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국면전환용 개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음에도 7월 개각설에 대한 관측이 수그러들기는커녕 정치권에서는 청와대와 내각 인사들에 대한 하마평이 잇따르고 있다.
청와대와 내각 후속인사 물망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이는 이재오 전 의원이다. 이 전 의원의 재보선이나 조기전당대회를 통한 여의도 복귀론보다 청와대나 내각행에 더 무게감이 실리는 분위기다. 이 전 의원의 입각을 위해 친박계 인사의 동반 입각설까지 제기돼 입각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청와대나 내각으로 향할 시 ‘그림자실장’으로 불린 정정길 대통령실장의 뒤를 야전사령관의 기세를 살린 ‘돌파형’ 대통령실장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노동부나 지식경제부 장관으로의 입각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여의도 정치권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정무장관이 신설될 경우 1순위로 꼽힌다.
이 전 의원 외에도 ‘장관’ 자리를 노리는 정치인들이 여럿이다.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동행했던 정몽준 최고위원은 외교부장관에 눈길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 활동과 대한축구협회장으로 활동하며 대내외에 두루 인맥을 쌓아뒀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홍준표 의원은 정치권 인사의 법무부 장관 기용설이 나올 때마다 선두에 이름을 올렸다. 노동부 장관, 외무장관, 기재부 장관 등으로의 입각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외에 정의화, 황우여, 이범관 의원 등도 입각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총리를 포함한 대폭 개각이 이뤄질 시 첫 조각 때 거론됐던 손병두 전 서강대 총장, 이경숙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 한승주 전 고려대 총장 서리가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평이다. 박근혜 총리론도 물 건너갔다는 견해가 많다.
‘사회통합형’ 인사가 나서야 한다는 여론과 내년 지방선거를 고려, 충청권 인사들이 주로 후보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충청도 출신인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의 주가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보수대연합 차원에서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와 이원종 전 충북도지사, 이완구 충남도지사 등의 이름도 거론된다.
교체설이 나오고 있는 안병만 교육부 장관 후임에는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이, 정정길 대통령실장 후임에는 이 전 의원 외 윤진식 경제수석이나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이 점쳐지고 있다.
한 정치분석가는 “여의도는 벌써부터 장관으로 자리를 옮길 정치인들에 대한 말들이 오가고 있지만 청와대의 심중은 다를 것”이라며 “강한 국정드라이브를 펼칠 생각이라면 정치인 보다는 이명박 정부의 정책 생산에 관여했던 브레인들이 내각이나 청와대로 향하게 될 것”으로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