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특집> 2023 재벌기업 희비 결산

2023.12.28 14:58:23 호수 1459호

뜨고 지는 현실에 상반된 표정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3년이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재벌기업들의 1년 성적표는 그야말로 극과 극이다. 심각한 불황의 여파를 묵묵히 받아들여야 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건실한 성장을 거듭한 곳도 눈에 띈다.



올해는 경기침체 여파로 경영 환경이 악화되면서 재벌기업 사이에서 희비가 극명히 엇갈렸다. 당초 기대치를 크게 밑도는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 있는가 하면, 부정적 이슈가 악재로 작용한 기업도 눈에 띈다. 반대로 당초 예상보다 훨씬 더 건실한 수익구조를 만들어낸 기업도 제법 보인다. 

악재와 호재
엇갈린 명암

롯데그룹은 주력 부문에서 부진이 부각됐으며, 특히 롯데케미칼의 매출 하락이 확연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2조2761억원을 기록했던 롯데케미칼은 올해 연말 기준 매출 19조9830억원(3분기 누적 14조7503억원)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년과 비교해 2조원 이상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점쳐진다.

그룹의 또 다른 축인 롯데쇼핑 역시 별반 다를 게 없는 흐름이었다. 롯데쇼핑은 올해 3분기 매출은 3조7391억원, 영업이익은 142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매출 4조132억원·영업이익 1500억원) 대비 매출은 6.8%, 영업이익은 5.3% 감소한 수치다. 앞서 2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7.2%, 30.8% 줄어든 바 있다.

신세계그룹의 경우 이마트의 실적 부진이 그룹 전체에 악재로 작용한 모습이다. 이마트는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22조1000억원, 영업이익 386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은 0.2%에 불과했다.


이마트는 2021년부터 이베이코리아, W컨셉코리아, 스타벅스(지분 인수) 등을 품는 대규모 M&A를 단행하면서 4조원 넘게 투자했지만 아직까지 특출난 효과를 보지 못했다. 한 예로 2021년 43억원 흑자를 거뒀던 이베이코리아는 신세계그룹에 편입된 직후였던 지난해에 655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3분기까지 322억원 적자가 쌓였다.

심각성을 인지한 신세계그룹은 지난 9월 계열사 대표이사를 절반 가까이 교체하는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실적 반등요소를 찾지 못하자, 오너 차원에서 인적 쇄신 칼을 빼든 것으로도 풀이된다.

삼성전자 역시 올해 신통치 못한 실적을 나타냈다. 3분기 기준 누적 영업이익은 3조74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 넘게 감소했다. 

다만 3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다. 지난 19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내년과 내후년 각각 65%, 39%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힘겨웠던
한해 농사

카카오그룹, 다우키움그룹, 태영건설그룹 등은 실적이 아니라, 부정적인 방향으로 부각된 이슈가 그룹 전체에 영향을 준 케이스다. 궁극적으로 그룹 신뢰도에 커다란 흠집이 났다는 게 뼈아프게 다가왔다.

카카오그룹은 카카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에서 잡음이 잇따르면서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특히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조종 의혹의 여파가 지대했는데, 그룹 창업주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검찰에 소환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혼란이 계속되면서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자 했던 그룹 중장기 전략에 제동이 걸린 형국이다. 지난 20일 카카오페이는 미국 증권사인 ‘시버트’의 경영권을 인수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계약 변경 사항을 공시했다. 앞서 카카오페이는 글로벌 금융사업 확장을 위해 지난 4월 시버트의 지분 51%를 두 차례에 걸쳐 약 1039억원에 취득하는 계약을 맺었다. 

지난 5월 카카오페이는 807만5607주(19.9%)를 1차 거래를 통해 확보했고 내년 중 2차 거래를 통해 나머지 주식 2575만6470주을 인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카카오 그룹의 경영진이 지난 10월부터 SM엔터테인먼트 주가조작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 시버트의 태도가 바뀐 것으로 알려졌다. 

다우키움그룹은 올해에만 두 번에 걸쳐 주가조작 사태와 관련해 이름을 올리면서 신뢰도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지난 4월 ‘라덕연 사태’가 불거진 무렵 김익래 회장이 주가조작 의혹에 휘말렸던 게 결정적이었다.


쉽지 않았던 생존 활로 찾기
“웃고 울고” 극명히 갈린 성적

당시 김 회장은 다우데이타 주가가 폭락하기 직전 자신이 보유한 다우데이타 지분을 처분하면서 600억원대 차익을 거뒀고, 내부정보를 이용해 매도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김 회장은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차익 환원의 뜻을 밝힌 채 회장직에서 물러나는 결정을 내렸다.

지난 10월에는 핵심 계열사인 키움증권이 영풍제지 주가조작 사태와 관련되면서 또 한 번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 당시 영풍제지 주가조작 일당이 키움증권의 계좌를 활용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해당 사건으로 키움증권에서 약 4943억원대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반대매매로 610억원만 회수하는 데 그쳤다. 

태영건설그룹은 핵심 계열사인 태영건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논란에 휩싸이면서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부동산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태영건설의 PF 부실 리스크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소문이 빗발쳤고, 심지어 부도·워크아웃 가능성까지 거론됐다. 

태영건설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2조3891억원, 영업이익 977억원을 기록하는 등 실적만 놓고 보면 꽤나 양호한 상태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2%, 영업이익은 311% 증가한 수치다. 다만 실적과 별개로 재무 상태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올해 3분기 기준 태영건설의 총차입금은 1조2600억원, 부채비율은 478%에 달했다. PF우발채무는 3조4800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3.7배 수준이다.

잘 되거나
나쁘거나

앞에서 열거한 대기업이 실적 악화, 부정적 이슈 등으로 힘든 시기를 보낸 반면, 현대자동차그룹, 포스코그룹, 에코프로그룹 등은 눈부신 성장세를 나타냈다. 내년 전망도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역대 최다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올해 11월까지 미국 시장에서의 자동차 판매랑은 151만57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다. 현대차그룹은 연말까지 160만대 이상 판매 실적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힘입어 올해 15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둘 전망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현대차 영업이익은 15조3723억원으로 전년 대비 56.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활약에 힘입어 상승세를 타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에너지 부문에서의 안정적 수익 확보, 유럽으로의 친환경 산업재 판매량 증가 등을 기반으로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초 포스코에너지를 흡수 합병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통합 이전 영업이익 합산치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9025억원)과 포스코에너지의 영업이익(2710억원)을 더하면 1조1735억원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올해 영업이익은 1조2000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에코프로그룹은 올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2차전지 관련 기업으로 분류되는 ‘에코프로 3형제(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에이치엔)’가 화제성 면에서 단연 돋보였다. 

지난해 말 기준 코스닥 시총 순위는 ▲셀트리온헬스케어(9조1780억원) ▲에코프로비엠(9조75억원) ▲엘앤에프(6조2491억원) ▲카카오게임즈(3조6738억원) ▲HLB(3조3076억원) 순이었다. 해당 순위는 올해 들어 다소 바뀌었다. 지난 16일 기준 에코프로비엠은 1위, 에코프로는 2위에 이름을 올렸다.

<heaty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