린(1547∼1625)의 지석에는 이수광(1563∼1628)이 지은 글이 적혀있었다. 이수광은 조선 중기 실학의 선구자이자 ‘지봉유설’의 저자이다.
 

이처럼 회수된 지석은 조선시대의 변천 과정과 매장자의 일대기, 조선의 시대상과 서체 등 모두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것들이었다. 그만큼 전문가들에게 지석은 조선의 500년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한국에서 발견된 지석 중에서는 지난 1971년 충남 공주 송산리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지석이 최고로 평가되고 있다. 지석과 같은 문화재를 개인적으로 취득한 경우 문화재보호법상 처벌대상이 된다.


그러나 권 관장은 수사 과정에서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연구 목적으로 지석을 취득했다”며 “장물인지 몰랐다”고 잡아뗐다. 또한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그는 매입 시기가 공소시효가 완성되는 시점이라고 주장하거나 지석을 본인에게 판매한 사람이 2002년 사망한 이씨라고 우겼다.

보존이 소명?

경찰은 권 관장을 문화재보호법상 은닉 혐의를 적용해 처벌하기로 했다. 그러나 매매업자 조씨와 김씨의 경우 공소시효가 끝나 불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키로 했다. 경찰 관계자는 “공소시효가 장물 알선 및 취득은 7년, 문화재보호법 위반은 10년이라 2003년 권 관장에게 물품을 판매한 사람들의 공소시효는 지났다”며 “공소시효가 지난 두 사람과 사망한 이씨의 경우 공소권 없음으로 불기소 처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문화재 관련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석은 매장문화재로 피해자들조차 피해사실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다. 도굴꾼을 따라잡지 못하는 문화재 관리 정책에 대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dklo216@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한국미술박물관은?

한국미술박물관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사립박물관이다. 권모 관장은 30여년간 수집한 문화재 중 500점을 출연해 1993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을 개관했다. 이후 2011년 1월 한국미술박물관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제1종 전문박물관인 한국미술박물관에서는 보물 2점과 시도지정문화재 21점 등 총 6023점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권 관장은 매년 수천만원의 사업비를 지자체 등으로부터 지원받아왔다.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 한국사립박물관 협회 등에서 2011년 총 4775만원, 2012년 총 4720만원, 2013년 총 5200만원을 지원받았다. 그런데 권 관장은 문화재를 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해 지석을 자신의 창고에 숨겨온 것이다.

그는 과거 다수 매체 인터뷰에서 “시중에서 나도는 우리 불교미술품들이 외국으로 팔려나가거나 개인 수장고 속에 갇혀 지내야 한다는 사실을 그냥 놔둘 수 없었다”며 “문화재 보존은 나의 소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화재 보존에 힘쓰겠다던 그의 다짐은 이번 사건으로 오히려 비웃음을 사게 됐다. <효>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