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민연대 실체 들춰보니…

2009.04.21 09:36:00 호수 0호

지난 대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을 외곽 지원했던 선진국민연대가 각종 인사 잡음의 근원지로 꼽히고 있다. 대선후보 경선 당시 ‘대외협력위원회’로 출발한 이 단체는 본선을 앞두고 ‘선진국민연대’로 이름을 바꾸고 재정비됐다. 전국의 각종 포럼, 단체를 끌어들이면서 463만명에 이르는 회원을 가진 거대 조직으로 탈바꿈한 것.



선진국민연대를 이끌었던 박영준·김대식 공동 네트워크팀장은 각각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에 임명됐고 이영희·권영건 공동 상임의장은 노동부 장관과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자리를 꿰찼다.

국민권익위원회의 박인제 부위원장과 한나라당 박재순 최고위원은 선진국민연대 중앙위원 출신이다.

심지어 ‘왕비서관’으로 불렸던 박영준 전 비서관이 권력사유화 논란으로 물러나면서 자리를 넘겨받은 정인철 기획관리비서관도 선진국민연대 대변인 출신일 정도로 정권 출범 후 선진국민연대 출신 인사들이 청와대와 정부, 공기업의 요직에 깊숙이 뿌리내리면서 ‘권력단체’라는 비판에 휩싸였다.

지난 2월5일 이명박 대통령이 선진국민연대 간부 250여 명과 만찬을 가졌을 때 사회자가 정부 주요 보직에 진출한 조직 출신들을 소개하며 “공기업 감사가 너무 많기 때문에 사장급 이상만 소개하겠다”고 했을 정도다.

이들 중 적지 않은 이들은 인사논란을 불렀다. 참여연대, 민주노총 공공노조, 경실련 자료에 따르면 선진국민연대 출신 중 인사논란에 휩싸인 인물은 총 23명이다.


공기업 사장이나 감사를 맡은 이들 중에서도 김명수 안산도시개발 사장(선진국민연대 참여), 신방웅 한국시설안전공단 이사장(선진국민충북연대 상임공동대표), 엄홍우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선진국민연대 공동의장), 임동오 사학진흥재단이사장(선진국민전남연대 대표), 장영철 서울시 체육회 상근부회장(선진국민연대 산하단체 선진시민연대 집행위원장), 조영래 지역난방공사 감사(선진국민연대 중앙위원), 표호길 한국전기안전공사 감사(선진국민연대 정치개혁위원장) 등은 ‘낙하산’이라는 오명을 피해가지 못했다.

최근 업계 관계자들에게 부적절한 접대를 받아 물의를 빚은 청와대 행정관도 대선 당시 선진국민연대에서 활동했으며 그 인연으로 대통령직인수위와 청와대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비판이 계속되자 선진국민연대는 지난 2월 해체를 선언했다. 큰 조직을 정리하고 소수의 전문 정책 그룹으로 구성된 사단법인 ‘선진국민정책연구원’과 대중조직인 ‘동행대한민국(가칭)’으로 조직을 대폭 줄였다.

그러나 지난 2월18일 선진국민정책연구원의 ‘녹색성장’ 세미나에 박영준 국무차장을 비롯해 한나라당 의원, 선진국민연대 출신 공기업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여전히 파워그룹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대내외에 내보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