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청년 최고위원 후보를 만나다> ‘4인4색’ 김영호 전 보좌관

2023.01.30 14:59:50 호수 1412호

“나는 민주당으로 호남 출신”

[일요시사 정치팀] 차철우 기자 = 국민의힘 3·8 전당대회 청년 최고위원 선거도 당 대표 선거 못지 않게 과열되는 양상이다.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의 성격은 윤석열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부터, 호남 출신, 반윤, 시민단체 출신 초보 정치인까지 각양각색이다. 색깔이 다른 4인의 청년 최고위원 후보들을 <일요시사>가 만나봤다. 



국민의힘 김영호 전 보좌관은 20대에 사법시험에 합격했고, 법무부와 국회에서 일하면서 많은 국회 정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그의 이력은 다소 특이한 편이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시작해 국민의힘으로 발을 들였고,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실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출사표를 던진 뒤부터 친윤(친 윤석열) 후보인 장예찬 이사장을 연일 저격 중이다. 다음은 김 전 보좌관과의 일문일답.

-청년 최고위원에 출마한 이유는?

▲순전히 소신이다. 그렇지만 후보로 나오는 사람들의 면모를 살펴보니 청년 최고위원 후보로서 ‘멀쩡한 사람’이 없었다. 자질이 부족한 사람도 많았다. 특히 한 후보가 당 내부에 다른 목소리가 없도록 매듭짓겠다고 말하는 것을 보니 더 결심이 섰다. 우리 정당은 다른 정당보다 개방성 있고, 확장성 있는 정당이 돼야 한다.

청년 정치를 하겠다는 인물이 벌써 줄 세우기식 구태 정치하려는 것을 보고 화가 났다. 기성정치에 줄 서고 다시 자기 아래에 줄 세우는 표 구걸 청년팔이 정치는 이번 전당대회를 마지막으로 끝내려 한다. 

-청년 최고위원 후보로서 내세우는 공약은?


▲국회서 보좌관으로 일하면서 직접 경험한 국회와 정치 속 문제의식을 공약으로 담았다. 1호 공약으로는 불체포특권 표결 시 기명투표로 바꾸는 국회법 개정안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한 공정과 상식을 바로 세우는 첫걸음이라고 생각했다. 우리 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방탄하는 민주당과는 달라야 한다. 그래야 미래가 있다.

불체포특권 기명투표로 바꿔야
“장예찬은 구태의연한 청년 후보”

두 번째로는 자유시장경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국정감사 시즌만 되면 기업 총수들을 줄 세워 5분 질의하려고 10시간을 대기시킨다. 기업 총수들의 시간은 기업 전체의 한 시간으로 이는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문제다. 정치인들이 기업인을 이용해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행위는 정말 구태의연하다. 이런 부분에 대해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민주당으로 국회에 발을 들였고, 국민의힘으로 옮겼다. 이유는?

▲광주서 고등학교까지 나와 사실상 민주당에서 정당 활동을 하는 게 당연하고 자연스러웠다. 실제로 2020년 5월 21대 국회 때 촛불 개혁 이후 민주당에 높은 기대감을 갖고 들어왔다. 그러나 박원순, 오거돈 성추행 사태가 일어났다.

피해자에게 피해 호소인이라고 명명하는 등 2차 가해를 하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내로남불을 두고 침묵과 반성이 없었다. 2030세대이자, 법조인으로서 자괴감이 들었다. 민주당에 더 이상 자정작용이 사라졌다고 생각했다. 자유롭고 역동적인 청년 정치를 꿈꿀 수 없게 된 셈이다. 그래서 옮겼다.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실 출신이다. 장 의원은 또 다른 후보인 장 이사장을 공식 지지한다고 밝혔는데…

▲누구를 지지한다는 것 자체가 본인의 정치적 의사 표현인데 섭섭하지는 않다. 있는 그대로를 존중하고 한편으로는 호남 출신, 민주당 경력을 가지고 있는 나를 편견 없이 뽑아줬다. 큰 정치를 경험하게 해줘 감사하게 생각한다.

내가 후보로서 장 이사장과 다른 합리적인 목소리를 낸다면 얼마든지 길을 열어 준다고 생각한다. 다만 장 의원에게 정치를 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을 뿐이다. 장 의원을 업고 나왔으면 나도 장 이사장과 다를 바가 없다. 

-이번 최고위원 선거는 전당대회서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보인다. 주목도도 과거에 비해 더 커졌는데… 


▲사실 당원 표 100% 반영으로 선거룰을 개정한 부분에 대해서 논란이 많았다. 어쨌든 적법한 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크게 무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기존 여론조사 30%가 빠진 부분은 민의를 수렴할 여지가 줄어들 수 있다. 이 몫을 채우는 것은 선출된 지도부의 남은 숙제다. 당심을 바탕으로 민심에 얼마나 다가갈 수 있는지가 이번 전당대회 관전 포인트다. 

“소신·철학 가진 인물이 무당층 이끌어”
다양한 목소리 통한 자유로운 정치 꿈꿔

-장 이사장은 윤심을 꺼냈다. 청년을 대변할 수 있다고 보나?

▲말 그대로 멀쩡한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공약을 보고 놀랐다. 586 운동권 퇴장, 민노총 해체 등이 그렇다. 청년 최고위원과는 동떨어진 기성세대만 바라는 표 구걸이자 아무런 철학도 없는 청년팔이다. 장 이사장이 진짜 보수를 운운하는데, 과거 본인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독재자의 딸이라며 창피하다고 발언한 바 있다. 구태 정치로밖에 안 보인다. 우리 세대는 이념이 아닌 합리성을 추구하는 개개인이다. 특정 정당에 대한 충성도가 없고,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특징이다. 

-최고위원 선거도 친윤, 비윤 대결 구로로 흘러가는 양상인데…

▲사실 변수가 많고, 뜨겁게 선거가 치러지는 것 자체가 당연하다. 어떤 조직보다 정당은 안에서 이뤄지는 선거가 경쟁이 치열해야 한다. 친윤, 비윤 가리지 않고 합리적인 목소리만 낸다면 치열하게 경쟁해서 선택받으면 된다. 이번 전대를 통해 소신 있고, 철학을 가진 인물이 무당층으로 변해가고 있는 2030세대의 마음을 얻었으면 좋겠다. 여기에는 내 출신도 한몫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청년 세대, 청년 정치인은 선거 때마다 소모품처럼 활용되곤 했는데…

▲선거철만 되면 찾고, 당이 위기에 빠지면 찾는 게 청년이다. 그렇지만 청년 역시 반성할 필요가 있다. 참신한 변화와 혁신이 아니라 이들 대부분도 낙하산 인사다. 그래서 선거철 전리품이나 들러리로 전락했다. 특히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를 겪은 우리 세대는 어떤 세대보다 공정한 기회나 자신을 대리한 사람에 대한 대표성에 굉장히 엄격하다.

민주당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 역시 낙하산으로 뜬금없이 나와 어떤 이야기를 해도 우리 세대가 귀 기울일 수 없고, 인정받지 못한 것이다. 장 이사장도 내세운 공약이 너무 철없다. 이런 인물이 또다시 우리 세대를 대표한다면 중도층에게 외면받고 중도 확장에는 결국 실패할 것이다. 


-앞으로 어떤 정치를 하고 싶나?

▲자유로운 정치가 꿈이다. 내가 속한 조직도, 내가 사는 삶도 그렇다. 다양한 목소리가 나와서 울림이 있는 메시지가 되는 법이다. 그 바탕에는 자유가 필수항목이다. 언제나 뜨거웠으면 좋겠다. 분노하는 점, 공감하는 점을 가감 없이 이야기할 수 있고, 토론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확장성 있는 정치가 꿈이다. 추상적일 수 있지만 그래도 이런 정치를 꿈꾼다. 기성세대가 청년한테 뭘 알고 이야기하는 거냐고 의구심을 가지는 분위기가 아니라, 저렇게도 생각할 수 있구나라며 상호 인정하는 분위기가 정착됐으면 한다. 

<ckcjfdo@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