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난카이 대지진설’ 예언일 코앞에 좌불안석

2025.07.04 13:29:52 호수 0호

도카라열도서 최근 1000회 발생
여행사에 ‘안전’ 관련 문의 쏟아져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7월5일’이라는 날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최근 일본 사회가 긴장과 불안으로 가득 차 있다.



과학적 근거가 없는 괴담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잦은 지진과 과거 예언의 정확성이 결합되면서 ‘난카이 대지진설’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난카이 대지진설이 확산된 핵심은 1999년 발간된 만화 <내가 본 미래>다. 작가 타츠키 료로는 이 만화에서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2020년 코로나19를 예견한 바 있어 전 세계적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괴담과 관련된 내용은 2021년 개정판에서 등장한다. 해당 개정판에는 “2025년 7월 일본에 진짜 대재앙이 닥친다”고 명시돼있다. 그는 특히 “2025년 7월5일 오전 4시18분”을 대지진 날짜로 특정하며 “일본과 필리핀 중간 해저 분화로 동일본대지진의 3배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이 책은 100만부 이상 판매되며 중국어 번역판도 출간됐고, 홍콩의 유명 풍수사가 이를 지지하면서 ‘7월 대재앙’에 대한 믿음이 강화됐다.

다만, 일본 기상청은 타츠키 료로의 대지진설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


노무라 료이치 기상청 장관은 지난달 13일 기자회견에서 해당 괴담에 대해 “헛소문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과학적으로 일시와 장소, 규모를 특정해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또 일본 현지 SNS 등에서는 만화가가 단순히 재미를 위해 창작물인 만큼, 소개된 내용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곤란하다는 기류도 일부 감지된다.

그러나 최근 10여일 동안 도카라열도에 지진이 계속되면서 이 같은 기상청의 주장은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기상청도 예측하지 못한 지진이 많았는데, 이번에도 틀릴 수 있다”는 우려를 터뜨리며 불안을 해소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실제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도카라열도에서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도 1 이상의 지진이 1053회 발생했다. 그중 진도 5 이상의 강진도 3회 있었다. 전날에는 하루 동안에만 100회 이상의 지진이 관측되기도 했다. 일본에서도 이 정도 빈도는 이례적이라 여겨지며, ‘대지진의 전조’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난카이 대지진설에 제일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주변국은 홍콩이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지난 5월 일본을 찾은 홍콩인 수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지역 중 홍콩만 유일하게 일본 방문자가 줄었다. 홍콩 그레이터베이항공은 승객 급감으로 인해 오는 9월부터 홍콩-도쿠시마·돗토리 항공편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국내도 마찬가지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일본행 항공권을 예약하는 피서객들에게 불안 심리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여행업계에 따르면 현재 일본행 취소는 크게 늘지 않았지만 안전한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급증했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일본에 가도 안전한지 묻는 고객이 늘었다”며 “심리적으로 둔화되는 양상이 보일지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괴담 때문인지, 항공권 가격도 저렴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4일 출발 기준 인천발 나리타행 LCC 편도가 5~7만원 수준인데, 이는 지난해 7월 왕복 40만원대와 비교했을 때 엄청난 차이다.

다만, 이 같은 가격 양상이 지진 때문만은 아니라는 게 항공업계의 설명이다. 업계는 엔화 상승, 일본 노선 공급량 증가, 대지진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가격이 낮아졌다고 분석한다.

그렇다면 한국은 난카이 대지진 발생 시 직접적인 지진의 피해를 받을까? 국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일본과의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충격에는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는 지난 3일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난카이 해구에서 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한국 한반도 남부는 500km 이내에 위치한다”며 “규모가 크면 에너지가 넓게 퍼져 한반도 전역이 1000km 이내에 들어갈 수 있어 고층 건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홍 교수는 이에 대한 근거로 지난 3월 미얀마에서 발생했던 규모 7.7의 대지진도 1000km 밖에 있는 태국 방콕 시내에 고층 건물을 무너뜨린 사례를 들었다.

그는 “규모가 크면 저주파 에너지가 많이 나오게 된다. 당시 0.02헤르츠 정도 되는 저주파 에너지가 굉장히 많이 나왔는데, 이게 1000km 가도 에너지가 많이 줄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고 고층 건물은 이런 저주파 에너지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말했다.

다만 “30년 내 발생 확률이 80%는 있지만 반드시 7월5일에 발생한다는 건 아니다”라며 절대적 위기를 강조하지는 않았다.

홍 교수는 “대지진 발생 시기는 평균 100∼150년 주기로, 30년 만에 발생하기도 하고 300년 만에 발생하기도 해 개인이 판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jungwon933@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