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허위 유출 등 ‘억대 유튜버’ 4000명 시대의 명암

2025.10.15 14:46:15 호수 0호

연 1억 수입 2년 새 64%↑
탈세·레커 피해 등 과제도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유튜브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으로 불리지만, 여전히 수많은 이들이 카메라 앞에 선다. 성공만 한다면 억대 연봉도 꿈이 아닌 현실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연 수입 1억원을 넘긴 유튜버가 4000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급성장한 시장의 이면엔 탈세 논란과 사이버 레커 피해 같은 그늘도 짙게 드리워져 있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연간 수입이 1억원을 초과한 유튜버는 4011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2449명, 2022년 3359명에서 꾸준히 증가하며 2년 사이 무려 63.8%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2088명, 여성이 1923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연령별로는 30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남성 유튜버의 절반 이상이 30대(1065명)였고, 여성 유튜버 역시 30대(896명)가 가장 많았다.

억대 유튜버의 증가세와 함께 전체 수입 신고자도 급증했다. 2023년 신고자는 2만4673명으로, 2021년(1만6228명)보다 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입 금액은 1조782억원에서 1조7778억원으로 64.9% 증가했다.

하지만 언제나 명(明) 뒤에는 암(暗)이 따르기 마련이다. 최근 국세청은 유튜버들의 고수익 구조에 주목하며 세무조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차 의원은 “신종 업종이 다양화되고 매년 신고 인원과 수입 금액도 증가하고 있다”며 “국세청은 후원금 등을 빙자하며 제대로 된 신고를 하지 않는 유튜버들에 탈세 혐의 포착 시 세무조사를 하겠다고 밝힌 만큼 과세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단속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억대 수익을 올리고도 제대로 세금을 내지 않은 유튜버 21명에게 총 89억원의 세금이 부과됐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방국세청이 세무조사를 실시한 유튜버는 총 67명. 이들에게 부과된 세액은 총 236억원, 1인당 평균 3억5000만원에 달한다. 특히 2023년 한 해에만 조사 대상이 24명으로 급증했고, 지난해에도 21명이 세무조사를 받았다.

부과세액 역시 2019~2022년 총 56억원에서 2023년 91억원, 지난해 89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유튜버들의 수익 구조는 단순 광고 수익에 그치지 않는다. 슈퍼챗, 후원금, 협찬(PPL), 굿즈 판매 등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과세 사각지대가 생기기 쉽다.

이런 가운데 유튜브 산업의 명암은 세무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새 급증한 ‘사이버 레커’들은 유튜브 생태계의 어두운 단면으로 지목된다.

사이버 레커는 사회적 이슈나 유튜버·연예인 사건을 자극적으로 재가공해 클릭 수를 끌어 올리는 유튜버를 지칭한다. 단순한 비판을 넘어 허위 사실 유포, 협박, 공갈로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다.

전날(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선 구독자 1200만명을 보유한 인기 먹방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참고인으로 출석해 사이버 레커에게 당했던 피해 사실을 직접 증언하기도 했다.

그는 “피해 당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두렵고 막막했다”며 “유튜브 측의 대응도 빠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쯔양은 사생활 등을 빌미로 자신을 협박하고 돈을 갈취한 사이버 레커 ‘구제역’ 등 4명을 공갈 및 공갈방조 혐의로 고소했으며, 법원은 주범인 구제역에게 징역 3년을 선고한 바 있다.


쯔양은 이날 국감장에서 “인터넷에서 누군가에게 글을 남 길 때는 그 상대방도 감정이 있고, 똑같이 기쁨과 슬픔을 느끼는 사람이라는 걸 한 번만 꼭 생각해달라”고 호소했다.

억대 유튜버의 등장은 새로운 부의 상징이 됐지만, 그 이면에는 사회적 책임도 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튜브 시장은 단순한 ‘개인 취미’의 영역을 넘어 이제 하나의 거대한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세금 회피, 허위 정보, 악성 콘텐츠 등 각종 부작용이 함께 자라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제 유튜버는 단순한 ‘1인 방송인’이 아니라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공적 존재’로 봐야 한다”며 “정부는 합리적 제도 정비에 나서고, 플랫폼 역시 책임 있는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카메라 한 대로 억대 수입을 올리는 시대지만, 유튜브가 진정한 ‘꿈의 무대’로 남기 위해선 더 투명한 제도와 건강한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jungwon933@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