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상트 ‘500억’ 일본 송금 내역

2024.04.11 16:50:01 호수 1474호

죽어라 팔아봐야 남는 게 없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반일 감정과 코로나19 여파에 신음했던 데상트코리아가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적자의 수렁에서 빠져나온 이후 안정적인 흐름이 계속되는 양상이다. 살림살이가 풍족해지자, 바다 건너에 있는 주인마저 주머니가 빵빵해졌다. 1년간 국내에서 정성 들여 키운 수확물이 고스란히 일본을 향한 덕분이다.



데상트코리아는 스포츠·캐주얼의류 및 관련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2000년 11월 설립된 외국인 투자법인이다. 국내시장에서 ▲데상트 ▲르꼬끄스포르티브 ▲엄브로 등 다수의 브랜드를 라이선스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 일본 기업 데상트가 지분 100%를 보유 중이다.

노 재팬?

데상트코리아는 재무제표가 공개된 2001년 이후 20년 가까이 매출 우상향을 나타냈다. 2007년 1000억원을 겨우 넘겼던 매출은 2012년 4000억원을 넘긴 데 이어, 2018년에 역대 최대치인 7270억원을 찍는 등 성장세가 계속됐다.

단순히 외형적인 성장만 거듭한 건 아니었다. 2011년 10.1%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매년 10%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등 남부러울 것 없는 수익성이 뒤따랐다. 상대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저조했던 2017년과 2018년조차 700억원에 근접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할 정도였다.

양호한 실적 흐름은 대규모 현금배당을 실시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데상트코리아는 2010년대 중반 이후 현금배당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고, 2018년에는 현금배당 명목으로 250억원을 주주에게 지급하기도 했다. 당해 배당성향(순이익 중 현금배당으로 지급된 비율)은 46%로, 전년(30%) 대비 16%p 높아진 수치였다.


그러나 순풍이 마냥 계속된 건 아니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2019년 7월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를 결정한 이후 상황은 급반전됐다. 이를 계기로 반일 감정이 극에 달하면서 이른바 ‘일본 제품 불매(노 재팬)’ 기류가 확산됐고, 데상트코리아 산하 다수의 브랜드가 노 재팬이라는 유탄에 그대로 노출됐다.

반일 정서도 골치 아픈 마당에 코로나19라는 대형 악재마저 더해졌다. 2019년 말부터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외출 자제 분위기가 형성됐고, 이 여파로 오프라인 점포 영업에 적신호가 켜졌다.

데상트코리아는 노 재팬과 코로나라는 이중고를 겪으면서 2년간 엄청난 실적 부진을 감내해야만 했다. 2019년 매출은 전년 대비 1000억원가량 감소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 수준으로 뒷걸음질쳤다. 심지어 2020년에는 매출이 4000억원대로 주저앉은 것도 모자라, 창사 이래 첫 적자(영업손실 33억원)를 기록했다.

위기에 직면한 데상트코리아는 내실 경영을 탈출구로 삼았다. 2019년 말 969개였던 매장을 2021년 9월 말 기준 832개로 줄이고 마케팅 활동을 축소했으며, 한국 의존도를 낮추고자 중국 사업의 비중을 키우는 수순이 뒤따랐다.

살림살이 피니까 고배당 
기부 찔끔…주머니는 두둑

자구책이 효과를 내면서 고꾸라졌던 실적은 서서히 본 궤도에 진입했다. 2021년의 경우 매출 5437억원을 올리면서 완연한 회복 조짐을 나타냈고, 영업이익 115억원 달성과 함께 흑자 전환이 이뤄졌다.

최근에도 비교적 양호한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데상트코리아는 최근 2년간 연평균 5400억원대 매출과 350억원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순이익은 2022년 401억원, 지난해 498억원이었다.

숨고르기가 끝나자 잠시 중단됐던 현금배당이 재개됐다. 2019년과 2020년에 현금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던 데상트코리아는 2021년 243억원을 시작으로 2022년 300억원, 지난해 500억원 등 최근 3년간 총 1043억원을 현금배당했다.

넉넉하게 쌓인 이익잉여금은 현금배당을 가능하게 만든 원동력이었다. 데상트코리아는 2019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2000년도 후반부터 빠짐없이 수백억원대 순이익을 기록했고, 순이익에서 현금배당으로 쓰인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가 이익잉여금으로 전환됐다. 지난해 말 기준 이익잉여금(4330억원) 규모를 감안하면, 배당 여력도 충분하다.

다만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현금배당 규모가 과하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졌다. 지난해의 경우 배당성향이 100%를 넘겼는데, 이는 순이익(498억원)보다 현금배당(500억원)으로 빠져나간 금액이 더 컸음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1년간 벌어들인 것보다 더 많은 금액이 일본 본사를 향한 셈이다.


과도한 흐름

데상트코리아는 일본으로 향하는 현금배당에 적극적인 것과 달리 국내에서 벌이는 상생 활동에는 매우 인색한 모습이다. 데상트코리아가 최근 3년간 기부금 명목으로 비용처리한 금액은 ▲2021년 7억4200만원 ▲2022년 11억5700만원 ▲지난해 6억1600만원 등 연평균 8억3000만원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연평균 현금배당(348억원)과 비교하면 1/41에 그친다.

<heaty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