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노무현 서거 이후’ 뜨고 지는 인물

2009.06.16 10:30:44 호수 0호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후 민주당 안팎 권력구도 요동
힘 받는 정세균 ‘승승장구’ 풀리지 않는 정동영 한숨만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후 민주당 권력구조에 큰 파도가 몰아쳤다. 노 전 대통령과 가까웠던 이들에게로 힘이 모아지고 있는 것. 조기 전당대회론이 제기될 정도로 리더십에 위기를 겪던 정세균 대표가 기사회생했다. 반면 정동영 의원은 ‘복당’ 소리도 못 할 정도로 힘들어졌다. 이강래 신임 원내대표의 등장으로 복당에 탄력이 붙는가 싶었지만 ‘조문정국’에 묻혀버리고 만 것. 노 전 대통령 서거 후 민주당의 뜨고 지는 인물을 따라갔다.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른 게 정치판이라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전후 민주당의 사정은 눈 비비고 다시 볼 정도로 달라졌다.
5년 만에 한나라당과 지지율 역전을 이뤘으며 뛰쳐나갔던 집토끼들이 돌아왔다. 차기 대선주자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도 민주당 안팎의 인사들이 약진했다. 이대로만 간다면 내년 지방선거도 ‘문제없다’는 분위기다.
그러나 같은 ‘친정 사람’이라고 모두 ‘봄바람’에 미소를 짓는 것은 아니다.

‘노풍’에 전세역전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인한 ‘햇살’은 그와 가까웠던 인사들에게 집중되고 있다. 그 중 정세균 대표는 당내 위상이 가장 강화된 인사로 꼽힌다. 집권 1년이 되어가도록 리더십을 인정받지 못한 채 당내 노선 투쟁과 야성 강화라는 비주류의 주장에 밀려 낙마시기를 점치다가 기사회생한 것.

측근인 친노 386인사들이 ‘박연차 게이트’로 검찰에 소환될 때만 해도 한숨만 내쉬던 정 대표다. 비주류는 똘똘 뭉쳤고 그를 향해 견제구를 날렸다. 정동영 의원과 4월 재보선 출마를 두고 갈등을 빚고 기어이 탈당까지 하게 하면서 상황은 악화됐다. 4월 재보선에 386인사가 공천을 받으면서 수많은 비판이 제기된 것.

비록 수도권에서의 승리로 한나라당에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반쪽 승리’라는 쓰린 속을 애써 달래야 했다. 정 의원과 신건 의원의 ‘무소속 연대’가 민주당의 안방이라고 할 수 있는 호남지역의 표를 싹쓸이했다는 이유에서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DY계 이강래 의원이 당선되면서 정 의원이 복당이 곧 현실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당 안팎에서도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상황은 180도 달라졌다. 노 전 대통령의 ‘친정’인 민주당은 하나로 뭉칠 ‘이유’를 얻었고 정 대표는 맏상주로 국민에게 다가갔다. 현 정부 고위 관리와 여당 정치인들이 노사모 회원들과 주민들에게 밀려 봉하마을 빈소 조문을 포기할 때 정 대표가 보낸 화환은 노 전 대통령의 관이 안치된 마을회관 내 빈소에 자리했다.

측근이었던 친노 386인사들을 향한 국민들의 애정 어린 관심은 그가 당 장악력을 높이고 당을 재정비할 기회를 마련케 했다. 정 대표는 다른 야당 중진들과는 달리 민주당 창당 과정에서 노 전 대통령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고, 당내 지지기반으로 친노 386을 주축으로 삼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친노 386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몰아칠 때도 끝까지 끌어안았다는 점에 점수가 더해진 것이다.

친노도 정치 재개의 문을 활짝 열었다. 친노에 대한 냉혹한 시선에 뒷방으로 물러나 있을 수밖에 없었던 이들이 노풍을 타고 2010년 지방선거까지 비상할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반면 정동영 의원은 4월 재보선에서의 승리, 원내대표 경선으로 이어온 기세가 단번에 꺾였다. 정 의원이 노 전 대통령 만들기의 주역이고 열린우리당 창당의 공신이면서 참여정부에서 장관을 한 핵심인사이기는 했지만 그러한 관계가 끝까지 이어지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열린우리당이 침몰하자 측근들과 당을 박차고 나왔다. 노 전 대통령에게서 등을 돌린 것이다. 이후로도 노 전 대통령과는 거리를 둬왔다.

복당 동력도 상실했다. 정 의원의 복당을 공약으로 내건바 있는 이강래 원내대표도 “6월 국회에 산적한 문제를 먼저 해결한 뒤 7월, 8월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논의될 것”이라면서 당장은 복당이 어렵다는 점을 언급했다.

기세 꺾인 정동영

DY계인 이 원내대표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애써 거리 두려고 하거나 외면한 적은 결코 없지만 정치보복으로부터 지켜주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참으로 가슴 아프고 송구스럽다”며 “정신과 가치, 정책을 유지 계승 발전시킬 계획이며 서거정국에 편승한다는 비난을 받지 않도록 균형적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정 의원의 복당에 대해서는 정 대표도 “당의 인재를 내치기보다는 모아나간다는 게 원칙”이라며 복당 불가에서 한 발 물러선 입장이라 ‘적당한 시기’가 되면 자연스럽게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복당 후 당권장악과 대권행보라는 큰 움직임에는 제약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전언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