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무소속 출마 강행, 무소속연대로 전주 공략 나서
정세균 재보선 완패 위기감에 거물급 인사 총동원 출격
재보선 공천으로 시작된 갈등이 민주당을 뒤흔들고 있다. 재보선으로 정계복귀를 시도한 정동영 전 장관은 당의 공천 배제 결정에 탈당, 무소속 출마를 강행했다. 또한 신건 전 국정원장과 무소속연대를 맺고 전주 공략에 나섰다. 민주당은 정 전 장관이 정치 도의를 저버렸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당 한편에선 이번 재보선에서 승리를 장담했던 ‘텃밭’을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예상 금배지 ‘0석’이라는 비관적인 예측 뒤로 당권 경쟁이라는 ‘2차전’이 고개를 들고 있다.
민주당이 이번 재보선에서 한 석도 자신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한나라당의 텃밭인 경주는 제외하더라도 ‘노무현 게이트’의 파장으로 인천 부평을과 울산 북구에서의 선거전은 결과를 예측할 수 없게 흘러가고 있다.
민주당의 ‘텃밭’인 전주에서의 재보선도 뜻대로 되지 않고 있다. 당 지도부의 공천 배제 결정에 정동영 전 장관이 탈당, 무소속으로 전주 덕진을 재보선에 출사표를 던졌다. 정 전 장관은 또 신건 전 국정원장에게 손을 내밀고 전주 재보선에서 무소속연대를 결성, 표심잡기에 나섰다.
공천 지뢰밭 터졌다
정세균 대표는 이에 대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민주당에 무소속연대를 한다는 것은 정치 도의를 저버린 것”이라며 “민주당을 흔들고 민주당의 분열을 획책하는 것은 결코 대의가 아니라 소의”라고 비난했다.
박주선 최고위원도 “당의 은혜를 입은 분들이 당을 해체하고 쪼개 부수려하는 것은 수권정당 가능성을 짓밟는 처사”라고 성토했다.
그러나 정 전 장관이 출마한 전주 덕진은 그의 ‘정치적 고향’인데다 당 지도부의 공천배제 결정으로 ‘동정론’까지 일고 있어 당의 ‘약발’이 제대로 먹힐지는 미지수다. 당의 만류에도 출마를 강행한 정 전 장관에 대한 비판이 당의 공천 배제 결정으로 달라지기 시작한 것.
당 일각에선 “당 최고위원회는 공천을 결정하는 곳은 아니다”라며 “공천은 공심위에서 결정할 일이지 당 지도부가 이래라 저래라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원칙’에 맞지 않는 정 전 장관에 대한 공천 배제에는 ‘당권’과 ‘대권’을 두고 경쟁자를 사전에 제거하려는 ‘다른 셈법’이 숨어 있는 것 아니냐는 것.
‘노무현 게이트’로 인해 당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386 인사들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는 것도 ‘텃밭’의 표심을 흔들고 있다.
정 전 장관은 재보선 출정식에서 “이명박 정부를 심판하겠다는 이번 선거를 정동영 죽이기 선거로 만들어낸 민주당이야말로 바로 바뀌어야 할 대상”이라며 “지금 민주당으로는 불가능하다. 정동영이 바꾸겠다”면서 이러한 기류를 십분 활용했다.
신 전 원장도 전주 완산갑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전주가 친노 386의 손바닥 안으로 들어가서야 되겠느냐”면서 ‘노무현 게이트’로 몸살을 앓고 있는 당 주류 386 인사들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정 대표 등 당 지도부는 선거운동 첫날 전주로 총출동해 완산갑과 덕진 출정식에 참석한 후 이광철, 김근식 후보에 대한 지원유세를 펼치며 정 전 장관의 무소속연대와 ‘전주쟁투’를 본격화했다.
정 대표는 “전주에서 승리하지 못하면 민주당의 승리는 없다”며 굳은 각오를 보였다.
또한 인천 부평을 재보선 선대위에 당 핵심인사를 배치, 화력을 높였다. 현역에서는 문희상 국회부의장과 송영길 최고위원이, 원외에서는 김근태 고문과 한명숙 전 총리가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았으며 당 대변인이었던 최재성 의원이 선대위의 ‘입’이 됐다. 정치 휴지기를 보내고 있던 손학규 전 대표도 평당원 신분으로 지원유세에 나서기로 했다.
당이 말 그대로 ‘총력전’에 나선 배경에는 ‘위기감’이 있었다는 게 당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당 내에서도 “재보선에서 한 석도 건질 수 없을지 모른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로 재보선 전망이 밝지 않은데다 ‘지도부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재보선은 곧 지도부의 평가전이라는 공식이 성립했다는 것.
텃밭과 수도권에서 모두 패하게 되면 조기전당대회를 피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므로 ‘배수의 진’을 쳤다는 것이다.
정 전 장관이 “내 몸 속에는 민주당의 피가 흐른다”며 복당 의지를 피력하다는 점도 당 지도부를 분발하게 했다. 정 전 장관의 복당은 ‘쉽지 않은 일’이 될 테지만 재보선 후 그의 복당문제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될 것이라는 건 분명하다는 이유에서다.
돌아온 거물 ‘구원투수’ 되나
정치권 한 인사는 “이번 재보선은 정 전 장관과 정 대표의 ‘당권 전쟁’의 전초전”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당을 뛰쳐나간 정 전 장관이 살아서 생환, 당에 연착륙할지, 정 대표가 ‘노무현 게이트’라는 악재와 비주류의 반발을 헤치고 당을 안정화시킬지는 더 두고 볼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재보선과 관련 이른 ‘대권 승부’를 거론했다. 당의 결정에 승복하지 않고 뛰쳐나간 정 전 장관과 당의 지원요청에 ‘정계복귀는 아니다’라면서도 평당원으로 달려온 손학규 전 대표의 비교되는 모습이 재보선 내내 부각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